• Title/Summary/Keyword: 불안정 상태 구간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Case Study on the Occurrence and Solution of Stability problems around Large Underground Storage Cavern in Highly Stressed Rock Mass (과지압 암반내 대규모 지하공동 안정성 문제 및 대책)

  • Lee, Dae-Hyuck;Lee, Hee-Suk;Park, 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9.09a
    • /
    • pp.622-640
    • /
    • 2009
  • 원유 비축기지 저장공동과 같이 상하로 긴 형상의 대규모 공동에서 횡방향의 지압이 과도하게 작용하면 천정부의 응력집중과 측벽의 암반 변위가 과도하게 발생하여 저장공동의 불안정 요인이 된다. 특히 지압의 절대 크기가 암반 강도의 일정 비율 이상이 되면 응력 집중에 의한 암반의 취성 파괴를 유발하고, 이러한 현상은 터널 굴착 시 발생하는 파괴음(popping)과, 굴착면에 평행한 형태로 암편이 탈락하는 취성파괴(spalling) 현상을 동반한다. 이 글에서는 대규모 지하저장공동 굴착시 실제 발생한 과지압으로 인한 문제 사례에 대해 소개한다. 저장공동 굴착시 관찰된 암편 및 숏크리트 탈락과 균열 발생 현상을 관찰하고 암반 계측결과 분석을 통해 과지압의 현상을 진단하였다. 과지압 구간의 현재 상태 및 원안 설계안에 대해 연속체 및 불연속체 안정성 해석을 실시하여 문제의 심각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굴착 형상 변경 및 특수 보강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안의 보강효과에 대한 수치해석 평가 결과를 재검토 하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여 과지압구간 보강안을 도출하였으며 상시 안정성 감시 대책으로 현장 암반의 미소파괴음 계측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Response of Filefish to the Colored Nets (색망지에 대한 말쥐치의 반응)

  • Yang, Yong-Rim;An, Hui-Ch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18 no.1
    • /
    • pp.11-15
    • /
    • 1982
  • The authors carried out an experiment to find out the response of filefish, Navodon modestus (Gunther), to the colored nets. The experimental tank of dimensions 360L$\times$50W$\times$55H cm was set up in a dark room. Six longitudinal sections, each being 60cm intervals, are marked in the tank to observe locations of the fishes. The depth of water in the tank was 50 cm. Two light bulbs of 30 W, placed at the both ends of the tank, projected the light horizontally into the tank. Two different colored nets selected from seven colors(white, black, gray, red, green, blue, and yellow) were placed 60 cm distance from each side of the tank. The fishes were acclimatized in the dark for 60 minutes before they were employed in the experiment. After the light was turned on, the number of fish in each section of the tank was counted for an hour in every 2 minutes into interval, the mean value of fishes in each section was used as the distribution rate of the fish. The order of colors disliked by fishes was found to be white, red, green, black, blue, yellow and gray. The distribution rate of fish in front of colored net shows a decreasing tendency as the lapse of illumination time increases.

  • PDF

Ductility of Plate Girder Bridges with High Performance Steel (고강도강재 적용 플레이트 거더교의 휨 연성 평가)

  • Joo, Hyun-Sung;Cha, Sang-Ho;Choi, Hyung-Ho;Lee, Hak-E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83.1-83.1
    • /
    • 2010
  • 본 연구는 고강도 강재를 적용한 연속교 형식의 강교량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량에 사용되는 주구조의 고강도화에 따로 연속교의 교각 부근 부모멘트부에는 정모멘트부에 비하여 큰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또한 정모멘트 구간과 달리 상부플랜지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완공 후에도 극한 하중 상태에서 콘크리트 데크가 응력을 부담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 플랜지에 불안정 파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비합성 단면과 같은 방법으로 설계하게 된다. 또한 모멘트 재분배를 고려한 설계를 하기 위해서는 부모멘트부에 충분한 휨 연성이 필요하다. 고강도 강재를 적용한 교량은 일반강재를 적용한 교량에 비하여 휨연성이 감소하게 되므로 휨연성 확보를 위한 보강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부모멘트부의 휨연성 향상을 휘하여 가로보의 부등 배치를 제안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 결과 휨연성이 향상되었다.

  • PDF

An analysis of Behavior for the Temporary Retaining wall in Colluvium Area (붕적층 지역의 가시설 거동분석)

  • chung, dae seouk;Kim, Seon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43-344
    • /
    • 2017
  • 우리나라는 산악지형 특성상 붕적층이 발달한 지역이 많아 도로나 건축물이 계획될 경우 일반적으로 이러한 지역을 배제하는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그러나 현장 여건상 불가피하게 붕적층 구간을 포함한 건설 계획이 수립될 경우 지반 굴착, 사면 절취로 인해 지반 거동특성이 불안정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사전 조사와 적절한 토공 및 굴착 계획과 시공 중 Feed Back 등이 면밀히 이루어져야 한다. 붕적층 지반은 소량의 토사에 자갈, 호박돌, 전석 등이 혼재되어 있는 상태로 주로 테일러스에 의해 생성되며, 암괴의 함량이 매우 높으며 소량의 풍화된 잔류토사가 혼재된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붕적층이 깊게 분포하는 지역, 특히 배면에 지장물(상수도관 등)문제로 인해 발생한 가시설 붕괴지역을 사례로 역해석을 통한 붕적층의 지반정수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Flow near River-Crossing Structure (하천횡단구조물 주변 흐름 수치해석)

  • Kim, Hyung-Jun;Bae, Deok-Won;Ryu, Yong-Uk;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75-175
    • /
    • 2011
  • 하천을 횡단하는 구조물은 흐름을 지체시켜 상 하류에 급격한 수위차를 발생시키며, 이에 동반되는 국부유속의 증가는 제방 및 하상을 세굴시킨다. 제방 및 하상 세굴은 하천횡단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에 영향을 주어 불안정한 상태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상유지시설 및 제방 보호공 등의 대책을 하천설계기준에 제시하고 있다. 하천설계기준에는 하천횡단구조물 보호시설의 종류, 설치길이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보호공 제원 선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공식을 제시하지 않아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보호공 제원 선정 설계기준은 설계유속을 1차원 단면평균 유속으로 활용하는 국외의 설계공식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하천횡단구조물 주변의 흐름은 매우 복잡하므로 국외 설계공식을 그대로 적용하기에 앞서서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횡단구조물 주변의 흐름을 2차원 수치모형으로 재현하고 그 결과를 1차원 수치모의 결과 및 수리실험 관측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수로에 각기 다른 제원의 보호공을 설치하고 관측한 임계상태의 수리상황을 1, 2차원 수치모형으로 재현하였다. 각각의 모형에서 도출된 수리상황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보호공 제원 결정 공식을 검토하였다. 또한, 실제 하천구간에 임의의 보와 수제를 설치하고, 계획홍수량에서의 흐름특성을 비교하였다. 1, 2차원 모형에 의하여 도출된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하천횡단구조물 설계시 적용할 수 있는 보호공 제원 결정 설계공식을 제안하였다.

  • PDF

Comparison Analysis of Factor of Safety on Rock Slope in Boeun Region Using Distinct Element Method and Limit Equilibrium Method (개별요소법과 한계평형법을 이용한 보은지역 암반사면 안전율 비교해석)

  • 이지수;유광호;박혁진;민경덕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9 no.4
    • /
    • pp.33-41
    • /
    • 2003
  • The large planar failure has occurred in a rock cut slope of highway construction site in Boeun. This area is considered to be unstable since the discontinuity, whose orientation is similar to the orientation of the failure plane, is observed in many areas. Therefore, several analysis techniques such as SMR, stereographic analysis, limit equilibrium, numerical analysis, which are commonly used in rock slope stability analysis, are adopted in this area. In order to analyze the stress redistribution and nonlinear displacement caused by cut, which are not able to be obtained in limit equilibrium method, DEM and shear strength reduction technique were used in this study. Then the factors of safety evaluated by shear strength reduction technique and limit equilibrium were compared. In addition, the factor of safety under fully saturated slope condition was calculated and subsequently, the effect of the reinforcement was evaluated.

Stable Channel Design for Physical Disturbance Reduction and Analysis of Habitat Suitability (물리적 교란 저감을 위한 안정하도의 설계와 서식적합도 분석)

  • Lee, Woong Hee;Moon, Hyong Geun;Choi, Heung Sik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4 no.3
    • /
    • pp.169-179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 of bed change according to the stable channel design on the Wonju River to quantitatively evaluate habitat suitability (HS). According to the result of evaluating stable channel of object section in the Wonju River, 17 sections among total 20 sections were stable and 3 sections were unstable. Physical disturbance improvement evaluation (PDIE) was the range average showed good disturbance condition with a range average of 112.17 points. Habitat suitability index of Zacco Koreanus, the most dominant species of the Wonju River, was used for analysis of physical habitat for fish. According to the physical habitat analysis result, HS was 0.16 and weighted usable area (WUA) was $347.68m^2$. The methods of improving/introducing/removing structures and dredging stream channel were used for stable channel design of unstable channel, and analyzed PDIE according to the aspect of bed change and changes in habitat suitability. Stable channel design was possible in 19 sections in times of structures improvement/introduction/removal, and PDIE was 117.53 points, HS was 0.14 points, and WUA was $313.37m^2$. Stable channel design was possible in all 20 sections when dredging the stream channel. PDIE was 116.50 points, HS was 0.16, and WUA was $332.14m^2$. Therefore, this study obtained channel design measures that can improve physical soundness and stability of the Wonju River, and it was analyzed that it will have no impact on changes of physical disturbance and physical habitat.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velocity and depth of each section and appearance frequency of riffle and pool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disturbance and physical habita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analysis of riffle and pool showed similar result as the evaluation result of physical habitat.

A Study on the Nonlinear Rolling Motion of Ship Using Basins of Attraction and Attractors (흡인영역과 끌개의 해석을 통한 선박의 비선형 횡동요운동에 관한 연구)

  • H.S. Lee;S.H. Kw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6 no.3
    • /
    • pp.71-82
    • /
    • 1999
  • Irregular motions of nonlinear dynamic system are the result of an intrinsic characteristics that the system have, and sometimes occur unpredictable large motion. For a ship in a regular seaway, the capsizing occur because of this unexpectable motion. So, from the safety's point of view, nonlinear ship motions should be treated carefully. In this study, stable and unstable regions are investigated firstly under the variation of a control external force. Secondly, we consider the attractors to know how ship motions of the stable region that does not undergo capsizing change. Thirdly, bifurcation diagram is considered to study the range in detail where nonlinear chaotic motions are occurred.

  • PDF

RAM6 Modeling of Flow and Bed Elevation Change in a Reach including a Weir (RAM6를 이용한 보 상하류의 흐름 및 하상변동 예측)

  • Lee, Sung-Jin;Kim, Tae-Beom;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4-58
    • /
    • 2012
  • 하천에 설치된 보의 상류는 유사의 퇴적이 발생하며 하류 하도는 보에 의한 유사 차단 효과로 하상하강이 기대된다. 보 상류 퇴적이 진행되면 저수량이 감소하며 심할 경우 보 자체의 안전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하류 하도에 세굴 및 하강현상이 지속되면 흐름 및 하도의 불안정과 하천 시설물의 안전을 위협하게 된다. 따라서 보 건설에 따른 하도의 퇴적 및 침식 현상을 예측하여 장차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는 것은 공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심적분 2차원 모형에 기초하여 유동 및 하상변동을 모의하는 RAM6 모형을 이용하여 금강 세종보에 적용하였다. RAM6는 흐름특성 변화에 따라 하상이 평형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을 시간에 따라 모의하고, 하상변화에 따른 흐름특성의 변화를 연계하여 모의하는 2차원 유한요소 모형이다. 세종보를 기준으로 상 하류 2 km, 총 4 km 구간에 대해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세종보 상하류의 2차원 모의를 위하여 보 주위의 지형정보와 흐름정보를 입력하였다. 보의 제원은 높이 4 m이며, 가동보 223 m, 고정보 125 m로 총연장은 348 m 이다. 보 주위의 흐름과 퇴적 및 침식에 대해 모의하고 이 결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A Case Study of Ground Subsidence in a Groundwater-saturated Limestone Mine (지하수로 포화된 석회석광산의 지반침하 사례연구)

  • Choi, Woo-Seok;Kim, Eun-Sup;Kang, Byung-Chun;Shin, Dong-Choon;Kim, Soo-Lo;Baek, Seung-Ha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5 no.4
    • /
    • pp.511-524
    • /
    • 2015
  • Groundwater causing subsidence in limestone mines is uncommon, and thus relatively poorly investigated. This case study investigated the cause and possibility of future subsidence through an evaluation of ground stability at the Samsung limestone mine, Chungcheongbuk-do. The ground near the mine area was evaluated as unstable due to rainfall permeation, and subsidence in the unmined area resulted from groundwater level drawdown. Future subsidence might occur through the diffusion of subsidence resulting from the small thickness of the mined rock roof, fracture rock joints, and poor ground conditions around the mine. In addition, the risk of additional subsidence by limestone sinkage in corrosion cavities, groundwater level drawdown due to artificial pumping, and rainfall permeation in the limestone zone necessitates reinforcements and other preventative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