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안전한 행동과 사고의 관계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초

ETA를 활용한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과 떨어짐 사고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Unsafe Acts and Fall Accident of Workers Using ETA)

  • 정은빈;최재욱;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8-38
    • /
    • 2020
  • 최근 건설구조물의 대형화, 고층화로 인해 고소작업이 증가하며 떨어짐 사고(이하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이 산업재해의 주요 원인으로 밝혀지며, 불안전한 행동 예측 및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는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과 사고의 관계를 확률로 제시하여 불안전한 행동의 개선 효과를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재해사례를 분석하여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도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불안전한 행동으로 인한 사고의 발생 확률(이하 사고 확률)을 산출하였다. 사건수 분석 기법(Event Tree Analysis; ETA)을 활용하여 불안전한 행동의 조합에 따른 최종 사고 확률과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불안전한 행동별 사고 확률은 음주 후 작업 수행(95.41%)이 가장 높았고, 장비 및 기계 활용(65.70%)이 가장 낮았다. 불안전한 행동의 조합에 따른 사고 확률은 불안전한 행동을 모두 수행한 경우(13.23%)가 가장 높았고, 불안전한 행동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0.00%)가 가장 낮았다.

스마트 안전보건활동이 근로자의 의도된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art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on Workers' Intended Behavior)

  • 조춘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19-531
    • /
    • 2023
  • 건설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방을 목표로 건설 현장의 불안전한 행동이라는 고질적 어려움과 고충을 해소하기 위해서 스마트 안전보건활동이라는 변수를 통하여 의도된 안전한 행동을 만들고, 이러한 행동 변화로 산업재해 감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목적: 스마트 안전보건활동이 불안전한 행동으로 발생하는 사고와 근본 원인인 근로자 행동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이 활동은 근로자의 안전 경험치가 향상되고, 불안전한 행동을 의도된 안전한 행동으로 변화되며, 작업중에 나타나는 불안전 행동이 줄어들므로 안전사고 예방과 근로자 생명 보호에 도움이 된다는 가설을 검증한다. 연구방법: 스마트 안전보건활동을 독립변수(X)로 선정하였고, 근로자 행동 의도인 의도된 안전과 불안전을 종속변수(Y), 태도와 주관적 규범, 계획된 행동 통제를 매개변수(M)로 정하였다.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도 분석은 안전보건활동에 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판별타당도분석, 집중타당도를 분석했으며, 행동 변화의 가설검증을 위해서 주요 변수의 경로분석과 근로자 행동 변화의 실증분석으로는 베이지안모델 분석과 MC시뮬레이션의 확률밀도 분포를 통해 연구를 검증했다. 연구결과:건설 현장의 스마트 안전보건활동을 경험한 근로자는 불안전한 행동이 줄고, 의도된 안전 행동을 한다는 분석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근로자 행동변화에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연구가설이 입증되었고, 연구분석의 구조방정식과 경로분석에서 변수간의 상관관계 확인, 실증분석을 통해 스마트 안전보건활동이 근로자 불안전한 행동을 통제하고,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결론:건설 현장에서 사고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스마트 안전 보건활동이 매우 중요한 항목이란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상분석기법을 활용한 토공 장비 및 작업자간 아차사고식별 방법론 (Methodology for Near-miss Identification between Earthwork Equipment and Workers using Image Analysis)

  • 임태경;최병윤;이동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69-76
    • /
    • 2019
  • 본 연구는 토사운반작업이 실행되는 현장에 충돌위험구역을 설정하고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아차사고수준에서 식별하는 영상분석 방법론을 제시한다. 컴퓨터 비전기술을 건설안전관리에 활용하는 데 있어 큰 걸림돌이 되어 온 위험발생 이벤트를 연구자가 원하는 시나리오대로 재현하기 용이하도록 게임엔진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불안전한 조건을 결정론적으로 가정하는 접근방식과 달리, 현장여건에 따라 위험구역이 변화되는 상황을 현실적으로 반영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방법론은 선행연구들이 간과한 불안전한 조건과 행동을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사고가 발생되는 인과관계를 반영하였다. 사례연구는 덤프트럭에 의해 제공된 불안전한 조건하에서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아차사고 수준에서 관측하는 방법과 중점관리 대상이 되는 위험구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규명하였다.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건설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의 인지 과정 모델링 (A System Dynamics Approach for Modeling Cognitive Process of Construction Workers'Unsafe Behaviors)

  • 김진우;이현수;박문서;권나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38-48
    • /
    • 2017
  • 건설재해의 직접적인 원인은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과 작업장의 불안전한 상태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의 원인은 불안전한 상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견이 어렵다. 왜냐하면 불안전한 행동은 개인의 인지과정을 거쳐 순식간에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자 인지과정모델을 통해 불안전한 행동의 원인을 밝히고 그 관리방안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작업자의 인지과정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피드백 관계를 규명하기에 알맞은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인지과정모델은 작업자가 위험을 인식하지 못하는 그 상황 자체의 위험성에 대하여 강조하였으며 작업자가 위험을 인식 하였더라도 불안전한 행동을 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불안전한 행동이 바로 사고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습관은 작업자의 안전에 대한 부정적 태도인 태도로 이어진다는 점에 대해서도 규명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자가 작업자의 인지상태를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건설안전교육이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on Unstable Behavior)

  • 김영권;박종용;김성은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54-164
    • /
    • 2021
  • 연구목적: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이 실시된 지 10년이 지난 지금 더 이상의 보수교육이 실시되지 않고 있으며,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한 사람은 신규채용자교육도 면제되고 있어서 안전교육이 부실화되고 있다. 조속히 보수교육과 신규채용자교육의 법제화로 불안전한 행동의 유발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건설안전교육인 기초안전보건교육과 신규채용자교육이 불안전한 행동인 Human Error와 위반 행동과의 구조적 관계를 설문을 통한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설문조사는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과 신규채용자 교육이 재해의 인적 요소인 Human Error와 위반 행동 감소에 많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지속적인 안전교육이 안전의식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기초안전보건교육의 보수교육과 신규채용자 교육의 법 개정으로 안전교육의 부실화를 방지하여야 한다.

금속제조업 재해 현황과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etal Manufacturing Disaster Situation and Safety Consciousness)

  • 전관옥;이신복;이동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429-438
    • /
    • 2018
  • 최근 제조업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고로 인하여 중대 재해 및 중대 산업사고로 이어지고 지역사회 재난으로까지 확대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안전행정부는 제3차(2015-2019)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에 따라 산업현장 재해 및 재난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업재난관리 차원의 개선대책을 발표하고 적극 홍보하고 있다. KOSHA 2015~2017년도의 산업재해 발생 현황을 보면 금속 관련 제조업의 재해율이 1.57%로 전 업종 평균 0.50% 대비 약 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재해 원인을 조사해 본 결과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기인하여 발생된 비율이 72%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불완전한 행동은 안전의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이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작업자를 대상으로 안전의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안전의식이 사고 예방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사고발생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건설사고 예방을 위한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과 휴먼에러와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Unsafe Acts and Human Errors of Workers for Construction Accident Prevention)

  • 민광호;차용운;한상원;현창택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5권5호
    • /
    • pp.161-168
    • /
    • 2019
  • Construction industry is becoming more advanced, but safety accidents are not decreasing and unsafe act (UA) and human errors (HE) are the main causes of safety accid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unsafe acts and human errors for construction accident prevents. Specifically, the Correlation Analysis is used to quantify 24 combin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A and HE. Then, the Kano Model, and Timko Satisfied Coefficient was utilized to find 6 combinations for construction accident prevention plans. As the result of Timko Satisfied Coefficient,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ree safety managers and 6 safety prevention plan is proposed. Through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combination of 24 accidents will be basic data of safety management. Especially, the proposed safety prevention pla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6 combinations with high correlation can contribute to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at the construction site.

운전확신수준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을 이용한 연구 (The Influences of Driving Confidence Levels on Traffic Accidents: Research Using Path Analysis)

  • 이순철 ;이순열 ;박선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4호
    • /
    • pp.101-112
    • /
    • 2007
  • 본 연구는 운전확신수준을 구성하는 '상황둔감성', '불안전운전', '주의집중소홀', '운전자신감'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총 1055명의 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확신수준 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과속·음주 운전과 같은 위험한 운전행동 및 교통사고 경험을 조사하였다. 이 가운데 결측치를 확인하여 998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운전확신수준의 구성요소가 교통사고에 이르는 경로를 통해 운전확신수준과 교통사고가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운전확신수준 가운데 '상황둔감성'과 '불안전운전'이 교통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상황둔감성'이 교통사고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반해, '불안전운전'은 교통사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운전확신수준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인에 따라서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비록 본 연구에서 '주의집중소홀'과 '운전자신감'은 교통사고와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밝혀낼 수는 없었지만, 추후 이 두 요인이 운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 PDF

건설현장 사망사고 발생원인과 책임전가의식 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Fatal Accidents Causes and Consciousness of Scapegoatism in Construction Site)

  • 오규선;차용운;현창택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2-193
    • /
    • 2015
  • The number of accidents is raising every year and severity is also increasing. A lot of studies are interested in the leading indicator such as safety culture or safety audit to reduce accidents. In particular, the studies on safety awareness are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se studies showed that there was consciousness of scapegoatism which to pass responsibility of accident causes to others regardless of safety awareness. It means that there are probability about overestimating and making light of unsafe condition and act which have to manage and control. Eventually, the direct causes which lead to the fatal accident may be consistently arisen. Nevertheless, researches about consciousness of scapegoatism are shortag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mean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of scapegoatism and accidents through report from KOSHA and conducts the survey with suggested means.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prevent accidents by identifying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of scapegoatism and acci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