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불교(佛敎)

Search Result 64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Deva's Visual Characteristics of Buddhist Worldview in Animation Movie - Focused on - (애니메이션에서 표현된 불교 세계관 천(天)의 시각적 특징에 관한 연구 - TV시리즈 를 중심으로 -)

  • Yu, Qinglong;Choi, Dong-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5-66
    • /
    • 2019
  • '천(天)'은 불교 세계관 속의 선인으로서 불교 전통 예술에서 많이 표현된 불교 세계관 중에 하나이다. 최근 '천'의 개념이 애니메이션 작품에 표현되면서, 불교 세계관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불교 문화와 세계관의 이해를 통해 다양한 예술작품에 활용된다면, 애니메이션의 발전에 대해 훌륭한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형태 특징, 색채 특징 이 두 가지 시각적 특징으로 불교 세계관의 '천'을 분석하고 애니메이션 캐릭터 창작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불교의 세계관과 불교 문화가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 PDF

Changes in the Religious Topography of the Great Gwanghaegun: Policies towards Buddhism and the Affected Buddhist Community (광해군 대(代)의 종교지형 변동 -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양상을 중심으로 -)

  • Lee, Jong-woo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6
    • /
    • pp.227-26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epresentative Buddhist policies enforced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光海君), the 15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aspects of the Buddhist community affected by them. Through this, the influence and dynamism of Buddhism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will be revealed. Some of the findings will run contrary to what is popularly known about Joseon Buddhism and the policy of Sungyueokbul (崇儒抑佛), 'Revering Confucianism and Supressing Buddh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Neo-Confucianism was taken as an ideological background, and consequently, Buddhism was ostracized by the ruling class who advocated the exclusion of heretical views. This also characterized King Gwanghaegun's reign during the Mid-Joseon Dynasty. In reality though, the ruling class held mixed opinions about Buddhism, and this influenced the Buddhist community in the Gwanghaegun Period. The military might of Japan demonstrat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led the ruling class to recognize Buddhism, and as a result, the status of Buddhism rose to a certain extent. Based on its elevated status and the aftermath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Buddhist community engaged in social welfare activities inspired by the notion of requiting favors, and the Buddhist community gained recognition for providing relief services. As a result, the number of monks increased, and the economic situation improved as land ownership was granted to temples and monks. This is the means by whic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fluenced the Buddhist policies of the Gwanghaegun Period and changed the religious topography of Buddhism.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the ruling class regarded Buddhism as heretical, but offered posthumous titles to monks who engaged in meritorious servic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Favorable and/or preferential treatment was also granted to some Buddhist monks. In addition, monks began to perform labor projects that demanded organizational and physical strength, such as those which related to national defense and architecture. However, throughout the Gwanghaegun Period, the monks were paid a certain amount of compensation for their labor, and the monks' responsibility for labor increased. This can be understood as a partial reconciliation with Buddhism or an acceptance of Buddhism rather than the suppression of Buddhism often presented by historians. As for policies which affected Buddhism, the Buddhist community showed signs of cooperation with the ruling class, the creation and reconstruction of temples, and the production of Buddhist art. Through close ties with the ruling class, Buddhism during the Gwanghaegun Period saw the Buddhist community actively responded policies that impacted Buddhism, and this allowed their religious orders to be maintained. In this wa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monk, Buhyu Seonsu (浮休 善修) and his disciple Byeogam Gakseong (碧巖 覺性), took up leadership roles in their Buddhist community. The Buddhist-aimed policies of Gwanghaegun were implement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Buddhist community, wherein the ruling class held mixed opinions regarding Buddhism. As such, both improvements and set backs for Buddhism could be observed during that time period. The ruling class actively utilized the organizational power of Buddhism for national defense and civil engineering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Out of gratitude, they implemented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the Buddhists involved. The Buddhist community also responded to policies that affected them through exchanges with the ruling class. They succeeded in securing funds and support to repair and produce Buddhist temples and artworks. A thoughtful inspection of the policies towards and responses to Buddhism during the Gwanghaegun Period, shows that Buddhism actually enjoyed considerable organizational power and influence. This flies in the face of the general description of Joseon Buddhism as "Sungyueokbul (revering Confucianism and supressing Buddhism)."

The Korean Dictionary and the Buddhist Language: Description of Popularity of Buddhism Terminologies (국어사전과 불교 언어: '불교' 영역의 전문용어 기술을 중심으로)

  • Kim, Han-saem
    • Cross-Cultural Studies
    • /
    • v.45
    • /
    • pp.195-218
    • /
    • 2016
  • This paper focuses on the terminology of the dictionary as an encyclopedic element in the Buddhist language. The previous study on Buddhist language can be divided into a philosophical approach to the language itself, a review of the linguistic perspective of a specific monk, and a linguistic examination of the Buddhist language. The linguistic examination of the Buddhist language is further divided into analysis of certain Buddhist scriptures, and a study of vocabulary used throughout the Buddhist sphere. The Buddhist vocabulary in the existing Korean dictionary is found in specialized areas such as name, place name, history, and Buddhism. By advancing the generalized words of the terminologies, the meanings of the terminologies and the general words are described as polysemy.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degree of transition from terminology to general word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of senses. In the case of Buddhist vocabulary, the usage as a general language and as a Buddhist term was given priority, and vocabulary was also derived from a Buddhist term, although it was described as a general language. If a dictionar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language unit it contains, the difference in a Buddhist terminology for each dictionary, and a conflict between the existing academic research result and the prior description, will need to be resolved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religious experts, linguists, and lexicographers.

Koguryo's Buddhist Relations with Silla in the Sixth Century - Focusing on Koguryo's Role in Transmitting the State Buddhism of Northern Wei to Silla

  • Mohan, Pankaj 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19
    • /
    • pp.47-80
    • /
    • 2005
  • 고구려는 지리적인 조건으로 말미암아 삼국 가운데 가장 먼저 불교를 수용할 수 있었으며 5세기부터 7세기사이에 고구려의 불교문화가 백제, 신라와 고대 일본에 전해져 동아시아 전체에 보급되었다. 불교 전래 당시부터 고구려 왕실이 열성적으로 불교를 신봉한 일은 충분히 주목할 가치가 있는데, 왜냐하면 중앙 집권적 국가로 전환을 시도하던 때 마침 불교의 사회적 정치적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불교와 왕권이 상호 관계를 강화하는 쪽으로 힘을 결집시켰는데, 왕실은 불교에 대해서 후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불교는 전륜성왕, 혹은 우주를 지배하는 자, 미륵 그리고 보살 등 모티브의 상징적 중요성을 통치자에게까지 확대시킴으로써 통치자의 지위를 신성시하는 이념적 기틀을 제공하였던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불교를 받아들인 후에 세워진 비문들이 왕명 앞에 성(聖) 자를 붙여 왕의 지위를 신성화하는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은 우연의 일치가 아니다. 4세기말 국가 차원에서 불교를 수용한 고구려와 6세기초 법흥왕 당시의 신라는 시대적인 차이가 있으나, 국가 발전의 같은 단계에 서있었기 때문에 이 두 나라의 초기 불교 정책에 많은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고구려에서 거칠부와 더불어 신라로 넘어 온 혜량법사가 진흥왕 12년에 처음 개최된 백고좌강회는 《인왕경》에 입각한 것이며, 이 법회가 신라인의 사상적 통합과 진흥왕의 위업을 향상하는 데 기여하였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진흥왕이 말년에 승복을 입고 법운이라는 법호를 택했는데 여기서 주목할만한 것은 법운(法雲)이 《십지경》에서 말하는 보살의 수행 최종 단계 그것에서 따온 것이며, 《십지경》은 이미 고구려에 익히 알려졌을 것이었다.신라 화랑이 미륵의 현현으로 여겨졌다 함은 일찍부터 지적되어 온 것입니다만 이 논문에서, 그것은 북중국에서 5·6세기경 유행한 그리고 소미륵으로 간주된 월광동자 (月光童子)신앙이 고구려를 통해 남하여 화랑의 사상적인 바탕이 됐다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 증거로 《수라비구월광동자경》에 나타난 용어와 고대 한반도의 지명을 들 수 있는데 이 경은 고구려의 선인(仙人) 사상 및 신라의 화랑을 간접적으로 직결시킨다는 점도 염두 할 필요가 있다.

  • PDF

불교에서 본 영성

  • In, Gyeong
    • Health and Mission
    • /
    • s.5
    • /
    • pp.30-44
    • /
    • 2006
  • 인간의 본래적 성품과 유식불교에서 분류하는 인간의 마음의 세가지(집착, 관계, 완성)존재형식으로부터 초월적인 존재를 전제하고 있는 영성은 오히려 불교에서는 법성, 각성, 자성,불성의 용어로 표현되어 진다.

  • PDF

A Study on the Foods of Buddhistic Rites in the Young-nam Area of Korea (영남지방 불교식 제사의 제물에 관한 연구)

  • Kim, Sung-mee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6 no.2
    • /
    • pp.229-234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영남지방에 소재 하는 몇몇 사찰을 대상으로 불교식 제사에 차려지는 제물을 연구.고찰하였으며, 이들을 가정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유교식 제사와 비교 검토하였다. 불교식 제사의 제물은 강한 시대성을 볼 수 있어 흥미로웠다. 동물성 식품재료를 배제한 유교식 제사의 제물이 그대로 이용되고 없었으며, 더불어 사탕, 과자, 초콜릿, 카스테라, 젤리 등과 밖의 마시는 음료 즉 사이다. 콜라 등이 진설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통 있는 사찰에서는 불단에 육법공양으로, 향 .등 .다ㆍ 화 .과 . 미(메와 떡) 등이 공양되었고, 영단에만 다섯 가지 나물과 세 가지 전, 메와 갱, 과일, 조과 등과 함께 위의 현대적 과자, 젤리, 사탕 등이 있었으나, 도시에 소재 한 사찰에서는 불단과 영단의 구별 없이 다섯 가지 나물, 다섯 가지 전, 떡(시루떡과 송편), 과일, 여러 가지 과자류와 카스테라 및 음료 등이 똑같이 진설되어 있음이 특징적이었다. 술은 정화수로 대신되고 있었다. 유교가 불교로부터 받은 영향은 향과 다의 이용을 들 수 있겠고 드물기는 하나 기일에 최대의 경건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육식을 하지 않는 가정도 있어 이것은 유교에 미친 불교의 금육주의의 영향이라고 하겠다. 또한 불교가 유교로부터 받은 영향은 관음시식의 영단이라고 하겠다. 영단앞에는 사진이나 지방을 붙이고 있었으며, 유교식 제사의례인 지방을 불사르는 분축의 과정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유교와 불교는 긴 세월을 지나오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오늘의 유교식 제사와 불교식 제사음식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 PDF

In Search of Shin Mahā Buddhaghosa (신 마하 붓다고사 연구)

  • Thaung, U Hla
    • SUVANNABHUMI
    • /
    • v.3 no.1
    • /
    • pp.87-104
    • /
    • 2011
  • 붓다고사(Buddhaghosa)는 불교승려이자 작가로써 상좌부불교에서 가장 뛰어난 승려로 유명하다. 그는 청결을 의미하는 Visudhimagga의 작가로서도 유명한데, 이 작품들은 정전(正典)문학의 백과사전이라 불리고 있으며, 담마의 다양한 보물 컬렉션이라 할 수 있다. 붓다고사는 Visuddhi의 순결함에 도달하기 위해 magga 형식을 설명하고 있고, 불교교리 전체를 조직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붓다고사는 스리랑카어로 쓰여진 atthakathā를 Magadyhi(빨리어)로 변역했다. 이러한 업적으로 그는 명예를 얻었고, 이 작품은 상좌부불교(Theravāda)를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신성한 텍스트로 여겨졌다. 최초의 붓다고사에 관한 전기문은 6세기에 쓰여진 Mahavamsa에 나타난다. 마하밤사에 따르면, 그는 큰 보리수가 있는 인도 마가다국에서 브라만으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Buddhaghosa의 atthakathā를 연구한 Kosanbi박사는 붓다고사는 북인도로부터 온 인물은 아니라고 보았으며, 붓다고사가 미얀마 사람일지도 모른다고 추정했다. 그 이유는 다수의 atthakathā가 미얀마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미얀마뿐만 아니라, 태국 그리고 캄보디아 역시 붓다고사가 자국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5세기부터 더 나아가 11세기 중반까지 하(下) 미얀마의 고대 쀼왕국에서 불교가 매우 번성했다는 지속적인 기록이 있다. 이는 5세기에 붓다고사 전설과 함께 불교를 활성화시켰으며, 상좌부불교와 관련된 조각품들과 비문을 연구하는데 반영되었다. 붓다고사의 자타카 해설은 붓다의 역사적 탄생을 다루고 있으며, 미얀마의 모든 청소년에게 오랫동안 교육자료로 활용되어 왔다. 또한 자타카 해설은 비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테라코타 부조나 11세기와 12세기의 버간사원의 벽화에서도 사용된다. 이처럼 미얀마에서 비석과 테라코타 부조, 그리고 수많은 벽화들이 발견되는 것을 통해 붓다고사가 미얀마 출신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Jeong Mong-joo's Buddhist interpretation in the late Goryeo Dynasty (고려후기 정몽주의 불교이해)

  • Jeong, Seong-sik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59
    • /
    • pp.241-26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Buddhist interpretation of Jeong Mong-joo, a Confucian scholar of the late Goryeo Dynasty. Buddhism in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was no longer able to exercise the social purity of the national spirit and culture. In this situation, Neo-Confucian was gradually accepted. Thus, a change of ideology was made from Buddhism to Confucianism. Jeong Mong-joo's academic world was based on the fundamental scriptures of Confucianism. Jeong Mong-joo was especially well versed on the Book of Changes in the fundamental scriptures of Confucianism. Jeong Mong-joo emphasized the Book of Changes as the basis of the Buddhist interpretation. Jeong Mong-joo met the doctrines through various Buddhist scriptures. He was interested in Buddhism. There were not a few meetings and social gatherings with Buddhist monks. For this reason, Jeong Mong-joo cannot ignore his connection with Buddhism. On the other hand, Jeong Mong-joo is characterized by his understanding of Buddhism and his critical consciousness as Confucianist.

Buddhism as Philosophy and its Doing Philosophy (철학으로서 불교와 철학함)

  • Pak, Byung-kee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2
    • /
    • pp.99-119
    • /
    • 2017
  • Buddhism tends to be accepted as an institutional religion. This is probably due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Buddhism has been accepted as a representative institutional religion along with Christianity since the mid-20th century. In particular, Buddhism is accepted as an institutional religion based on tradition. Buddhism is also accepted as philosophy. Even if the western philosophical background is embraced that defines philosophy as the pursuit of intellectual clarity and wisdom in life, Buddhism is deemed to be classified as a philosophy that allows for the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criticism without unconditionally believing the truth that Gautama Buddha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Buddhism as philosophy like this is directly linked to the possibility of Buddhism for doing philosophy. Doing philosophy in Buddhism can be presented in three processes: keeping a distance from daily life, the observation and concentration based on the distance, and the formation of a new world-view. Doing philosophy is rooted in the same way as meditation in the lives of people tired from post-capitalist everyday life. Nonetheless, Buddhism clearly has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n, thus posing a challenge of establishing a new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hilosophy. The tradition of a strict separation between the religion and philosophy in Christian civilization is still working as a factor that keeps Buddhism from being classified as philosophy. In cases where the pursuit of intellectual clarity and practical wisdom in life is incorporated into the purpose of philosophy, Buddhism can be categorized into having the distinctive function of religion "spiritual peace", and sharing the common function of philosophy and religion "enlightenment." In that sense, it can also be an important task to seek a new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hiloso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