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 특성

Search Result 6,600, Processing Time 0.05 seconds

잣죽의 제조과정에서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관능적 특성의 최적 모니터링

  • Jang, Sun;Lee, Bum-Soo;Eun, Jong-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25.1-225
    • /
    • 2003
  • 잣을 이용한 쌀가루즉석죽 제조조건의 최적화와 제조조건에 따른 관능적 특성을 4차원 반응표면분석에 의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죽의 제조에 이용되는 잣은 가루같이 으깬 것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관능적 특성에 의한 잣죽의 점성에 대한 최적조건은 주입액의 양과 잣의 첨가비율이 각각 쌀가루 무게의 15.52배, 16%, 가열조리시간 7.79 분이었으며 이때 $R^2$는 0.9518, 관능평점은 7.45, 임계점은 maximum point였다. 색상에 대한 최적조건은 19.09배, 45%, 2.16분($R^2$=0.7917)이었고 관능평점은 5.44, saddle point였으며, 맛에 대한 최적조건은 12.90배, 22%, 11.40분($R^2$=0.9361), 관능평점은 7.11, maximum point였고, 향에 대한 최적조건은 15.06배, 20%, 4.9분($R^2$=0.8372), 관능평점은 6.16, saddle point였다. 관능적 특성을 모두 만족시켜주는 최적조건은 주입액의 양과 잣의 첨가비율이 각각 쌀가루무게의 16.86배와 15%, 가열조리시간 5.48분이었고 이때 $R^2$는 0.9738, 관능적 평점은 7.69, 임계점은 maximum point였다. 관능적 특성 중 점성은 맛과 전반적기호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상관계수는 각각 0.8173($R^2$=0.0001), 0.7878($R^2$=0.0002)이었고 맛은 향과 전반적인 기호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상관계수는 각각 0.5196($R^2$=0.0325)과 0.7004($R^2$=0.0017)이었다.

  • PDF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Dough Rheology and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녹차가루 첨가에 따른 밀가루 반죽의 물성 및 호화특성 변화)

  • 오유경;김창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1 no.5
    • /
    • pp.749-753
    • /
    • 2002
  • The effects of green tea powder (GTP)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nd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by farinograph, extensograph, amylograph and DSC. The flours used were high strength flour (HF: 12.5% protein) and blend of 50% high strength flour and 50% low strength flour (HLF: 10.5% protein). As the amount of GTP increased, water absorption, development time and weakness of the dough decreased for both flours, but dough stability increased only for HLF; the extension of the dough decreased but the resistance to extension increased. The pasting temperature increased and maximum viscosity decreased. On the other hand, with the addition of green tea extract to the wheat starch, transition onset temperature, transition peak temper-ature and enthalpy decreased, demonstrating that catechins in green tea facilitate the starch crystal melting.

혐기성 메탄 발효를 이용한 다양한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 특성

  • Kim, Jung-Gon;Jo, Geon-Hyeong;Jeong, Hyo-Gi;Jeon, Yeong-Nam;Kim, Si-Uk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4a
    • /
    • pp.374-37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naerobic methane fermentation using several organic wastes. The substrates used in this study were food wastes, vegetable wastes, and cow manure. The substrates were mixed with inocula (mixed methanogenic fluid) at a ratio of 1:1, and several parameters such as TS, VS, sCOD, and biogas production have been monitored. Anaerobic degradation of food wastes were occurred in the intial stage of cultivation, whereas that of vegetable wastes were occurred in the late stage. However, in case of cow manure, the degradation was occurred two times both in the intial and the late stage of reaction.

  • PDF

PLL for Unbalanced Three-Phase Utility Voltage using Positive Sequence Voltage Observer (정상분 전압 관측기를 이용한 불평형 3상 전원의 PLL)

  • Kim, Hyeong-Su;Choi, Jong-Wo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3 no.2
    • /
    • pp.145-151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the PLL method using positive sequence voltage which is estimated by full-order state observer to find an accurate phase angle under the condition of unbalanced utility voltage. The proposed method uses the full-order state observer instead of existing method(APF All Pass Filter) to find a positive sequence of a utility voltage and this proposed method improves transient response of an estimated phase angle when a three-phase utility voltage becomes unbalanced. To compare proposed method withexisting method, experiments have been done for a phase angle detection of utility voltage when a three-phase utility voltage becomes unbalanced. Their results show that transient state response of proposed method is improved.

Characteristics of Sensible Heat Storage for Gravel (자갈의 현열축열 특성)

  • 이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64-57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크기가 서로 다른 자갈로 이루어진 3종류의 축열 매체에 대한 현열축열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 종 자갈: 축열조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5$0^{\circ}C$와 62$^{\circ}C$ 일 때, 축열조 출구의 공기온도가 33$^{\circ}C$에 도달될 때까지 가열되는 축열시간은 각각 170분과 130분이었으며, 방열시간은 각각 210분 및 250분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열시 출열조 출구의 최고 공기 온도는 공급공기의 온도가 5$0^{\circ}C$와 62$^{\circ}C$ 일 때 각각 34.5$^{\circ}C$ 및 36.5$^{\circ}C$였으며, 출구 공기온도 33$^{\circ}C$이상을 기준으로 한 열 회수 시간은 각각 100분 및 115분으로 나타났다. (2) 제 2종 자갈: 축열조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52$^{\circ}C$와 64$^{\circ}C$ 일 때, 축열조 출구의 공기온도가 33$^{\circ}C$에 도달될 때까지 가열되는데 소요된 시간은 각각 175분과 140분이었고, 방열에 소요된 시간은 각각 215분 및 250분으로 나타났다. 방열과정 동안 축열조 출구의 최고 공기온도는 공급공기의 온도가 52$^{\circ}C$$65^{\circ}C$ 일 때 각각 35$^{\circ}C$ 및 38$^{\circ}C$였다. 축열조 출구의 공기온도 33$^{\circ}C$를 기준으로 한 열 회수 시간은 유입공기 온도가 52$^{\circ}C$ 및 64$^{\circ}C$ 일 각각 120분 및 140분으로 나타났다. (3) 제 3종 자갈: 축열조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52$^{\circ}C$와 64$^{\circ}C$ 일 때, 축열조 출구의 공기온도가 33$^{\circ}C$에 도달될 때까지 가열되는데 소요된 시간은 가열공기의 온도가 52$^{\circ}C$와 64$^{\circ}C$ 일 때 각각 180분과 150분이었고, 방열에 소요된 시간은 각각 240분 및 270분으로 나타났다. 방열과정 동안 축열조 출구의 최고 공기온도는 가열 공급공기의 온도가 52$^{\circ}C$$65^{\circ}C$일 때 각각 35.5$^{\circ}C$ 및 39.5$^{\circ}C$였다. 출구 공기온도 33$^{\circ}C$이상을 기준으로 한 에너지 회수시간은 유입공기 온도가 52$^{\circ}C$ 및 64$^{\circ}C$일 때 각각 140분 및 160분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자갈이 작을수록 축열조 출구의 공기온도가 기준온도 33$^{\circ}C$에 도달되는 시간이 길었으며, 이것은 축열조내의 공극이 작고 비중량이 커 자갈층을 가열시키는 축열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작은 자갈일수록 방열시간도 다소 길어져 회수 가능 열에너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Using Minutely Rainfall Data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공간상관구조 분석)

  • Park, Chang-Yeol;Kim, Kyoung-Jun;Hwang, Jung-Ho;Jun, Kyung-Soo;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90-79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분단위 강우자료(MMR)를 이용하여 시간해상도에 따른 강우의 공간상관구조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변량 혼합분포를 이용하여 강우를 모형화한 후 정규분포와 대수 정규분포를 고려하여 시간해상도별로 공간상관함수를 유도하고 그 변동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분단위 강우 자료를 호우 발생 특성별(태풍, 장마, 대류성 강우)로 분류하여 이에 대한 공간상관함수를 각각 유도하였다. 이때 시간해상도를 고려하기 위한 대상 집성시간은 1, 2, 3, 5, 10, 30, 60분이고, 대상지점은 중부지역의 27개 우량관측소 지점을 이용하였다. 그 적용 결과 분단위 강우자료의 경우 무강우 자료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간상관거리는 적용 분포형, 호우 발생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분의 경우 약 $9{\sim}15km$, 60분의 경우 약 $21{\sim}53km$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강우의 집성시간이 길어질수록 공간상관특성이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고 공간상관거리가 길어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분단위 강우자료의 관측소 밀도가 시단위 강우자료 관측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음을 나타내며,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지점빈도해석과 같은 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할 경우 적절한 개선방안이 제시되어야함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 PDF

Dough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added with Barley Flour (보릿가루 첨가 복합분의 반죽 물성 및 빵의 품질 특성)

  • Ha, Dung-Minh;Park, Yang-Kyun;Kang, Jeong-Hwa;Kim, Myung-Hee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9 no.3
    • /
    • pp.344-353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with Saesalbori (non-waxy barley) and Saechalbori (waxy barley) flours added at concentrations of 10, 20, and 30% to wheat flour. The maximum viscosity increased in the Saesalbori flour mixtures and decreased in the Saechalbori flour mixtures. The dough stability of the 10% barley flour mixtures was equal to that of the control while that of the 30% barley flour mixtures decreased more. The extensibility of the dough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level of barley flour in all the blends, but the resistance of the dough increased. As the ratio of barley flour increased, the loaf volume of the bread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the bread weight increased. The 10% Saesalbori flour mixtures increased the hardness of the breads but did not cause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other TPA parameters while the 10% Saechalbori flour mixtures did not cause any change in all the TPA parameters.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10% barley flour mixtures had no significantly different overall acceptance from the control, and that the 20% substitution still resulted in acceptable sensory qua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bread-making properties of Saesalbori were improved by germination, but those of Saechalbori declin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Using the Salt-Stressed Yeast Method (소금 스트레스 방법으로 처리한 이스트를 사용한 식빵의 품질특성)

  • Lee, Jun-Yul;Lee, Kwang-Suck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8 no.4
    • /
    • pp.266-276
    • /
    • 2012
  • Salt, one of the main ingredients to make bread, functions differently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usage levels and methods. We examined the effects of yeast soaking time in about 8% salt solution on gas production and fermentation rate of dough and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Gas retention, related to gas production and fermentation rate, was the best at the 45 min soaking time. And pH of dough was appropriate to the fermentation in the range of 15 to 45 min of soaking time. Volume and specific volume of bread were best in 45 min soaking time(p<0.001), but the hardness of crumb texture analyzed with TA was the hardest among the samples(p<0.001). Brightness of color(L valu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oaking time(p<0.001), but b value was not consider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test, the white pan bread made with 45 min soaking time in salt solution was preferred the most.

  • PDF

A PAH degradation study by soil microorganisms (토양 미생물에 의한 PAH 분해 특성)

  • Jang Tae sik;Cho Daechul;Huh Nam S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5.05a
    • /
    • pp.301-302
    • /
    • 2005
  • PAHs의 분해를 위해 Bacillus subtilis 와 Phanerochaete chrysosporium의 두 미생물을 사용하였고, 이들을 부착시킬 담체로 코르크와 톱밥를 선정하여 미생물을 접종시켰다. Phenanthrene 분해의 경우, 반응 초기에는 분해 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반응 12일째 분해 속도가 떨어졌다. 분해 속도는 1)톱밥에 담지한 Bacillus subtilis, 2)코르크에 담지한 Bacillus subtilis, 3)톱밥에 담지한 Phanerochaete chrysosporium, 4)코르크에 담지한 Phanerochaete chrysosporium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ive Spatial Partitioning Technique for Query Result Size Estimation (질의 결과 크기 추정을 위한 효과적인 공간 분할 기법)

  • 김현국;김학자;황환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55-57
    • /
    • 2002
  •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규모는 매우 방대하여 질의 처리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위해서는 질의 수행 결과의 예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실제 공간 데이터의 특성을 근접하게 나타내는 요약 데이터를 생성하여 그 결과를 통해 질의 결과의 크기를 추정하게 된다. 기존의 공간 데이터 요약 기법으로는 면적 균등 분할 기법, 개수 균등 분할 기법, 인덱스 분활 기법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다양한 분말 기법에 대해 알아보고, 힐버트 공간 재움 곡선 방법에 개수 균등 분말 기법을 적용시킨 새로운 공간 분할 방법을 제안하여 기존의 방법과 새로운 방법의 성능을 비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