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포형모델

Search Result 60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Numerical Model for Spreading of Cochlodinium Bloom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in Korea (한국 남해안에서 Cochlodinium적조 확산모델)

  • Kwon Chul Hui;Cho Ku Dae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5 no.6
    • /
    • pp.568-577
    • /
    • 2002
  • The spreading Cocuoainim polykikoides bloom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was simulated using numerical model including the physical processes of water flow and the chemical processes of increasing cell of C. polykikoides by uptake of dissolved nutrients. The circulation of sea water was simulated by two dimensional tide model reflecting the main four tidal components of $M_2,\;S_2,\;K_1,\;O_1$, and permanent current was driven by inflow/outflow across open boundari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model which tidal and permanent current were reflected simultaneously, eastward flows entering the southern waters from the western waters of Korea are dominant but westward flows are weak relatively. These result suggest that it is difficult for initial C. polykikoides bloom generated in the coastal waters of Goheung to move to the western coast of Korea through Jeju Strait. For spreading model of C. poiyhikoides, the range of generating distribution and the generating time of C. polykikoides bloom in coastal area are similar to those of observation data in the field. Wind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moving and distribution of red tide. Permanent current flowing eastward is also considered to be important factor and tidal current was a little influenced.

Indicator 크리깅을 이용한 부산지하수 수질의 오염도 연구

  • 강동환;정상용;김병우;심병완;성익환;조병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249-253
    • /
    • 2003
  • 강서구를 제외한 부산 전지역에서 1998년도에 조사된 지하수 수질 중 6개 성분(pH, TS, KMnO$_4$, Cl, SO$_4$, NO$_3$-N)에 대한 일반통계분석 결과 pH 성분을 제외하고는 5개 성분의 중앙값이 평균보다 적은 값을 보이는 양성왜도를 보임으로써, 수질오염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지시크리깅이라는 비모수적인 지구통계분석기법을 적용하였다. 6개 수질성분에 대해 음용수 기준치를 적용하여 음용가능은 “1”의 값이, 음용불가능은 “0”의 값이 주어졌다. 이렇게 변환된 자료를 이용하여 각 성분별로 실험적인 베리오그램 분석을 실시한 결과 pH, TS, SO$_4$ 성분은 선형모델이 선정되었으며, KMnO$_4$, Cl, NO$_3$-N 성분은 구상형모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시크리깅을 이용하여 6개 성분의 분포도를 작성하고 부산지역의 오염정도를 분석하였다. 지시크리깅기법은 연구지역 전체의 정량적인 분포를 나타내지는 못하지만, 오염의 유.무와 오염의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이상치(outlier)가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계학적인 오류를 보완할 수 있다.

  • PDF

Application and Accuracy Improvement of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Data for Rainfall and Flood Forecasting (강우 및 홍수 예측을 위한 수치예보자료의 적용 및 정확도 개선)

  • Moon, Hyeji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0-10
    • /
    • 2018
  •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여 치수 구조물의 설계 홍수 빈도를 초과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침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수치예보자료를 활용한 홍수 예 경보시스템의 적용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수치예보자료는 국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국지예보모델(LDAPS)과 일본 기상청의 중규모모델(Meso-scale Model ; MSM)을 이용하였으며, 남강댐 유역 내의 산청 유역에 대해 태풍 및 정체 전선 등 3 개의 강우사상을 선정하였다. 강우유출 해석에는 분포형 수문 모형인 KWMSS(Kinematic Wave Method for Subsurface and Surface)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LDAPS와 MSM 모두 강우발생 유무를 잘 재현하였다. 특히, 광역적 강우인 태풍사상에 대해 강우 예측에서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강우 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강우장의 공간 변위를 고려하여 앙상블 강우 분포를 적용한 결과, 강우 예측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 예측의 경우 두 수치예보자료 모두 유출 패턴을 잘 재현하였다. 앙상블 홍수 예측 결과, 단일 강우 자료를 통한 홍수 예측에서의 예측 불확실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의 강우 사상에 대해 MSM의 예측 결과가 LDAPS의 예측 결과보다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강우 및 홍수 예측에 수치예보자료의 적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홍수 예 경보의 기초자료로 활용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Extreme Wind Speeds in Southern and Western Coasts by Typhoon Simulation (태풍 시뮬레이션을 통한 서남해안의 극한풍속 예측)

  • Kwon, Soon-Duck;Lee, Jae-Hyo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4A
    • /
    • pp.431-438
    • /
    • 2008
  • An updated Monte Carlo procedure for Typhoon simulation is presented to estimate the extreme wind speed at typhoon prone southern and western coasts in Korea. The reconstructed wind field model for typhoon in this study is compared with measured typhoon data for validation. The fitness of the proposed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for typhoon parameters are tested by using data for the typhoon passed near the specific site. The simulated maximum wind speed associated with various return periods along southern and western coasts indicate that the extreme wind speed gradually increases inversely according to latitude of the coast, and that the basic wind speeds given in Korea Bridge Design Code are excessive compared with present results.

3-D FEA of three different single tooth abutments : Cement-retained Vs Screw-retained (3종의 단일치아 수복용 지대주의 삼차원 유한요소법적연구 : 시멘트 유지헝 대 나사 유지형)

  • Lee, Jung-Min;Kim, Yung-Soo;Kim, Chang-Whe;Kim, Yong-H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37 no.2
    • /
    • pp.269-288
    • /
    • 1999
  • 현재 골 유착성 임플랜트는 안전하고 유용한 보철 수복 분야의 하나로 자리잡아 가고있다. 과거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 있어서 저작 기능의 회복이란 면에 중점을 두었던 경향에서 현재 골유착 임플랜트의 높은 성공률에 의해 부문 무치악, 단일치 수복에 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심미성과 인접치의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는 면에서 단일치 수복에서 골유착 임플랜트 치료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단일치 수복에 있어서 심미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런 수복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계통의 임플랜트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 가장 기본적인 Branemark 계통의 CeraOne 지대주, 최근에 개발된 전부도재 지대주인 CerAdapt 전부주조 지대주인 UCLA 계통등은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임상가들에 의해 나사유지형 보철물이 착탈성이란 관점에서 선호되고 있다. 시멘트유지형 보철물에서는 나사공이 없는 온전한 교합면을 유지한다는 면과 교합력을 받는 면적에 있어서 더 넓은 면을 가진다는 점등 더 많은 장점을 가진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임상가들의 기호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 유지형에 있어서 교합력이 야기하는 하중하에서 각각의 응력 분포를 분석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 연구는 단일치 수복에 사용되는 CeraOne, CerAdapt UCLA 계통에서 각각의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유지형에서의 응력분포를 삼차원 유한요소법으로 분석하고 상부 구조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 수평 하중, 경사 하중에 의해 야기되는 응력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eraOne, CerAdapt, UCLA 지대주 모두 시멘트유지형보다 나사유지형에서 응력집중이 컸다. 2. CeraOne 시멘트유지형인 1번 모델에서 응력분산이 유리하였고, UCLA 나사 유지형인 6번 모델에서 가장 불리하였다. 3. 모든 모델에서 고정체 경부에서 가장 큰 응력 집중이 있었고 이것은 UCLA 지대주에서 가장 컸다. 4. 상부 구조물에서 주된 응력의 집중은 교합면에서 일어났다. 5. 골은 상부 피질골, 즉 고정체경부와 만나는 부위에서 가장 큰 응력의 집중이 일어났으며 수평, 경사 하중시 응력집중 양상은 힘을 가한 쪽의 반대쪽 고정체 경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6. 전체 모델과 골, 고정체 모두에서 수평 하중과 경사 하중시 보다는 수직 하중시 더 적은 응력값을 보였다.

  • PDF

Design and Analysis for the Propeller of MAVs in Low Reynolds Number Flows (저레이놀즈수 영역의 초소형비행체 프로펠러 설계 및 해석)

  • Lee, Ki-Hak;Kim, Kyu-Hong;Lee, Kyung-Tae;Ahn, J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0 no.5
    • /
    • pp.1-8
    • /
    • 2002
  • The performance of MAV(Micro Air Vehicles) propellers is highly affected by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2-D blade airfoil shapes. XFOIL is used to predict the lift and drag coefficients in low Reynolds Number flows. ARA-D 6%, which shows a good performance in low Reynolds Number regions, is selected as a blade airfoil. The 3-D propeller blade shape is optimized with the minimum energy loss cond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aerodynamic coefficients of ARA-D 6% is calculated. The designed optimal blade is compared with the Black Widow's propeller blade shape in the same condi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signed propeller installed in MAV can provide a good performance.

Evaluation of baseflow variations by Bokha steam via watershed-scale coupling of SWAT and MODFLOW (SWAT-MODFLOW를 연계한 복하천유역 기저유량 변동성 분석)

  • Han, Daeyeong;Jang, Wonjin;Lee, Jiwa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30-130
    • /
    • 2020
  •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 따르면 전국 지하수위는 지하수 이용의 지속적인 증가와 도시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감소 등으로 최근 매년 조금씩 감소하고 있다. 특히, 환경부의 지하수조사연보(2018)에 따르면 남한강하류 중권역은 한강수계 전체 지하수 사용량의 약 34.5 %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2009년에 비하여 2017년의 지하수위는 1.4 m의 감소 되었다. 본 연구는 한강유역에서 지하수 개발밀도가 높은 이천시에 위치해 있는 복하천 유역(303.8㎢)을 대상으로 지하수위 감소에 따른 기저유량 변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SWAT-MODFLOW(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MODFLOW)을 적용하고자 한다. SWAT-MODFLOW는 준분포형 장기유출모형 SWAT과 3차원 분포형 지하수 모의가 가능한 MODFLOW를 연계한 모형이며, MODFLOW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일별 지하수 함양량의 분포와 SWAT만으로는 계산 불가능했던 지하수위의 시공간 분포를 보완하여 재생함으로써 두 모형의 한계를 극복한 모델이다. SWAT의 검보정 결과로서는 RMSE는 10.6 mm/day, NSE는 0.72, R2는 0.69 효율이 나타났으나, 지하수 유출이 보정되지 않아 MODFLOW의 입력자료인 토양두께(m), 수리전도도(m/day), 비저류량(1/m), 비산출율을 토양통에 따라 분류한 해외논문(Steven et.al 2005) 자료를 산정하여 SWAT-MODFLOW 두모형을 연계한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지하수 유출을 보완하였고 SWAT과 SWAT-MDFLOW 지하수 유출량 비교뿐만이 아닌 SWAT-MODFLOW의 출력자료인 지하수위 및 지하수 충진량을 검토하였다.

  • PDF

A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apered internal connection implant system (Avana SS $III^{(R)}$) on different abutment connections (경사형 내부연결 임플란트 시스템 (SS $III^{(R)}$)에서 지대주 형태에 따른 응력분포의 3차원 유한요소 분석)

  • Lee, Hye-Sung;Kim, Myung-Rae;Park, Ji-Man;Kim, Sun-Jong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48 no.3
    • /
    • pp.181-188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res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our different abutment connections on SS-$III^{(R)}$ fixture under occlusal loading, using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The fixture of SS-$III^{(R)}$ (Osstem, Korea) with 4 mm diameter and 11.5 mm length and 4 types of abutments were analyzed; Solid, Com-Octa, ComOcta Gold, and Octa abutment. The models were placed in the area of first molar in the mandible. The 4 loading conditions were; (1) the vertical loading of 100 N on the central fossa, (2) the vertical loading of 100 N on the buccal cusp, (3) the $30^{\circ}$ inclined loading of 100 N to lingual side on the central fossa, and (4) the $30^{\circ}$ inclined loading of 100 N to the lingual side on the buccal cusp. The 3G.Author program was used, the von-Mises stress was calculated and the stress contours were plotted on each part of the implant systems and the surrounding bone structures. Results: Regardless of abutment types and loading conditions, higher stress concentration was observed at the cortical bone. In cancellous bone, the highest stress was observed at apical portion and the maximum stress occurred at the implant neck. The higher internal stress was observed in the fixtures than in the bone. The lowest stress was observed at loading condition 1 and the stress concentration was also lower than any other loading conditions.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 of the result of this study, it seems that the abutment connection type does not affect much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bone structure.

Exploring Branch Structure across Branch Orders and Species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ing and Quantitative Structure Model (지상형 라이다와 정량적 구조 모델을 이용한 분기별, 종별 나무의 가지 구조 탐구)

  • Seongwoo Jo;Tackang Ya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6 no.1
    • /
    • pp.31-52
    • /
    • 2024
  • Considering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 tree's branch structure and physiology, understanding the detailed branch structure is crucial for fields such as species classification, and 3D tree modelling. Recently, terrestrial laser scanning (TLS) and quantitative structure model (QSM) have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branch structures by capturing the radius, length, and branching angle of branches. Previous studies examining branch structure with TL S and QSM often relied on mean or median of branch structure parameters, such as the radius ratio and length ratio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as representative values. Additionally, these studies have typicall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nk and the first order branch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stribution of branch structure parameters up to the third order in Aesculus hippocastanum, Ginkgo biloba, and Prunus yedoensis. The gamma distribution best represented the distributions of branch structure parameters, as evidenced by the average of Kolmogorov-Smirnov statistics (radius = 0.048; length = 0.061; angle = 0.050). Comparisons of the mode, mean, and median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most representative measure indicating the central tendency of branch structure parameters. The estimated distributions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mode and mean (average of normalized differences for radius ratio = 11.2%; length ratio = 17.0%; branching angle = 8.2%), and between the mode and median (radius ratio = 7.5%; length ratio = 11.5%; branching angle = 5.5%). Comparisons of the estimated distributions across branch orders and species were conducted, showing variations across branch orders and species. This study suggests that examining the estimated distribution of the branch structure parameter offer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branch structure, capturing the central tendencies of branch structure parameters. We als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xamining higher branch orders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branch structure, highlighting the differences across branch orders.

Modelling of sediment yields of Yongdam basin using SWAT model (SWAT 모델을 이용한 용담댐 유역 유사량 모의)

  • Lee, Geun-Sang;Kim, Yu-Ri;Ye, Lyeong;Lee, Eul-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34-938
    • /
    • 2009
  • 금강상류유역에 위치한 용담다목적댐은 2001년에 준공되어 전북지역과 서해안 산업 개발지역에 공급하고 있다. 용담댐 하류유역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상류유역에 관한 연구는 그 수가 미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SWAT 모델을 이용하여 용담댐 상류유역에 대한 유출량과 유사량을 기측정된 자료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준 분포형 강우-유출 모델인 SWAT 모델을 이용하여 용담댐유역에 대한 유출량과 유사량을 산정하였다. 모형을 구축하고자 DEM과 토지이용도, 토양도를 사용하여, 총 208개의 HRU를 생성하였으며, 천천과 동향 수위국 및 용담댐에 대해서 월유출량을 Calibration 결과는 천천의 EI와 $R^2$는 각각 0951과 0.952이며, 동향의 EI와 $R^2$는 각각 0.868과 0.869로 나타났으며, 용담댐의 EI와 $R^2$는 각각 0.938과 0.964로 나타났다. 월 유사량에 대한 천천의 EI와 $R^2$는 각각 0.943과 0.947이며, 동향의 EI와 $R^2$는 각각 0.759과 0.772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본 연구에서는 용담댐 상류유역에 대한 하천유입량과 유사량의 변화를 기구축된 자료와 비교 검토한 결과 SWAT 모델이 용담댐 상류유역의 유출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용담댐 하천 유입량과 유사량 변화를 예측하는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