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자 모형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6초

알칸싸이올 이징 모형의 자기 조립 단분자층 시뮬레이션 응용 (Ising Model of Alkanethiol and Its Application to Simulation of a Self-Assembled Monolayer)

  • 변기상;송승민;장준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6호
    • /
    • pp.345-349
    • /
    • 2020
  • 금 표면 위에서 알칸싸이올 분자가 자기조립을 통해 단분자층을 만들 때 싸이올기가 화학 흡착을 못하고 알킬기가 물리 흡착을 하는 결함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결함은 열적 어닐링 과정으로 제거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우리는 알칸싸이올 분자에 대한 이징 모형을 제시하고 단분자층 어닐링 과정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였다. 새로운 이징 모형은 선행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에서 나타난 어닐링을 통한 단분자층의 결함 제거를 성공적으로 재현할 수 있었다.

랜덤 워크를 사용한 박막 성장 특성 연구

  • 이영규;이두원;장지혜;김효정;장준경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4회(2015년)
    • /
    • pp.111-116
    • /
    • 2015
  • 우리는 딥펜나노리소그래피에서 일어나는 박막 성장에 관한 잉크 확산 모형을 랜덤 워크 방법을 사용해 구현하였다. 분자동역학 연구를 바탕으로 제안된 hopping down, serial pushing, 단일 밀림 길이를 고려한 모형에 따른 박막 성장 특성을 비교하였다. 모형에 따라 그 박막 성장 특성에 확연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잉크 분자와 기판 사이의 결합력이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원자힘현미경 탐침에서 떨어지는 잉크 분자의 속도와 단일 밀림 길이에 따른 박막 성장 차이를 알아보았다. 단일 밀림 길이가 커질수록, 탐침에서 떨어지는 잉크 분자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가지 모양의 박막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얼음의 분자구조에 대한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에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들의 인식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Awarenes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Learning Situation through Scientific Inquiry about Molecular Structure of Ice in Darkroom)

  • 김학범;차정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5호
    • /
    • pp.277-285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예비 화학교사들이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을 통해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에 대한 탐색과정과 이해를 조사하고, 이로부터 시각장애학생의 과학 교수 학습지도에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경북 지역의 사범대학 3학년에 재학중인 예비 화학교사 21명에게 '얼음의 분자구조'에 대한 모형을 암실 속에서 탐색하게 하였다. 암실에서 이루어진 연구자와의 개방적 대화와 끝난 다음의 자유토론을 녹음하여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 화학교사들은 암실 속에서 '얼음의 분자구조' 모형을 탐색하고 학습내용을 구상하면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이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얼음의 분자구조는 잘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자신의 암실활동 경험에 비추어 시각장애학생이 학습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예비 화학교사들은 연구자가 제시한 분자모형을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초인지 수업모형이 초등학생들의 분자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Metacognitive Instruction Model on the Changes of Molecular Concepts)

  • 신미경;고영신;최영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65-77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인지 개념변화 수업 모형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분자'와 '분자 운동'에 대한 개념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분자'와 '분자 운동'에 대한 개념과 초인지 자기조정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수업 전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박종원과 심재학의 초인지 수업모형과 학생들의 개념을 바탕으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수업프로그램은 수업 절차와 그 절차에 따른 초인지 질문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험 집단은 초인지 전략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비교 집단은 국정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일반적 수업 방법에 의해 지도되었다. 분자 단원의 지도가 끝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형성된 개념의 지속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업 6개월 후에 개념 검사를 다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적 탐구 방법을 적용한 비교 집단 보다 초인지 전략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에서 개념의 형성 및 지속의 효과가 p< .05수준에서 유의미하게 컸으며 특히,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구체적 개념은 같으나 제시된 실험 상황이 교과서 내용과 다를 때에 더 높은 개념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초인지 수업모형은 초인지 자기조정 수준 하위의 학생들보다 상위의 학생들의 개념변화와 지속에 효과적이었다. 즉 초인지 수업 전략은 학생들의 분자개념 변화와 지속에 효과적이며 학습한 개념을 관련되는 다른 개념들과의 전체적인 구조 속에서 인식함으로써 형성된 개념을 여러 구체적 상황에 적용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초인지 자기조정 수준 상위의 학생들은 초인지 전략을 쉽게 학습하는데 비해 하위의 학생들은 새로운 학습 방법을 배우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성간 물질에서 발견되는 분자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전산 모사 연구 (Understanding Correlations among Observed Interstellar Molecules with Numerical Simulations)

  • 윤정관;곽규진
    • 천문학회보
    • /
    • 제44권1호
    • /
    • pp.73.1-73.1
    • /
    • 2019
  • 성간 물질의 분광선 관측을 통해 측정된 분자들의 기둥 밀도 사이에 상관 관계가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가령 같은 시선 방향을 따라 측정된 H2, CO, CH 분자의 기둥 밀도가 서로 선형 상관 관계를 갖고 있음이 최근 밝혀졌다. 이러한 분자들의 상관 관계는 분자 구름의 물리, 화학적 기원 및 성질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아직까지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간 물질 혹은 구름 모형의 전산 모사를 통해 이러한 상관 관계를 재현함으로써 성간분자 구름의 물리적 특성, 화학적 조성, 그리고 환경 변수들을 영향을 이해하려고 한다. 성간 분자 구름의 화학적 조성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계산하기 위해 Astrochem을 이용하였다.

  • PDF

딥러닝 예측 기반의 OLED 재료 분자구조 가상 스크리닝 (Deep-learning Prediction Based Molecular Structure Virtual Screening)

  • 전예린;이규황;이호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2호
    • /
    • pp.230-234
    • /
    • 2020
  • 딥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자 구조로부터 물성을 예측하는 시스템은 화학, 생물학, 재료 연구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분자 구조와 물성 정보가 축적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구조와 물성간의 관계식을 찾는 딥러닝 모형을 구축한 후 최종적으로는 새로운 분자 구조에 대한 물성 예측값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정된 분자 구조의 실제 물성값에 대한 실험을 병행하여 지속적인 검증 및 모형 업데이트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다량의 분자구조로부터 물성이 우수한 분자 구조를 빠른 시간 안에 스크리닝할 수 있으며, 연구의 효율성 및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을 활용한 물성 예측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과 LG화학에서 실제 신규 구조 발굴에 적용된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시각장애 중고등학생의 물의 상태변화 개념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Visually Impaired Secondary Students' Conception of the Changes of State of Water)

  • 김학범;차정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43-51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를 가진 중고등학생의 물의 상태변화 개념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린 시각장애학생 대상의 과학탐구 활동에 참여한 중학생 16명과 고등학생 15명으로, 이 중 14명은 전맹, 13명은 저시력이었으며 나머지는 파악되지 않았다. 탐구활동은 이 연구를 위해 제작한 물과 얼음의 분자모형을 참여 학생들에게 개별적으로 탐색하면서 연구자와 대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이 모형에 대한 탐색을 마친 후 물의 상태변화 개념과 관련지어 설명하도록 하였으며, 모형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면담을 실시하였다. 모든 대화는 녹음되었고 그 자료를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학생들은 활동에 사용된 모형의 재료와 개수에 대해서는 정확히 대답하였지만 무엇을 표현한 모형인지 설명하기 어려워하였다. 물의 분자와 상태변화에 대해 배운 경험이 있다고 대답하였으나 그 개념에 대해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거나 현상적인 경험에 기초한 수준에 불과했다. 활동을 통해 시각장애학생들은 물과 얼음의 분자구조와 상태변화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고, 연구에서 사용된 모형이 필요하며 유용하다고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1-(3 Carbamoyl-3,3-diphenylpropyl)-1-methylhexahydro-1H-azepinium iodide $(C_{23}H_{31}N_2O\cdot I)$의 결정 및 분자구조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1-(3 Carbamoyl-3,3-diphenylpropyl)-1-methylhexahydro-1H-azepinium iodide $(C_{23}H_{31}N_2O\cdot I)$)

  • 김문집;이재혁;이한준;김대영;정인창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5-129
    • /
    • 1999
  •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1-(3 Carbamoyl-3,3-diphenylpropyl)-1-methylhexahydro-1H-azepinium iodide[이하: DIP]의 분자 및 결정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결정의 분자식은 C23H31N2O·I, 결정계는 Monoclinic이며 공간군은 P21이다. 단위포 상수는 a =8.937(1) Å, b=19.522(2) Å, c=6.485(2) Å이며, β= 105.18(2)°, V=1091.9(6) Å3, T=293(2)K, Z=2, Dc=1.45 Mgm-3이다. 회절반점들의 세기는 Enarf-Nonius CAD-4 diffractometer로 얻었으며 Mo Katjs(λ=0.71073 Å)을 사용하였다. 분자구조는 직접법으로 개략적인 분자모델을 설정하고, Fo>4σ(Fo)인 4112개의 독립 회절 데이터에 대하여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여 최종 신뢰도 값 R=5.23%인 최종적인 분자모형을 구하였다.

  • PDF

유기색소분자와 전해질고분자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구조론적 연구 (I). Methylene Blue 및 Acridine Orange의 Stacking 효과 (Structural Studies upon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Organic Dyestuffs and Polyelectrolytes (I). The Stacking Effect of Methylene Blue and Acridine Orange)

  • 박종회;신대현;윤석승;박무순;이홍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9-295
    • /
    • 1986
  • 전해질 고분자인 polyvinylsulfate(PVS) 및 polystyrenesulfonate(PSS) 존재하에서 나타나는 methylene blue(MB) 및 acridine orange(AO)의 metachromasy현상을 각각 분광학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P/D값의 변화에 따르는 meta-band의 특성적 변화는 stacking이론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며 PVS-dye계의 stacking효과는 PSS-dye계의 그것보다 더 강하였거 MB가 AO보다 더 강한 stacking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전에 제안한 바 있는 평면구조의 방향색소들이 수용액속에서 형성하는 dimer의 모형과 dimension을 근거로 고분자사슬 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색소분자들의 stacking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이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이 모형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밝혀진 실험적 결과와 비교 검토한 결과 합리적임이 발견되었다.

  • PDF

기체 분자의 운동 방식에 관한 예비 화학 교사들의 오개념: 병진, 진동 그리고 회전 운동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Misconceptions about Motions of Molecular Gases: Translational, Vibrational and Rotational Motion)

  • 서영진;최진권;채희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799-808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기체 분자의 운동 방식에 관한 예비 화학 교사들의 오개념을 조사하기 위해 교재 분석 및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화학 교재는 간단한 모형과 기본적인 개념 설명을 통해 기체 분자 운동을 다루고 접근 방식에서 차이를 보일 뿐 아니라 회전 운동에서 무게 중심에 대한 언급이 없는 교재가 상당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물리화학 교재는 주로 분광학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였고 심화된 내용을 다양한 모형을 통해 제시하였으며 조사한 모든 교재에서 회전 운동의 무게 중심을 언급했다. 한편, 예비 교사들은 기체 분자의 운동 방식에 대한 이해 정도 및 자신감이 상당히 낮았으며, 많은 오개념을 지니고 있었다. 이는 예비 화학 교사들이 자신의 선개념에 근거한 직관 및 교재에서 제시한 시각 자료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