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자 구조

Search Result 2,283,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1-(3 Carbamoyl-3,3-diphenylpropyl)-1-methylhexahydro-1H-azepinium iodide $(C_{23}H_{31}N_2O\cdot I)$ (1-(3 Carbamoyl-3,3-diphenylpropyl)-1-methylhexahydro-1H-azepinium iodide $(C_{23}H_{31}N_2O\cdot I)$의 결정 및 분자구조)

  • 김문집;이재혁;이한준;김대영;정인창
    • Korean Journal of Crystallography
    • /
    • v.10 no.2
    • /
    • pp.125-129
    • /
    • 1999
  •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1-(3 Carbamoyl-3,3-diphenylpropyl)-1-methylhexahydro-1H-azepinium iodide[이하: DIP]의 분자 및 결정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결정의 분자식은 C23H31N2O·I, 결정계는 Monoclinic이며 공간군은 P21이다. 단위포 상수는 a =8.937(1) Å, b=19.522(2) Å, c=6.485(2) Å이며, β= 105.18(2)°, V=1091.9(6) Å3, T=293(2)K, Z=2, Dc=1.45 Mgm-3이다. 회절반점들의 세기는 Enarf-Nonius CAD-4 diffractometer로 얻었으며 Mo Katjs(λ=0.71073 Å)을 사용하였다. 분자구조는 직접법으로 개략적인 분자모델을 설정하고, Fo>4σ(Fo)인 4112개의 독립 회절 데이터에 대하여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여 최종 신뢰도 값 R=5.23%인 최종적인 분자모형을 구하였다.

  • PDF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N-tert-Butyl-2-(1-acetoxy-2-fluoro-1-butyl)benzenesulfonamide, $C_{16}H_{24}FNO_4S$ (N-tert-Butyl-2-(1-acetoxy-2-fluoro-1-butyl)benzenesulfonamide의 결정 및 분자구조)

  • 김문집;이재혁;김대황
    • Korean Journal of Crystallography
    • /
    • v.9 no.2
    • /
    • pp.120-124
    • /
    • 1998
  • N-tert-Butyl-2-(1-acetoxy-2-fluoro-1-butyl)benzenesulfonamide의 분자 및 결정구조를 X-선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결정의 공간군은 P21/c이고, 단위포 상수는 a=8.583(2) , b=14.674(2) , c=14.703(2) , β=103.23(1)0, Z=4, V=1802.6(5) 3, Dc=1.27 Mgm-3이다. 회절반점들의 세기는 Rigaku AFC-5 Diffractometer로 얻었으며, graphite로 단색화한 Cu-KαX-선을 사용하였다. 분자구조는 직접법으로 풀었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최종신뢰도 R값은 2472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0.069였다. 분자 내에 N(7)과 O(4)사이에 1개의 수소결합[2.990(4) ]을 갖으며, C(14)와 C(15)는 반대배열을 갖고 있다. 분자간 가장 인접한 거리는 3.465(5) [C(19) O(5)] (symmetry code: -x, y+1/2, -z+1/2)로 분자간 접촉은 van der Waals 힘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 PDF

Synthesis of Ultrathin Polymer Films by Self Assembly (자기 집합에 의한 고분자 초박막의 합성)

  • Shin, Jae Sup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7 no.6
    • /
    • pp.1142-1146
    • /
    • 1996
  • Cholesterol-containing surfactant was synthesized, and it was sonicated with monomer in water to form a vesicle solution. This vesicle solution was dried to construct a membrane which had a molecular multilayer structure. Using UV irradiation the monomer in this membrane were polymerized, and then surfactant was extracted by organic solvent. Using a X-ray diffractometer, the thickness of one layer and the regularity of the multilayer were measure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as conducted for fractured polymer film.

  • PDF

Ab Initio Quantum Mechanical Studies of 1,2-, 1,3-Dioxetanes and 1,3-Cyclodisiloxane; Energetics, Molecular Structures, Vibrational Frequencies (1,2-, 1,3-dioxetanes, 그리고 1,3-cyclodisiloxane의 분자구조, 에너지와 진동주파수에 대한 순 이론 양자 역학적 연구)

  • Choi Kun-Sik Choi;Seung-Joon Kim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7 no.4
    • /
    • pp.325-333
    • /
    • 2003
  • The geometrical parameters, vibrational frequencies, and relative energies for 1,2-, 1,3-dioxetanes, and 1,3-cyclodisiloxane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high level ab initio quantum mechanical techniques with large basis sets. The geometries have been optimized at the self-consistent field(SCF), the single and double excitation configuration interaction(CISD), the coupled cluster with single and double excitation(CCSD), and the CCSD with connected triple excitations[CCSD(T)] levels of theory. The highest level of theory employed in this study is TZ2P CCSD(T). Harmonic vibrational frequencies and IR intensities are also determined at the SCF level of theory with various basis sets and confirm that all the optimized geometries are true minima. Also zero-point vibrational energies have been considered to predict the dimerization energies for 1,2- and 1,3-isomers.

Synthesis of Aluminophosphate using Structure Directing Agent containing Piperidine Moiety: Effect of SDA on Crystal Structure (피페리딘 구조유도분자를 이용한 알루미노포스페이트 제올라이트 합성: 피페리딘 구조유도분자가 결정구조 형성에 미치는 영향)

  • Shin, Hye Sun;Jang, Ik Jun;Shin, Na Ra;Ju, Bit Na;Cho, Sung Jun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9 no.5
    • /
    • pp.657-663
    • /
    • 2011
  • Structure directing agent(SDA) containing piperidine moiety such as piperidine(PI), 2-methylpiperidine (MPI), 2,6-dimethylpiperidine(DMPI) and 2,2,6,6,-tetramethylpiperidine(TMPI), respectively has been utilized to synthesize aluminophosphate zeolite using hydrothermal method. The gel composition was $1.0Al_2O_3:1.0P_2O_5:0.76SDA:45H_2O$ and the hydrothermal heating was performed in an oven at 443 K and for 7 days at static mode. The obtained zeolitic material contained a lamellar structure when PI was used as the SDA. With a progressive increase of the SDA size, various structures of aluminophosphate including AlPO-5 of AFI structure were obtained. The aluminophosphate of SAS structure was formed when the largest TMPI was utilized as the SDA, which was confirmed by the Rietveld refinement. The result of $^{27}Al$ and $^{31}P$ MAS NMR of the sample suggested that Al and P were incorporated into the framework of the aluminophosphate.

TRAO를 이용한 ORION A의 $^{12}CO$, $^{13}CO$ 관측

  • Kim, Yeong-Sik;Kim, Gwang-Tae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78.2-78.2
    • /
    • 2012
  • Orion A 분자운은 별탄생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영역이면서 태양계에 비교적 가깝다. 그렇기 때문에 낮은 분해능으로도 자세한 관측이 가능하다. Orion A 분자운까지의 거리가 450 pc 이므로 대덕전파안테나 1' beam으로 0.13 pc 가 된다. 이곳에는 필라멘트 구조가 있는데 FCRAO를 통한 다파장관측을 통해서 필라멘트 구조가 확인되었다.(Melnick et al. 2011). 필라멘트는 길이 4.8 pc, 너비 1.5 pc 로 대덕전파망원경의 1' beam으로 자세한 관측이 가능하였다. 2010년 11월-2011년 5월까지 Orion A 분자운을 대덕전파망원경을 이용하여 $^{12}CO$, $^{13}CO$(J=1-0) 분자선 관측을 하였으며, 관측영역은 적경: 5h 32m - 5h 37m, 적위: $-5^{\circ}$ 14' - $-5^{\circ}$ 37'으로 ($1^{\circ}{\times}1^{\circ}$) 영역을 관측하였다. 그 결과 필라멘트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자 형태로 분포되어 있다는 구조적 결과 얻었다. 관측된 필라멘트 덩어리의 전형적인 크기는 약 0.7 pc, 밀도는 약 $10^4cm^{-3}$, 질량은 약 500 $M_{\odot}$이다. 매우 밀한 곳은 1000 M${\bigodot}$이상의 질량분포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이 지역이 일반적인 분자운과 비교했을 때 고밀도 영역임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 자세한 밀도구조와 질량분포를 밝혀보고 별탄생과의 관련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저분자와 고분자 물질로 제작한 혼합 발광층의 혼합 비율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색 안정성에 대한 연구

  • Go, Eun-Im;Jeon, Yeong-Pyo;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95.2-395.2
    • /
    • 2014
  • 백색유기발광소자는 낮은 구동전압, 낮은 소비전력, 높은 명암비, 넓은 시야각과 높은 박막 특성으로 친환경 에너지와 관련해 주목을 받고 있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주로 R-G-B 영역의 발광층을 적층하여 제작한다. 하지만 전압의 변화에 따라 재결합 영역이 변화되면서, 색 안정성이 불안정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색 안정성을 나타내는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저분자와 고분자 혼합 발광층 구조를 사용하였다.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 혼합물을 스핀코팅하여 박막을 형성한 후, 열처리에 의한 상분리 현상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한가지 고분자 물질을 제거하여 적색 다공성 고분자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적색 다공성 고분자 발광층 위에 저분자 발광물질을 적층하여 홀주입을 향상하여 청색 발광층을 형성한다. 적색 다공성 고분자 발광층 물질과 혼합되는 고분자 물질의 혼합 비율과 혼합 층 두께에 따른 적색 고분자 다공성 박막의 변화를 원자힘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혼합된 두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의 차이에 의한 응집도의 차이로 인하여 혼합물 박막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미세구조의 경사도가 높아지고, 적색 다공성 고분자 발광층의 미세구조의 형태는 두 가지 고분자 혼합물의 혼합 비율의 변화에 따라 미세구조의 밀도가 높아진다. 본 연구 결과는 저분자와 고분자 혼합 발광층 구조를 사용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색 안정성과 효율 향상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양자점을 포함한 나노복합체로 제작된 유기태양전지의 효율 증진 메커니즘

  • Kim, Dae-Hun;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502-502
    • /
    • 2013
  • 유기태양전지는 간단한 제작 공정과 저비용 제작이 가능하고 플렉서블 소자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유기태양전지의 효율은 낮기 때문에 실리콘 기반이나 화합물 기반의 태양전지에 비해서 효율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유기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나노구조를 가지는 광활성층을 사용하여 제작된 고효율 유기태양전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노구조를 가지는 유기태양전지는 생성된 엑시톤을 분리시킬 수 있는 계면이 넓어지기 때문에 전하 분리 효율을 높아지게 되고, 고효율의 유기태양전지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넓은 광흡수 스펙트럼을 가지는 양자점을 활용하는 연구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양자점을 사용하여 유기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실험이 진행되고 있지만, 실제 효율을 높이는데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점과 양자점이 결합한 나노복합체를 사용하여 요철 구조를 가진 광활성층을 사용한 유기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고분자점과 양자점이 결합한 나노복합체는 물질에 비해서 넓은 광흡수 영역을 가져서 생성된 엑시톤의 양을 늘리는 역할을 한다. 고분자점과 양자점이 결합한 나노복합체로 만든 요철 구조는 평면구조로 제작한 요철 구조에 비해서 계면에서 균일한 적층이 가능한 나노구조가 제작되기 때문에, 계면에서 일어나는 전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고분자점과 양자점이 결합한 나노복합체로 제작된 요철 구조를 사용한 유기태양전지가 기본 소자에 비해서 상당한 효율 향상을 확인하였다. 양자점을 포함한 나노복합체로 제작된 유기 태양전지의 효율증진 메커니즘을 논한다.

  • PDF

Time-resolved Diffraction (시간 분해 회절법)

  • 김태규;이효철
    • Op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8 no.3
    • /
    • pp.10-17
    • /
    • 2004
  • 화학 반응은 원자나 분자가 서로 작용하여 결합이 분해되거나 생성되는 동적인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동적인 과정은 매우 빠른 시간 내에 일어나기 때문에 (보통수 펨토초에서 수 피코초 내에 일어난다) 화학 반응 도중에 나타나는 중간체(transient structure)의 구조 변화나 분자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잡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시간 분해능이 필요하다. 이러한 중간체의 구조 동역학(structural dynamics)은 그 대상이 되는 분자의 화학적/생물적 기능에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실시간 분자 동역학 연구는 복잡한 화학적/생물적 시스템의 메커니즘 규명 연구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중략)

  • PDF

Conformational and Conductance Fluctuations in Single-Molecule Junctions: A Multiscale Computational Study

  • Kim, Hu-Seong;Kim, Y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389-389
    • /
    • 2010
  • 우리 연구그룹에서는 분자 소자에서의 소자 구조와 전도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분자동역학 전산모사와 전자밀도범함수이론 계산 및 전하수송성 계산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다양한 나노소자를 연구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hexanedithiolate 단일 분자가 Au(111) 전극 사이에서 다양한 S-Au 접점 구조를 가지고 구성된 소자 모델에서 열적 진동이 소자 전도도에 끼치는 효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단분자 소자 실험에서 제기된 여러 개의 conductance peak의 측정에 대한 논란에 대해 이론적인 규명을 시도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