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자량분포

검색결과 379건 처리시간 0.025초

공동캡슐화를 이용한 Capsule 내외부의 분자량 분포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nside and Outside Capsules Using Coencapsulating Technology)

  • 이기선;임현수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21-326
    • /
    • 2001
  • 막의 특성을 이용하여 기질과 효소가 공존하는 캡슐을 제조하여 이 캡슐의 장점인 membrane의 pore size를 조절하면 올리고당을 분자량별로 유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짐으로 기질과 효소의 유출을 조절하여 생리활성이 높은 올리거당을 얻고, 생산된 올리고당의 단순한 분리.정제를 위하여, 그리고 효소의 재 이용 측면에서 encapsulation technology를 이용하여 올리고당을 생산하는 연구를 하였다. 제조된 capsule의 막 두께와 직경은 Olympus IX50 microscope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막의 두께는 10 $\mu$m이었으며, capsule의 크기는 대략 3.0mm, $N_2$ gas를 이용할 capsule은 대fir 1.5 mm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기질의 용액, 효소액, 반응액, alginate 용액을 pH 5.0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막이 보다 견고하게 형성 할 수 있었으며, 제조된 capsule를 반응 용액 즉 2% acetic acid의 pH를 CaCO$_3$로 조절한 용액에 넣었기 때문에 막이 단단하게 형성되고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질의 사용에 있어서 작은 분자량을 갖는 기질은 효소와 분해 반응에 있어서 가수분해가 빨리 일어나기 때문에 보통 capsule 밖으로 유출된 올리고당의 분자량은 평균 M.W. 1,000이었다. 그러나 분자량이 큰 기질을 사용하였을 경우 평균 M.W. 1,000-3,500이었다. 막을 이루는 alginate의 점도에 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교반 속도에 의한 기질과 효소의 유출, 그리고 분해 반응에 따른 가수분해 산물인 올리고당의 유출에 있어 alginate 농도 0.5%, 교반 속도는 40 rpm이 가장 적당하였다. (12). Capsule에서 분해 반응 후 분해 산물인 올리고당의 이동을 빨리 하기 위하여 작은 size의 capsule를 제조하여 실험한 결과 3.0 mm보다 capsule 내부의 분자량 변화가 더 빨랐으며, capsule 밖으로 유출된 올리고당의 분자량 분석 결과 M.W. 3000-6000의 올리고당이 생성되었다. 반응 시간에 따른 capsule 내부의 잔류 효소 활성을 조사한 결과, 반응 8시간째에도 약 80% 이상의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Batch-type과 비교하여 capsule의 경우에는 반응이 끝난 후 capsule를 회수하여 효소를 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마이크로기공 고분자(PIM-1)의 분자량 분포에 따른 이산화탄소 기체 분리막의 성능 변화 연구 (Effect of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Intrinsically Microporous Polymer (PIM-1) Membrane on the CO2 Separation Performance)

  • 권지민;손혜정;김진욱;이창수
    • 멤브레인
    • /
    • 제33권6호
    • /
    • pp.362-368
    • /
    • 2023
  • 이 연구 논문은 기후 변화에 대한 전 세계적인 우려와 온실 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필수적인 요구에 대응하여 마이크로기공 고분자(PIM-1)의 이용을 탐구한 것이다. 연구는 PIM-1 막을 이산화탄소(CO2) 가스 분리 막으로 사용하는 현대적인 소재로서의 응용에 집중하고 있다. 연구는 PIM-1 막의 합성, 분자량 제어, 그리고 제각각의 특성 분석 기술을 통해 포괄적인 통찰을 제공하며, 이러한 특성 분석 기술을 통해 PIM-1의 고유한 교차결합 및 강성 구조에서 비롯된 내재적 다공성이 특히 이산화탄소의 선택적 투과에 활용되고 있다. 논문은 PIM-1의 가교된 구조로부터 비롯된 내재적 다공성이 특히 이산화탄소의 선택적 투과에 활용되고 있다. 논문은 PIM-1의 튜닝 가능한 화학적 특성을 강조하며, 가스 분리 막의 맞춤 및 최적화를 가능케 하는 특성에 대한 이해를 제시하고 있다. 분자량을 통제함으로써 고분자량(H-PIM-1) 막은 낮은 분자량 대비 더 뛰어난 CO2 투과성과 선택성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PIM-1 막의 특성을 조절하는 데 분자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PIM-1 막 특성을 조절하는 데 분자량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강조하며, 이는 기후 변화의 긴급한 글로벌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선택적인 CO2 포집을 위한 차세대 막 기술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납사 크래킹 잔사유로부터 용융전기방사용 핏치 제조 (Preparation of Pitch for Melt-electrospinning from Naphtha Cracking Bottom Oil)

  • 김진훈;이성호;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24권4호
    • /
    • pp.402-40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납사 크래킹 잔사유로부터 용융전기방사용 핏치가 열처리 개질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개질된 핏치의 연화점과 물성은 질소유량, 열처리 온도 및 반응시간 같은 개질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이중에서 열처리온도가 핏치의 분자량 분포 및 연화점에 큰 영향력을 미쳤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표면 작용기들의 분해와 고리화 반응으로 C/H 몰비와 평균분자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벤젠 불용분(BI)과 퀴놀린 불용분(QI)값이 감소되었고, 분자량 분포의 폭이 더 좁아지는 것으로 보여주었다. 연화점이 $155^{\circ}C$인 개질 핏치로부터 용융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4.8{\mu}m$의 직경을 갖는 탄소섬유를 얻을 수 있었다. 용융전기방사법이 저섬경화 섬유를 제조하는데 기존의 용융방사법보다 더 용이할 것으로 여겨진다.

효모를 이용한 selenium peptide 생산 및 특성 연구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elenium Peptid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김은기;김영옥;이정옥;이백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3-77
    • /
    • 2004
  • 셀레늄을 함유하는 펩타이드(셀레늄 펩타이드)는 셀레늄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효모를 배양함으로써 생산 하였다. 효모 단백질의 GPC 분석을 통해서 다양한 크기의 단백질 내 셀레늄 분포를 조사한 결과 셀레늄이 효모 내 단백질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백질당 셀레늄 양은 배지에 첨가한 셀레늄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펩타이드 내의 셀레늄 함량이 높아질수측 항산화 효과 (glutathione peroxidase 유사 활성)가 증가하였다.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XIV를 이용하여 여러 분자량의 펩타이드를 생산하였으며 평균 분자량을 GPC로 분석하였다 셀레늄 펩타이드의 glutathione peroxidase (GPx) 활성은 펩타이드의 분자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Sodium selenate은 sodium selenite에 비해 효모의 성장 저해를 적게 받았고 단백질 내 셀레늄 함량이 sodium selenite보다 높았다. 이 결과는 효모 배양에 의한 셀레늄 펩타이드의 생산의 가능성과 이를 이용한 항산화 제로서의 응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실리콘 나노튜브에 관한 분자동력학 연구 (Molecular dynamics study of silicon nanotubes)

  • 강정원;변기량;황호정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1-28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분자동력학 방법을 사용하여 탄소 나노튜브와 같은 구조적 특성을 가정한 실리콘 나노튜브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흑연판 모양의 실리콘 판에서 실리콘 나노튜브가 형성되는 활성화에너지는 매우 낮다는 것을 실리콘판 - 튜브 전이 에너지 도식도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분자동력학 시뮬레이션 결과는 실리콘의 경우 단일벽 나노튜브가 불안정하며, 다중벽 나노튜브의 경우에 더욱 안정하다는 것을 원자결합수 및 결합각도 분포 비교를 통하여 보여주었다.

저온열분해조건에서 LDPE, PS, ABS의 열분해생성물 생성특성 (Characteristics of low temperature pyrolysis of LDPE, PS, ABS plastics)

  • 차왕석;장현태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8-470
    • /
    • 2008
  • 열중량반응기와 미분반응기를 이용하여 ABS의 열분해 및 생성물분포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미분반응기를 이용한 실험의 열분해온도는 $410{\sim}450^{\circ}C$이었다. 각 상의 열분해생성물의 수율은 무게측정을 통해 얻었으며 액상생성물의 탄소수분포는 GC-SIMDIS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열중량 분석실험에서는 측정할 수 없었던 다량의 고상잔류물의 생성을 회분식 미분반응기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반응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액상생성물의 수율과 평균분자량은 감소하였으나 액상생성물 중의 스티렌모노머의 생성은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ABS 열분해 반응에서 말단절단의 속도계수인 활성화에너지 값은 54.1kcal/mole이었다.

  • PDF

카르복실레이트 염 촉매를 사용한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의 합성시 용매에 포함된 수분과 부탄올의 영향 (The Effect of Water and Butanol of Solvent on the Synthesis of Polyisocyanurate in the Presence of Carboxylate Salt Catalyst)

  • 이숙정;양현수;최광식;이영철
    • 공업화학
    • /
    • 제3권4호
    • /
    • pp.588-594
    • /
    • 1992
  • Potassium octoate 촉매 존재하에 toluene diisocyanate(TDI)를 사용하여 polyisocyanurate를 합성할 때 용매에 포함된 수분과 부탄올이 반응물의 점도 변화율, 반응시간(생성물의 점도가 5 poise가 될 때까지의 반응시간), 생성물의 분자량 분포 및 TDI전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Butyl acetate용매에 포함된 수분의 양이 0.1%인 반응 조건에서 uretidione이 생성되었으며 이때 가장 높은 TDI전환율이 얻어졌다. Uretidione은 butanol을 용매에 첨가할 때는 생성되지 않았다. 첨가된 butanol양이 증가할수록 TDI전환율은 증가하고 분자량 분포도 넓어졌다.

  • PDF

고정화 효소를 이용한 명태고기풀 수세액으로부터 Peptide 생산에 관한 연구 (Peptide Production from the Washing Liquid of the Fish Paste of Alaska pollak (Theragria chalcogramma) by Immobilized Enzyme)

  • 신석우;말강방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66-472
    • /
    • 1997
  • 명태 (Alask pollack, Theragia chalcogramma) 고기풀 수세액 중의 단백질 활용방안으로 기능성 peptide생산을 위해 고정화 protease를 이용한 생물반응기에서 가수분해하여 gel 여과후 정제 peptide의 특성 및 아미노산 존재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0.5\%$ 농도의 고기를 수세액을 반응온도 $50^{\circ}C$에서 24시간 가수분해 하였을 때 분해율은 $50\%$ (OPA법)였다. 2. Sephadex G-5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고기풀 수세 액과 조peptide의 분자량은 각각 $10,000\~50,000Da$과, $600\~12,000Da$의 광범위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3. SP-Sephadex C-25 $(H^+)$ column chromatography에서 식염농도 $0\~3\%$의 농도구배에서 $0.6\~0.9\%\;NaCl$, pH 2 범위에서 염기성이 약한 아미노산을 함유하였고, $1.2\~2.0\%$에서는 염기성이 강한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peptide가 용출되었다. 4. SP-Sephadex C-25 ($(H^+)$ column chromatography에서 분획한 SP-분획을 Sephadex G-50 colum chromatography에서 peptide의 분자량 측정 결과는 대게 저분자로 분자량 1,000Da에서 3,000Da 범위였고, SP-4>SP-3>SP-2>SP-1의 순으로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었다. 5. 정제 peptide의 아미노산 조성은 수세 peptide에서 glycine, arginine이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그외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icd 등이였고, SP-분획 peptide는 수세 peptide와 대동소이하였으나 SP-2에서 glycine이 $33\%$로 가장 높았다.

  • PDF

Al계 유기금속화합물 혼합촉매 시스템을 이용한 L-lactide 벌크중합 특성 연구 (Bulk Polymerization of L-lactide with Mixed Aluminum Organometallic Catalysts)

  • 노이현;고영수
    • 폴리머
    • /
    • 제36권1호
    • /
    • pp.53-5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Al 계 화합물 혼합촉매 시스템의 L-lactide 벌크중합을 통해 단일 Al계 화합물과 혼합된 Al계 화합물의 중합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Al 화합물 촉매를 조성비를 변화시킨 혼합촉매를 사용하여 벌크중합한 polylactic acid (PLA)는 FTIR, DSC, GPC 등으로 분석하였다. 선정된 Al계 화합물로는 aluminum isopropoxide($Al(O-i-Pr)_3$), trimethylaluminum(TMA), trioctylaluminum(TOA), triisobutylaluminum(TIBA)이었으며 TIBA를 기준 촉매로 선정하여 나머지 세 Al화합물을 각각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Al(O-i-Pr)_3$와 TIBA를 혼합한 촉매의 경우 혼합촉매 내 $Al(O-i-Pr)_3$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전환율도 증가하였고 생성된 PLA의 분자량은 13000까지 증가하였으며 분자량분포도도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분자량 분포곡선은 혼합촉매 시스템의 경우 고분자량 부분에서 약간의 tail 또는 shoulder 형태가 형성되었다. TOA와 TIBA를 혼합한 촉매를 이용하여 L-lactide를 벌크중합한 결과 전환율은 혼합촉매 내 TOA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졌다. TOA와 TIBA를 혼합한 촉매를 이용하여 벌크중합한 PLA의 분자량은 혼합촉매 내 TOA 조성이 60 mol%까지 분자량이 14000 g/mol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Al계 혼합촉매 시스템을 통해 PLA의 고분자량 tail이나 shoulder을 생성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PLA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 L 중 에탄과 프로판의 흡착성질에 대한 몬테칼로 시뮬레이션 (Monte Carlo Simulation on the Adsorption Properties of Ethane and Propane in Zeolite L)

  • 문성두;최대웅;김양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6-21
    • /
    • 1998
  • 칼륨이온이 교환된 제올라이트 L중 에탄과 프로판의 흡착 성질을 그랜드 카노니칼 앙상블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퍼텐셜 계산에서 흡착분자의 $CH_3\;와\; CH_2$그룹을 하나의 유사원자로 고려하였으며, 분자 내의 결합길이와 결합각도는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고정시켰다. 단위세포당 평균 분자수, 단위세포당 분자들의 분포, 제올라이트 중 분자의 수밀도, 흡착 분자의 평균 퍼텐셜, 그리고 등량흡착열을 계산하였고, 이들을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에탄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실험값과 상당히 잘 일치하였다. 에탄과 프로판 분자의 퍼텐셜은 흡착량의 증가에 따라 천천히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