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자검출

검색결과 476건 처리시간 0.02초

지방산 결합 단백질(FABP) 유전자를 이용한 한우 도체 및 육질 관련 SNP 분자 표지 개발

  • 신성철;김기락;박종근;신기현;이준제;허연범;정구용;정의룡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년도 정기총회 및 제37차 춘계 국제학술발표대회
    • /
    • pp.117-121
    • /
    • 2006
  • 본 연구는 한우의 도체 품질을 결정하는 육질 등급 판정 항목이자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근내지방도, 배최장근 단면적 및 등지방두께에 대한 개체별 유전능력 차이를 조기에 식별하는 선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세포내 지방산 농도 및 다양한 세포 및 지질대사를 조절하는 지 방산결합 단백질(H-FABP) 유전자의 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SNP를 검출하고, SNP marker가 한우의 도체 및 육질 형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염기 서열 분석 결과 총 6개의 SNP를 검출하였고, 이들 중 4개의 주요 SNP를 선발하여 PCR-RFLP기법으로 genotyping하고, 각 SNP marker가 한우 도체 및 육질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분석 하였다. H-FABP의 C3523T SNP marker가 한우의 배최장근 단면적 및 등지방 두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p<0.05).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한우 H-FABP 유전자의 특정 SNP marker는 배최장근 단면적은 넓고 등지방두께는 얇은 우수한 고급육을 생산하는 한우의 조기 식별 및 육질진단에 매우 유용한 SNP분자 표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당근 당단백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rrot Glycoprotein)

  • 이미진;장부식;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24권1호
    • /
    • pp.62-66
    • /
    • 2013
  • 본 연구는 당근에서 추출한 당근당단백질(carrot glycoprotein, 이하 CG라 명함)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기위하여 수행되었다. 천연 식물성 원료인 당근에서 CG를 제조하여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영양성분 조성을 분석한 결과 CG는 당단백질로서 2.35%의 탄수화물과 94.2%의 단백질로 구성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분석 결과 CG는 콜라겐 펩타이드의 특징인 hydroxyproline과 glycine은 소량 검출되었으며, 포도당과 지방 대사에 관여하는 glutamicacid와 asparticacid가 높게 검출되었다. 또한 열량 분석결과 100 g의 CG는 342.1 kcal의 열량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G의 분자량 분석 결과에서는 594 Da 이하의 평균분자량 분포를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ansenula anomala이 생성하는 cadmium-binding protein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admium-binding protein from hansenula anomala)

  • 유대식;구본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8-263
    • /
    • 1990
  • 고도 카드뮴 내성 Hansenula anomale B-7으로부터 카드뮴 결합 단백질을 분리하여 전기 영동적으로 단일단백질로 정세됨을 확인했다. 이 단백질의 분자량은 약 33000으로서, 분자량 18000과 14000의 subunit로 구성되어 있다. 카드뮴 결합 단백질의 는 19.58이였으며, $100{\mu}{\textrm{g}}$의 단백질 중에 $9.26{\mu}{\textrm{g}}$ 카드뮴을 함유했다. 카드뮴 결합 단백질로부터 14종류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엇으며, aspartic acid, glycine과 alanine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proline, valine 및 methionine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카드뮴 내성효모로부터 분리, 정제된 카드뮴 결합 단백질은 cysteine과 카드뮴을 다량 함유하여 metallothionein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었다.

  • PDF

메밀의 다당류 추출과 구성당 분석 (Extraction and Component Sugar Analysis of Polysaccharides from Buckwheat)

  • 이정선;라경수;손흥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60-865
    • /
    • 1995
  • 처리 방법을 달리한 메밀(날메밀, 볶은메밀, 찐메밀)에서 효소적 방법으로 비소화성 다당과 가용성 다당을 분리하였다. 가용성 다당은 저분자 가용성 다당과 고분자 가용성 다당으로 비소화성 다당은 crude hemicellulose(CH)와 alcohol insoluble hemicellulose(AIH), residue 그리고 저분자 불용성 다당으로 각각 분리하였다. 다당의 함량은 조리방법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으며 가용성 다당 중 고분자 가용성 다당의 함량은 $5.5{\sim}9.4%$였으며, 저분자 가용성 다당의 함량은 $75.9{\sim}84.2%$였다. 비소화성 다당 중 CH는 $3.2{\sim}9.6%$, AIH는 $0.9{\sim}1.7%$, residue는 $2.0{\sim}2.4%$, 저분자 불용성 다당은 $0.8{\sim}4.2%$였다. 가용성 다당에서는 유리당이 검출되었으나 비소화성 다당에서는 유리당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모든 다당 분획에서 단백질이 검출되었다. 가용성 다당의 주요 성분당은 glucose였으며, 비소화성 다당에서는 glucose 이외에 rhamnose, arabinose, xylose, galactose, mannose가 확인되었다.

  • PDF

한약재 중 제랄레논의 탕액으로 이행률 조사 (Investigation of the Transfer Rate of Zearalenone in Herbal Medicines to Their Decoction)

  • 심원보;송정언;김정숙;정영철;정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12-31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탕액에 존재하는 제랄레논의 분석을 위한 HPLC법을 확립하고 탕액조제 시 한약재로부터의 제랄레논 이행률을 조사하였다. 한약재 (괄루인, 두충, 복분자)에 제랄레논을 임의의 농도로 오염시켜 수침 및 비수침 과정을 거친 후 상압가열 ($100^{\circ}C$, 3 h)과 고압가열 ($121^{\circ}C$, 1 h)하여 탕액을 조제한 다음 탕액과 한약재 잔류물로 분리하고 immunoaffinity column으로 정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열처리를 하지 않은 탕액 제조 전 원료 한약재에 대한 회수율은 괄루인 83.7-95.5%, 두충 81.9-99.7%, 복분자 79.1-82.3%로 분석에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3종의 한약재 중 회수율이 가장 좋은 두충을 선택하여 탕액을 조제한 후 탕액과 한약재 잔류물에 대한 회수율 측정한 결과 탕액에서는 68.4-83.7%, 한약재 잔류물에서는 72.9-80.3%로 원재료 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한약재에서 탕액으로 제랄레논의 이행률은 한약재 원재료에 제랄레논을 임의의 농도로 오염시킨 후 탕액을 조제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탕액에서는 제랄레논이 검출되지 않았고, 괄루인과 복분자 잔류물에서는 수침 시료의 경우 17.04-22.99%, 비수침 시료의 경우 10.17-18.33%의 제랄레논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두충 잔류물에서는 수침 시료의 경우 10.44-17.16%, 비수침 시료의 경우 12.42-17.75%가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탕액에서 제랄레논이 검출되지 않아 이행률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나 보다 탕액 조제과정 중 첨가물에 의해 이행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제랄레논을 포함한 곰팡이독소에 안전한 한약재의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유통 중인 한약재를 포함하여 조제포장되어 판매되는 탕액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차구개 형태분화의 내적 조절유전자 규명 (Identification of intrinsic regulators in the secondary palate morphogenesis)

  • 이재국;장은하;임양희;김기병;고승오;조의식;신효근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6
    • /
    • 2007
  • 이차구개는 발생과정에서 구개선반의 형성과 성장, 거상과 융합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차구개의 형성과정은 미세한 분자유전학적 신호전달기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신호전달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인자의 발현이상이 되면 정상적인 이차구개가 형성되지 못하고 구개파열이라는 선천성 기형이 발생된다. 구개파열의 유발인자들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정상적인 이차구개의 형성을 조절하는 분자유전학적 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차구개의 형태분화를 조절하는 분자유전학적 기전을 알아보고자, 이차구개 형성의 내적 조절인자 중 핵심유전자로 알려져 있는 Osr2가 결손된 생쥐의 이차구개 형성과정에서 정상생쥐에 비해 발현의 변동이 나타나는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유전자 발현의 변동은 발생 14.5일(E14.5)의 구개선반으로부터 추출한 total RNA를 이용하여 ACP-based GeneFishing PCR을 시행하여 확인하였고, 각각의 변동된 유전자를 동정하여 정상생쥐의 이차구개 형성과정에서의 발현양상을 in situ hybridization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총 120쌍의 primer를 이용한 검색을 통해서 정상생쥐의 구개선반에 비해 mutant에서 발현이 변동된 유전자는 7개가 검출되었고, 이들은 모두 정상생쥐에 비해 mutant에서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검출된 유전자는 vimentin(Vim), ${\beta}$-tropomyosin 2(Tpm2), thioredoxin-like 5(Txnl5), procollagen type II alpha 1(Col2a1),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7(IGFbp7), Sui 1 homologs(Sui 1), Defender against cell death1(Dad1)이었다. 검출된 유전자를 동정하여 정상생쥐의 구개 형성과정에서의 발현양상을 알아본 결과, Col2a1 을 제외한 유전자들은 모두 E13.5의 구개선반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있었으나 구개선반이 융합된 E15.5에서는 Vim, Txnl5 그리고 Dad1 만이 봉합선을 따라 발현이 지속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검출된 유전자들은 구개선반의 형태분화과정에서 발현되어 이차구개의 형성과정에 관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들은 이차구개 형성의 내적조절인자인 Osr2의 downstream target 으로 구개선반의 성장과 융합과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유전물질일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우유 내 활력있는 Salmonella를 검출하기 위한 fimA 유전자의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응의 개발 (Development of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of fimA Gene to Detect Viable Salmonella in Milk)

  • 최석호;이승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841-848
    • /
    • 2004
  • 살균된 우유에 오염된 Salmonella의 신속한 검출 방법을 공중 보건의 보호를 위하여 중요하다. RT-PCR 방법은 생균과 사균을 분별하여 검출할 수 있는 분자유전학적 방법이다. 본 연구의 RT-PCR 방법은 Salmonella의 type 1 fImbriae의 단량체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fimA 유전자의 mRNA를 주형으로 하여 DNA를 증폭하는 방법으로서 활력이 있는 Salmonella를 검출할수 있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RNA 시료를 RQRNase-free DNase로 처리하여 오염된 DNA를 파괴하여 RT-PCR 반응에서 주형으로서 DNA가 합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 RT-PCR 방법은 Salmonella 7균주를 검출하였으나 Escherichia coli, Shigella sonnei, Citrobacter freundii, 및 Klebsiella pneumoniae 는 검출하지 않았다. 우유 내에서 열처리된 $10^7/ml10^6/ml$ 세균수의 Salmonella는 검출되 었으나 $10^5{\sim}100/ml$는 검출되지 않았다. RT-PCR를 검출할 수 있는 활력이 있는 Salmonella의 최소 세균수는 100/ml이었다.

Anti-Outer Membrane Protein 면역단백질을 이용한 Sandwich ELISA 방법에 의한 우유 내 Salmonella의 검출 (Detection of Salmonella in Milk by Sandwich ELISA using Anti-Outer Membrane Protein Immunoglobulins)

  • 최석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6-181
    • /
    • 2004
  • 우유내 Salmonella를 검출하기 위한 Sandwich ELISA의 특이성을 조사하였다. Sandwich ELISA에 사용한 항체들은 OMP 분획을 닭에 면역주사하여 얻은 IgY와 OMP 분획을 gel filtration하여 얻은 분자량 40,000의 OMP를 토끼에 면역 주사하여 얻은 토끼 IgG를 사용하였다. Immnoblot assay에서 IgY는 분자량 6,000의 OMP에 강하게 반응하였으며 토끼 IgG는 분자량 40,000, 35,000과 6,000의 OMP들에 강하게 반응하였다. IgY와 토끼 IgG는 Salmonella typhimurium의 다른 단백질에도 반응하였다. Competitive ELISA에서 IgY가 Salmonella의 두 개 균주에 대해 특이성을 나타냈으며 Eshcherchia coli와 Yersinia enterocolitica에 의하여서는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우유에 세균을 첨가하여 실시한 sandwich ELISA에서 Salmonella typhimurium 2균주가 가장 높은 흡광도를 보였다. Salmonella cholerasuis 균주들은 상대적으로 흡광도가 낮았으며 이루 일부 Salmonella cholerasuis 균주들은 비 Salmonella 균주들과 차이가 없었다.

국소 표면 플라즈몬 공명 (LSPR) 기반 비표지 바이오칩 제작 및 바이오센서로의 응용 (Fabrication of Label-Free Biochips Based on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LSPR) and Its Application to Biosensors)

  • 김도균;박태정;이상엽
    • KSBB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1-8
    • /
    • 2009
  • 현재까지 연구 개발된 바이오칩 및 센서의 경우에는 생체분자 상호작용의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 효소나 형광 물질 등과 같은 표지물질을 생체분자에 주입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러한 표지작업은 단백질 등과 같이 고차구조를 형성하는 생체분자에 있어서 그 분자인식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표지작업은 일련의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작의 복잡성을 띄게 되고, 간편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분석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장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생체분자 상호작용의 분석에 적용되는 측정장치도 대형화하게 되어 온사이트 모니터링에 이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비표지로 생체분자의 상호작용 분석이 가능한 SPR 광학특성, QCM 및 전기화학법 등을 이용한 비표지 바이오칩 및 센서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표지 바이오칩 및 센서와 마찬가지로 장치의 대형화 및 복잡화, 간편성 및 감도 등에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지금까지 개발되어진 표지 및 비표지 바이오칩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나노구조에서만 발현되는 새로운 광학특성인 LSPR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코어-쉘 구조 나노입자 바이오칩이 제작되었다. 코어-쉘 나노입자 바이오칩의 표면에 수직방향으로부터 입사광을 조사하고 바이오칩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검출기로 검출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소형의 분광기로 해석함으로서 코어-쉘 나노입자 바이오칩 기반 비표지 광학 바이오센서를 완성하였다. 또한 단백질 항원-항체 반응에 대한 비표지 검출 및 정량특성을 평가한 결과, 감도, 간편성, 유연성, 폭넓은 응용성 등에 양호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코어-쉘 나노입자 바이오칩 기반 비표지 광학 바이오센서는 생체분자 상호작용의 분석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단백질, DNA, 세포 등의 생체분자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그 밖에 의료, 식품분석, 환경 및 공정 모니터링 등 분야에 폭넓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본 코어-쉘 나노입자 바이오칩 기반 비표지 광학 바이오센서는 소형으로 저렴한 분광기를 이용하여 측정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온사이트 모니터링에의 적용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