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위기 분류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9초

심층 CNN을 활용한 영상 분위기 분류 및 이를 활용한 동영상 자동 생성 (Image Mood Classification Using Deep CNN and Its Application to Automatic Video Generation)

  • 조동희;남용욱;이현창;김용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3-2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영상의 분위기를 심층 합성곱 신경망을 통해 8 가지로 분류하고, 이에 맞는 배경 음악을 적용하여 동영상을 자동적으로 생성하였다.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층퍼셉트론을 사용하여 분류 모델을 학습한다. 이를 활용하여 다중 클래스 분류를 통해 동영상 생성에 사용할 이미지의 분위기를 예측하며, 미리 분류된 음악을 매칭시켜 동영상을 생성한다. 10겹 교차 검증의 결과, 72.4%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고, 실제 영상에 대한 실험에서 64%의 오차 행렬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오답의 경우, 주변의 비슷한 분위기로 분류하여 동영상에서 나오는 음악과 크게 위화감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상황인지 음악추천을 위한 음악 분위기 검출 (Detection of Music Mood for Context-aware Music Recommendation)

  • 이종인;여동규;김병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7B권4호
    • /
    • pp.263-274
    • /
    • 2010
  • 상황인지 음악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상황 또는 문맥에 따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분위기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음악 분위기 검출에 대한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수작업으로 대표구간을 선정하고, 그 구간의 특징을 이용하여 분위기를 판별한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분류 성능이 좋은 반면 전문가의 간섭을 요구하기 때문에 새로운 음악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어렵다. 더욱이, 곡의 진행에 따라 음악 분위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음악의 대표 분위기를 검출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음악 분위기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곡 전체를 구조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비슷한 특성을 갖는 세그먼트들로 분리한 후 각각에 대해 분위기를 판별한다. 그리고 세그먼트별 분위기 파악 시 Thayer 의 2차원 분위기 모델에 기초한 회귀분석 방법으로 개인별 주관적 분위기 성향을 모델링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이 80%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다.

이미지 분위기 분류에 기반한 동영상 자동 생성 (Automatic Video Generation Based on Image Mood Classification)

  • 조동희;남용욱;이현창;김용혁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7-68
    • /
    • 2019
  • 머신러닝을 활용한 이미지 분류는 단순 사물을 넘어서 사람의 감성과 같은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개념에도 적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합성곱 신경망을 통한 이미지의 감정 분류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들을 머신러닝 알고리즘으로 분석하고 이를 의미있는 결과로 재생성하기는 매우 복잡하고 까다롭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개선시켜 음악 데이터를 다층퍼셉트론 모델을 통해 분류된 이미지와 결합한 동영상을 파이썬의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통해 자동으로 생성하였다. 이를 통해 특정 분위기로 분류된 이미지들과 이에 어울리는 음악을 매칭시켜 유의미한 새로운 멀티미디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었다.

  • PDF

AV 모델을 이용한 음악 분위기 자동 분류1) (Automatic Classification of Music Moods Based on the AV Model)

  • 문창배;김현수;송민균;김병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65-368
    • /
    • 2011
  • 본 논문에서 구조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음악을 구간들로 나누고, 그 구간 중 대표 구간들을 자동으로 설정 후 다수의 사용자에게 그 구간들에 대한 분위기 값을 입력받은 후 이 값들을 바탕으로 구간의 대표 분위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렇게 결정된 대표 분위기와 그 구간의 음악적 특징들을 이용하여 음악 분위기 판별 실험을 하였다. 이를 위해 음원의 분위기를 211명에게 수집하였고, 음원에서 특징들을 결정계수를 이용하여 특징의 수를 줄인 후 신경망을 이용하여 학습 및 판별을 하였다. 그리고 Leave-one-out 교차 검증을 통하여 성능 분석을 하였다. 실험결과, 3,000번 학습 시 은닉층 17개를 이용하였을 때 66%의 판별율을 보였다.

단위 신경망과 특징벡터 차원 축소 기반의 음악 분위기 자동판별 (Music Mood Classification based on a New Feature Reduction Method and Modular Neural Network)

  • 송민균;김현수;문창배;김병만;오득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5-3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개인화된 분위기 분류 모델 대신에 대중의 분위기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분위기 판별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두 가지 접근 방법을 선택하였는데, 그 첫 번째가 표준편차에 기초한 특징축소이다. 이는 음악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MIRtoolbox에서 추출되는 391개의 특징들을 모두 사용할 경우의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다. 실험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특징축소 방법이 기존의 차원 축소 방법인 R-Square와 PCA보다 성능이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특징축소 방법만으로는 성능 개선에 한계가 있어 두 번째 개선방법으로 단위 신경망을 사용하여 추가의 성능 개선을 시도하였다. 실험결과 이 역시 유효한 성능 개선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딥러닝 감정 인식 기반 배경음악 매칭 설계 (Design for Mood-Matched Music Based on Deep Learning Emotion Recognition)

  • 정문식;문남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34-836
    • /
    • 2021
  • 멀티모달 감정인식을 통해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분류하고, 사람의 감정에 어울리는 음악을 매칭하는 시스템을 설계한다. 멀티모달 감정 인식 방법으로는 IEMOCAP(Interactive Emotional Dyadic Motion Capture) 데이터셋을 활용해 감정을 분류하고, 분류된 감정의 분위기에 맞는 음악을 매칭시키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유니모달 대비 멀티모달 감정인식의 정확도를 개선한 시스템을 통해 텍스트, 음성, 표정을 포함하고 있는 동영상의 감성 분위기에 적합한 음악 매칭 시스템을 연구한다.

경쟁적 운동선수들의 완벽주의성향과 동기분위기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Motivational Climate in Competitive Athletes)

  • 윤경신;김태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369-37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기록종목과 대인종목의 경쟁적 운동선수를 과업지향 동기분위기와 자아지향 동기분위기가 완벽주의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최적의 운동수행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촌에서 훈련 중인 엘리트 성인선수 196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완벽주의성향 및 동기분위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록종목과 대인종목으로 분류하여 종목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완벽주의성향, 동기분위기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검증 또는 독립변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가설검증 및 모형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완벽주의성향과 과업지향 및 자아지향 동기분위기 모두 대인종목 선수가 기록종목 선수보다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기록종목 운동선수의 경우 과제지향 동기분위기와 자아지향 동기분위기 모두 완벽주의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과제지향보다 자아지향 동기분위기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종목 운동선수의 경우에는 자아지향 동기분위기만이 완벽주의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두 연구모형 모두 나쁜 적합도를 보였다.

지능형 음악분수 시스템을 위한 환경 및 분위기에 최적화된 음악분류에 관한 연구 (Study of Music Classification Optimized Environment and Atmosphere for Intelligent Musical Fountain System)

  • 박준형;박승민;이영환;고광은;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18-223
    • /
    • 2011
  • 최근 음악을 장르로 분류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분류는 전문가들 마다 분류하는 기준이 서로 상이하여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새로운 장르 출현 시, 새롭게 정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음악을 장르로 구분하기 보다는 감정형용사들로 분류, 검색하여야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밝고 어두움을 기준으로 음악을 분류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를 포함하여 사람이 느끼는 감정 중, 격렬함과 잔잔함, 그리고 웅장함과 가벼움 등, 3가지 분류 기준을 가지고 분위기에 알맞은 검색을 위한 감정 형용사 기반의 음악 분류 시스템을 제안한다. 분류 알고리즘으로는 Support Vector Machine을 개선한 알고리즘인 Variance Considered Machines을 이용하였으며, 총 525개의 곡을 분류 시도한 결과, 약 85%의 분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정전기 방사에 의한 EDLC 전극용 폴리이미드계 활성탄소섬유 웹의 제조 (Preparation of Electrospun PI-based ACF Web for Electrode of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ior(EDLC))

  • 최영옥;김찬;양갑승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4-137
    • /
    • 2003
  • 탄소섬유나 활성탄소섬유(activated carbon fiber, ACF)는 일반적으로 출발물질에 따라 polyacrylonitrile(PAN)계, 아크릴(acryl)계, 피치(pitch)계, 페놀(phenol)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보통 습식, 용융 혹은 용융분사(melt-blown) 방사 방법에 의해 섬유 형태로 형성한 다음 산화성 가스 분위기에서 불융화 과정을 거쳐 열에 대한 안정성을 부여하여 불활성 분위기에서 탄소화하여 탄소섬유를 제조하거나, 수증기나 이산화 탄소와 같은 산화성 분위기에서 활성화하여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한다. (중략)

  • PDF

채색 분리를 이용한 그림 영상에서의 색변환 기법 (Color Transfer in Painting Images Using Separation of Saturation)

  • 곽정민;박찬우;문영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 (C)
    • /
    • pp.505-509
    • /
    • 2007
  • 색 변환(Color Transfer) 기법은 컴퓨터 비전 및 영상 처리 분야에서 점점 더 많은 연구가 되고 있는 분야이다. 이는 참조 영상의 분위기를 원본 영상에 반영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채도가 낮은 색상에서 나타나는 잘못된 연산 결과를 해결하기 위해 채도 문턱치에 따라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분류하여 인덱싱 하고, Lab색 모델에서 색상 채널인 a, b를 사용하여 그림 영상에서의 색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영상의 화소들의 채도 문턱치를 이용하여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화소들의 색 특성을 이용한 cylindrical metric를 이용한 인덱싱 하는 단계, 각 인덱스 내의 위치적 표준편차와 화소수를 이용하여 인덱스들의 우열을 가리는 단계, 인덱스들의 우세한 순서로 Lab 색 모델에서 a 채널과 b 채널을 이용하여 색 변환하는 단계 등 4단계로 구성된다. 실험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무채색과 유채색이 잘 분류되어 인덱싱 되었음을 보이고 원본 영상의 색이 참조영상의 색으로 잘 변환된 것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