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생자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미기록 진딧물병원성 곰팡이 Neozygites fresenii에 관한 보고 (First Record of the Entomopathogenic Fungus Neozygites fresenii on the Aphid in Korea)

  • 윤철식;이민호;이승환;유재기;이정운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1호통권88호
    • /
    • pp.66-67
    • /
    • 1999
  • 국내 미기록 진딧물병원성 곰팡이, Neozygites fresenii를 1998년 6월경 수원 농업과학기술원내의 망초에 서식하는 진딧물(Dactynotus sp.)에서 발견하였다. 이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N. fresenii를 보고하며, 형태적 특성을 기재한다. 이 균은 짧은 papillar를 지닌 둥근 모양의 1차 포자를 형성하며, 1차 포자로부터 두 종류의 2차 분생자병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었다. 짧고 금은 2차 분생자병에서는 1차 포자와 유사한 2차 포자가 생성되었으며, 가늘고 긴 분생자병에서는 아몬드 모양의 포자가 형성되었다.

  • PDF

가지 흰가루병의 발생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on Eggplant in Korea)

  • 이상엽;황순진;이상범
    • 식물병연구
    • /
    • 제8권3호
    • /
    • pp.171-174
    • /
    • 2002
  • 2000년 가을에 경기도 여주의 가지재배하우스포장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하여 병원균의 형태 등을 조사하였다. 병징은 잎의 앞면, 뒷면과 잎자루에서 흰가루의 균총이 형성되어서 진전됨에 따라서 잎이 황화되어 말라서 결국 낙엽이 되었다. 이 병원균의 분생포자는 분생자경의 끝에 연쇄적으로 생기며 , 무색, 단세포, 타원형내지 장타원형으로 피브로신체를 가지고 있으며, 그 크기는 25~40$\times$15~22 $\mu\textrm{m}$ 이었다 분생포자의 발아관은 단순발아관이며,부착기는 뚜렷하지 않았고,분생자경은 거의 수직으로 분지하였고, 기부는 대부분 직선상이었으며, 그 길이는 47~100 $\mu\textrm{m}$ 이었다. 기부세포는 길이가 15-81 $\mu\textrm{m}$(평균 44$\mu\textrm{m}$), 폭이 10~16 $\mu\textrm{m}$ (평균 13 $\mu\textrm{m}$)이었다 그리고 분생자경상의 연쇄상 미성숙 분생포자들이 곡상외선(crenate edge)을 가지고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phaerotheca fusca에 의한 가지흰가루병으로 동정되어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Oidium sp.에 의한 스타티스 흰가루병 발생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on Statice (Limonium shinuatum) Caused by Oidium sp. in Korea)

  • 권진혁;강수웅;김정수;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5-78
    • /
    • 2001
  • 2000년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창원화훼시험장 스타티스포장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하여 병원균의 형태, 병원성, 분류학적인 특성을 조사를 하였다. 병징은 이병엽 앞뒷면과 잎자루, 줄기에 전형적인 흰가루 모양의 균총이 많이 형성되었고, 병징이 심하게 진전될 경우 잎에 황화되고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되며 결국 말라죽는다. 병반부에서 분생포자, 분생자병이 형성되었다. 분생포자는 분생자병의 끝에 형성되고 단상으로 원통형 또는 장타원형의 무색, 단포이다. 크기는 25.3{\sim}49.4{\times}12.3{\sim}17.2{\mu}m$이며, Fibrosin body는 없었다. 부착기는 손바닥 또는 가느다란 실모양이었다. 분생자병은 $2{\sim}4$개의 격막으로 되어있고 길이는 $65.7{\sim}124.8{\mu}m$이었다. Foot cell은 원통형이었다. 포장에서나 접종시 나타난 이병엽 병반부에서 자낭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본 병원균은 Oidium sp.에 의한 스타티스 흰가루병으로 동정되었으므로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새로운 병으로 보고한다.

  • PDF

Oidium sp.에 의한 풀협죽도 흰가루병 발생 (Powdery Mildew on Phlox Caused by Oidium sp. in Korea)

  • 권진혁;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0-52
    • /
    • 2003
  • 2002년 경남 하동군 청암면 풀협죽도에서 흰가루병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과 줄기등 식물체 전부분에 발생을 하며 병든 잎에 전형적인 흰가루 모양의 균총이 많이 형성하고, 심하게 진전될 경우 잎이 황화되고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말라죽었다. 병반부에 분생포자, 분생자병이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포자는 분생자병의 끝에 단상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무색, 단포였다. 크기는 $24{\sim}39{\times}12{\sim}23{\mu}m$이며, fibrosin body는 없었다. 분생자병은 $2{\sim}4$개의 격막으로 되어있고 크기는 $112{\sim}225{\mu}m$었다. 부착기는 가느다란 실모양이었다. 병반부에서 자낭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본 병원균은 Oidium sp.에 의한 풀협죽도 흰가루병으로 동정되었으며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새로운 병으로 보고한다.

규산코팅 벼 종자를 이용한 담수직파재배 시 벼 키다리병 경감효과 (Bakanae Disease Reduction Effect by Use of Silicate Coated Seed in Wet Direct-Seeded Rice)

  • 강양순;김완중;김연주;정기홍;최을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9-16
    • /
    • 2016
  • 벼 직파재배에서 볍씨에 피복재인 지오라이트와 결합재인 수용성규산(25%)으로 혼합 코팅된 "규산코팅볍씨(SCS)"의 활용에 의한 키다리병 억제효과를 구명하고자 서해안 간척지유래토양에서 담수표면직파된 포장시험과 아울러 시험포장에서 발병된 키다리병 이병주를 접종원으로 하여 변온조건(주야 $18{\sim}26^{\circ}C$)과 항온조건($30^{\circ}C$)에서 실내시험으로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담수직파에서 규산코팅볍씨 처리구는 무코팅볍씨 처리구에서 보다 입모분포상태가 균일하였고 분얼중기경 건물생산량이 13% 증가되었다. 2. 무코팅볍씨 처리구에서는 분얼중기 경부터 키다리병이 발생되어 종자감염을 일으키는 출수기 경에 9.9%의 심한 이병경율을 보인 반면에 규산코팅볍씨 처리구에서는 분얼중기까지 거의 발생이 없다가 출수기 무렵에 0.01%의 극미한 발생으로 99.9%의 방제가를 보였다. 이병주의 줄기마디와 이삭영화 감염부위에서는 전형적인 키다리병균의 소형분생자와 대형분생자 및 균사체 등이 확인되었다. 3. 무코팅볍씨와 규산코팅볍씨를 $30^{\circ}C$ 항온기에 각각 치상하고 시험포장에서 발병된 이병주의 이삭을 2주일간 접종 처리한 결과 무코팅볍씨 처리구의 접종이삭 종자에서는 종자표면에 균총이 형성되었고 종자내에는 소형분생자, 대형분생자 및 균사 발육이 왕성하게 증식된 반면에 규산코팅볍씨 처리구에서는 소형분생자와 균사는 생존하지 못하였고 대형분생자와 균사체 발육은 크게 위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규산코팅볍씨의 활용으로 직파재배 시 종자소독 없이도 친환경적 키다리병 방제가 가능하며, 향후 종자소독제로의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귤저장시 부패균 증식억제를 위한 식물유래 천연항균제 탐색

  • 하철규;이동규;강선철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53-456
    • /
    • 2000
  • 감귤의 저온저장 중 부패방지를 위한 천연항균제 개발의 일환으로 감귤의 저온저장 중 과피로부터 분리한 곰팡이를 MEA와 PDA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분생자병과 분생자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플라스크형의 phialide, 분생자병의 branching type이 simple type이며, conidial head가 columnar shape 등의 특징을 갖는 Penicillium sp. CF-301로 동정되었다. 또한 국내 자생식물을 채집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향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측백나무 열매와 주목나무를 제외한 8종의 식물 추출액이 감귤부패균에 대하여 향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측백나무 즙액은 8mm의 투명환을 보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국내 자생식물의 유기용매추출물로부터 양파부패균 Penicillium sp. ON-211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 하철규;태언희;강선철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729-732
    • /
    • 2000
  • 양파의 저온저장중 부패방지를 위한 천연항균제 개발의 일환으로 저장양파로부터 부패세균을 분리한 후 이 균에 대한 식물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양파의 저온저장중 과육으로부터 분리한 곰팡이를 MEA와 PDA에서 배양하면서 분생자병과 분생자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플라스크형의 phialide, 분생자병의 branching type이 simple type이며, conidial head가 columnar shape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Penicillium sp. ON-211으로 동정하였다. 또한 자생 식물은 채집하여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정향나무, 탱자나무의 잎은 chloroform 분액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측백나무 열매는 물분획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연필향나무의 잎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비교적 높은 항균 활성이 나타났다.

  • PDF

진딧물에서 발견된 국내 미기록 곤충병원성 곰팡이 Conidiobolus obscurus와 C. thromboides에 관한 보고 (Two Entomopathogenic Conidiobolus Species First Observed on the Aphids in Korea)

  • 윤철식;성기호;박현수;유재기;이정운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1호통권88호
    • /
    • pp.63-65
    • /
    • 1999
  • 국내 미기록 진딧물병원성 곰팡이, Conidiobolus obscurus와 C. thromboides.를 1998년 6월경 수원 농업과학기술원내의 망초에 서식하는 진딧물 (Dactynotus sp.)에서 발견하였다. 두 종은 Conidiobolus속 곰팡이의 전형적인 둥근모양의 1차포자를 형성하며 전반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C. obscurus의 1차포자 크기는 C. thromboides의 것보다 월등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 thromboides는 rhizoid를 형성하며 분생자병이 점차적으로 가늘어지나 C. obscurus는 rhizoid를 형성하지 못하며 일정한 금기의 분생자병을 만드는 것이 뚜렷한 차이점이었다.

  • PDF

Oidium sp.에 의한 잠두 흰가루병 발생 (Powdery Mildew on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Oidium sp. in Korea)

  • 권진혁;강수웅;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7권2호
    • /
    • pp.120-122
    • /
    • 2001
  • 2001년 5월 하순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잠두 재배포장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하여 병징과 병원균의 형태등을 조사하였다. 병징은 이병및 앞 뒷면과 잎자루에 전형적인 흰가루 모양의 균총이 많이 형성되었고, 잎이 황화되고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되며 결국 말라죽는다. 분생포자는 분생자병의 끝에 형성되고 단상으로 원통형의 무색, 단포이다. 크기는 29~45$\times$13~23 um(평균. 36~18 um)이며, Fibrosin body는 없었다 분생자병은 3~4개의 격막으로 되어있고, 크기는 28~100$\times$6~l0 um(평균. 70~8 um)이었으며, Foot cell의 크기는 28~53$\times$7~10 um(평균. 39$\times$8 um)이었다. 부착기는 가느다란 실모양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Oidium sp.에 의한 잠두 횐가루병으로 동정되었기에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새로운 병으로 보고한다.

  • PDF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의 오이흰가루병균에 대한 기생적 특성 (Parasitic Characteristics of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to Powdery Mildew Fungus of Cucumber)

  • 이상엽;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6-122
    • /
    • 2001
  • 흰가루병에 대하여 생물적 방제제로 선발된 Ampelomyces quisqualis94013(AQ94013)의 포자현탁액을 처리하여 오이 흰가루병균(Sphaerotheca fuliginea)에 대한 침입과정을 전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포자현탁액 처리 후 4시간 만에 포자가 흰가루병균의 분생포자, 분생자경 및 균사위에서 발아하고, 17시간 후에는 유사부착기가 형성되어 흰가루병균의 균사에 부착되었다. 24시간 후에는 균사내에 침입하였으며, 44시간 후에는 흰가루병균의 균사와 분생자경의 하부에 AQ94013의 병자각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48시간 후에는 병자각이 성숙되었으며, 52시간 후에는 병자각의 공구에서 병포자가 분출되고, 흰가루병균의 균사 및 분생자경은 변형되어 죽었다. 한편, 오이흰가루병균에 대하여 A. quisqualis 94013의 배양여액을 농축하여 처리한 결과에서 물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므로 흰가루병균에 대한 감염기작은 A. quisqualis 94013가 독소생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직접기생에 의하여 흰가루병균을 죽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