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류원칙

Search Result 19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Function-Based Classification System for Public Records of Government-General of Chosun (조선총독부 기록물을 위한 기능분류체계 개발 연구)

  • 설문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0 no.1
    • /
    • pp.457-488
    • /
    • 2003
  • Public records, produced during the period of Government-General of Chosun. are essential sources for Korean modern history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guideline for developing function-based classification scheme for the records. This present paper begins with analyzing archival principles regarding the function-based classification. and examines the problems of current arrangement practices. Based on these analyses, it suggests a guideline for constructing a classification system and a functional thesaurus for the public records of Government-General of Chosun. This guideline also covers functional analysis process and some considerations of different classification aspects which are conceptual, verbal and notational.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Presidential Records according to Subjects and Functions (주제 및 기능을 고려한 대통령기록물 분류체계 제안)

  • Jung, Kwang-Hun;Nam, Yo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2.08a
    • /
    • pp.161-165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대통령기록물을 효율적으로 관리 활용하기 위한 분류체계가 없는 실정에서 대통령이 가지는 초법적 지위 및 위상과 대통령기록물의 특성을 반영한 분류체계(안)을 설계하였다. 설계기본원칙은 국가기록원 분류표의 주제별 분류원칙과 행정안전부 공공정보 분류체계의 기능별 분류원칙을 미국 백악관기록관리실 주제적 관점을 수용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25개의 대분류항과 109개의 중분류항을 대통령기록물 분류체계(안)를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rrangement of Archives in China (중국의 기록물 정리분류의 원칙과 사례 분석)

  • 김유리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4 no.3
    • /
    • pp.297-316
    • /
    • 2003
  • Classification of archival collections in China is usually divided into two approaches, arrangement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classification. Focusing on arrangement of archives, this paper reviews what is the content and principle of arrangement, and how these principles are applied to actual arrangement of records and archives in China. The review examines the historical archives of Rep. of China, in the Second Historical Archives of China. It is expected that current review could enlighten studies on arrangement of historical archives created by Government-General of Chosun.

  • PDF

A Study on Principle and Theory of Main Classes in the Library Classification (문헌분류법에서의 주류설정의 원리)

  • Nam, Tae-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0 no.4
    • /
    • pp.333-36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inciple and theory of main class in a Library Classification. According to Sayers, 'The foundation of the library is the book; the foundation of librarianship is classification.' We looked at the between scientific and bibliographic classification, and at the fact that bibliographic scheme is usually an aspect classification. That is to say, the organization of topics is based on areas or activity and the first division of the scheme is into disciplines or subject domains. This first division of classification creates what are called main class. The sequence of main classes is also important. A rough definition of a amin class is that it corresponds to a sin91e notational character. Main classes usually equivalent to traditional disciplines. What constitutes a main class will vary from one classification to another. The order in which the main classes are listed is often discussed at the theoretical level, and some orders are considered to be better than others.

Strategic Approaches for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통합수자원관리 추진방안)

  • Kim, Sung;Lee, Mi-Yeon;Jang, Su-Hwan;Lee, Sung-Hack;Kang,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50-1654
    • /
    • 2007
  • 홍수와 가뭄의 증가, 수질악화, 물부족 등 물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통합수자원관리에 대한 논의가 국제사회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많은 학자들이 수자원관리를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통합수자원관리를 주장하고 있지만, 추상적인 설명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수자원관리에 대한 정의, 원칙, 추진전략 등을 정리하여 통합수자원관리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갖는다. 첫째, 수자원관리를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통합수자원관리가 등장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았다. 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이고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시스템(係)'으로 수자원을 인식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으며, 통합수자원관리가 그러한 인식을 갖고 있는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둘째, 통합수자원관리의 정의, 원칙 등을 조사하였다. 통합수자원관리는 자연의 지속가능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경제적, 사회적 복지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물, 토지 및 관련 자원의 조화로운 개발을 위한 과정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통합수자원관리를 위한 원칙으로는 지속가능한 수자원의 개발, 이용 및 관리원칙, 물순환 체계 고려 및 유역관리원칙, 이해당사자 참여 및 조정의 원칙, 비용부담 및 편익 균형배분의 원칙 등이 있다. 셋째, 통합수자원관리를 위한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법제도 정비 및 부문별 통합관리강화, 수자원 관련 자료의 신뢰도 제고 및 의사결정 체계 구축, 관련계획과의 연계, 계획-실행-평가의 순환구축, 물관리 비용부담체계 구축 등이 통합수자원관리의 실행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통합수자원관리에 대하여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개선을 위한 추진방안을 제시하여 국내 수자원관리의 문제해결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범람범위의 1차적인 정보에서 수립할 수 있었던 계획이 가질 수 있었던 한계점을 좀 더 향상된 정보를 이용하여 극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치수 방재 계획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group) 67개, 속(family) 161개로 분류되었으며, 가장 저차단위인 통(series)이 390개 분류되었다. 또한 작물이용측면에서 실용적 분류를 실시하였는데, 논토양의 경우 보통논, 미숙논, 사질논, 습논, 염해논, 특이산성논으로 분류할 경우 각각의 분포면적이 31.9%, 23.0%, 31.9%, 9.1%, 3.9%, 0.2%이었다. 밭토양의 경우에도 보통밭, 사질밭, 미숙밭, 중점밭, 고원밭, 화산회밭으로 6개 유형으로 분류할 경우 각각의 분포면적은 41.9%, 23.3%, 17.5%, 13.9%, 1.1. 2.2% 이었다. 도시화 및 도로확대 등 다양한 토지이용 및 지형개변으로 과거의 토양정보가 많이 변경되었다. 그래서, 앞으로는 인공위성자료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토양조사 방법개발과 기 구축된 토양도의 수정, 보완 작업이 필요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브로 출시에 따른 마케팅 및 고객관리와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한다.는 교합면에서 2, 3, 4군이 1군에 비해 변연적합도가 높았으며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합레진을 간헐적 광중합시킴으로써 변연적합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시장에 비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해 왔다고 볼 수 있다.36.4%)와 외식을 선호(29.1%)${\lrcorner}$ 하기 때문에 패스트푸드를 이용하게 된 것으로 응답 하였으며, 남 여 대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다. 응답자의 체형은 ${\

  • PDF

Characteristics in Classification of Chunqiu Introductory Remarks (凡例) demonstrated on Chunqiugwalyebulyu (春秋括例分類) by Seopa(西陂) Ryu-Hee(柳僖) (서파(西陂) 유희(柳僖)의 『춘추괄례분류』에 보이는 『춘추』 범례 분류의 특징)

  • Kim, Dong-Min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54
    • /
    • pp.115-151
    • /
    • 2017
  • With Seopa Ryu-Hee's Chunqiugwalyebulyu as the main research subject. this paper is to clarify characteristics in classification of the book's introductory remarks and its academic values. This book is a sort of synthetic collection of introductory remarks classification that defines standardized introductory remarks based on fundamental principles of Chunqiu introductory remarks. Seopa presented two fundamental principles for classifying Chunqiu introductory remarks. First, he clearly defined the nature and the system of the book Chunqiu, which was to present the background of classifying Chunqiu introductory remarks. Second, he declared that writing style and righteousness in Chunqiu serves as standard for classifying the introductory remarks. Seopa classified introductory remarks by type in accordance with these fundamental principles of introductory remarks in order to lay the groundwork for right interpretation of Chunqiu. Further, he was convinced that this classification of introductory remarks would block any chance of the book's wrong interpretation and at the same time, be able to remove the rationale behind distorted theories. This book can be appraised to have significant academic values in that it attempted standardization in classifying Chunqiu introductory remarks through systematic and synthetic analysis on various introductory remark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Schemes for NGO Records (시민단체 기록 분류방안 연구: 환경연합을 중심으로)

  • Lee, Young-S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5 no.2
    • /
    • pp.73-101
    • /
    • 2005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veloping process of classification shemes for NGO records. And it chooses the KFEM(Korea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nment) for case study, which is a representative NGO of Korea. This study proposes the classification principles in the form that the function classification and subject classification are combined. The development model of function classification schemes on the KFEM records is based on the Australian Standard Work Process Analysis for Recordkeeping(AS 5090) and the DIRKS (Designing and Implementing Recordkeeping Systems) methodology.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work process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s have been employed as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Records and Archives Classification in Korea (기록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 Seol, Moon-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2 no.3
    • /
    • pp.203-232
    • /
    • 2012
  • The study aims at reviewing research trends of records classification and archival arrangement, analysing issues, and suggesting futures tasks in related research area. It starts with defining research categories of records and archives classification through analysing the term of 'classification' being found in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Thirty five research papers which are covering classification of records and archives and published in 1980's are selected for contents analysis. Considering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and the practical needs, it makes clear the issues and tasks for future research. The study concludes with emphasizing more empirical research for guiding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nd reformulating archival theories in electronic environments.

Trends of Knowledge Classification System (지식분류체계의 변화와 동향)

  • Son, S.H;Hong, G.C.;Jung, H.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5 no.6 s.66
    • /
    • pp.190-197
    • /
    • 2000
  • 최근 인터넷 산업이 부각되면서 분류에 대한 연구도 인터넷 분야의 다양한 응용에 적용하기 위해 새롭게 재기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지식분류체계의 변화양상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 도서관학 측면에서의 기존 분류체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분류체계의 설계과정 기본원칙 및 새로운 적용분야에 대한 접근방식에 있어 분류체계에 대한 인식변화도 아울러 이루어져야 함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인터넷에 적용된 분류체계의 활용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