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단위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rivation of Minutely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Applications of Moupfouma Distribution (분단위 강우강도-지속시간-재현기간 관계의 유도: 모포마 분포의 적용)

  • Yoo, Chul-Sang;Park, Chang-Yeol;Kim, Kyoung-Jun;Jun,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8-172
    • /
    • 2007
  • 소유역의 배수시설물 설계를 위한 확률강우량 결정에는 일반적으로 건설교통부 (2000)에 의해 제시된 강우강도식을 이용하며, 강우의 지속시간이 10분이하인 경우에도 통상 제시된 강우강도식의 지속시간 최소단위인 10분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달시간이 수 분 정도인 도로 배수시설물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과대설계가 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모포마 분포를 시자료에 적용하여 분단위 연최대치 강우계열을 구성하고 이를 빈도해석하여 확률강우량을 추정하였다. 1분단위 강우자료(MMR 자료)를 이용하여 빈도해석을 수행한 결과 기존 건설교통부 (2000)에 의해 제시된 강우강도식은 분단위로 내삽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60분 집성자료를 모포마 분포에 적용하여 추정한 지속시간별 분단위 연최대치 강우계열은 관측된 분단위 연최대치 강우계열의 특성을 적절히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모포마 분포를 이용하는 경우 시단위자료를 이용하여 1분단위 자료의 특성 재현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60분 집성자료와 시단위 자료를 이용하여 모포마 분포에 각각 적용하여 IDF 관계를 유도한 경우 그 차이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사용된 자기상관함수에 따른 차이도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모포마 분포는 시단위 자료로 부터 60분 이하의 지속시간에 대한 연최대치 강우계열을 적절히 재현할 수 있는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Using Minutely Rainfall Data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공간상관구조 분석)

  • Park, Chang-Yeol;Kim, Kyoung-Jun;Hwang, Jung-Ho;Jun, Kyung-Soo;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90-79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분단위 강우자료(MMR)를 이용하여 시간해상도에 따른 강우의 공간상관구조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변량 혼합분포를 이용하여 강우를 모형화한 후 정규분포와 대수 정규분포를 고려하여 시간해상도별로 공간상관함수를 유도하고 그 변동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분단위 강우 자료를 호우 발생 특성별(태풍, 장마, 대류성 강우)로 분류하여 이에 대한 공간상관함수를 각각 유도하였다. 이때 시간해상도를 고려하기 위한 대상 집성시간은 1, 2, 3, 5, 10, 30, 60분이고, 대상지점은 중부지역의 27개 우량관측소 지점을 이용하였다. 그 적용 결과 분단위 강우자료의 경우 무강우 자료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간상관거리는 적용 분포형, 호우 발생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분의 경우 약 $9{\sim}15km$, 60분의 경우 약 $21{\sim}53km$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강우의 집성시간이 길어질수록 공간상관특성이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고 공간상관거리가 길어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분단위 강우자료의 관측소 밀도가 시단위 강우자료 관측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음을 나타내며,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지점빈도해석과 같은 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할 경우 적절한 개선방안이 제시되어야함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 PDF

Analysis of Rainfall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Using Minutely Data (분단위 자료를 이용한 강우의 공간상관구조 분석)

  • Yoo, Chul-Sang;Park, Chang-Yeol;Kim, Kyoung-Jun;Jun, Ky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6
    • /
    • pp.113-120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correlograms of minutely rainfall data with respect to various accumulation times. A bivariate mixed lognormal distribution was applied for rainfall modelling. A total of 26 minutely rainfall data sets from rain gauge stations in the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 were analyzed, also repeated for several storm types like Jang-Ma, typhoon and convective storms for their comparison. The accumulation times 1, 2, 3, 5, 10, 30 and 60 minute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minutely rainfall data available was not good enough for estimating minutely rainfall intensity at ungaged locations. It seems more practical to use the hourly rainfall data with much higher rain gauge density, if proper methods for interpolation and data dis-aggregation are provided.

Derivation of Minutely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Relationships by Applying the Moupfouma Distribution (모포마 분포를 적용한 분단위 강우강도-지속시간-재현기간 관계의 유도)

  • Yoo, Chul-Sang;Park, Chang-Yeol;Kim, Kyoung-Jun;Jun, Kyung-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8
    • /
    • pp.643-654
    • /
    • 2007
  • This study proposes and evaluates a methodology for deriving the rainfall intensity- duration-frequency relationship for durations less than 10 minutes used for designing drainage systems in small urban catchments and roads.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Moupfouma distribution, which has been evaluated by applying it to the rainfall data at the meteorological Seoul station. Summarizing the results is as follows: (1)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using minutely rainfall data was found not to be corresponded with the extrapolation of that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0). (2) The annual maxima minutely rainfall data derived by applying the Moupfouma distribution to the accumulated 60-minute data was found to well rep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of observed. (3)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relationship derived by applying the Moufouma distribution to the accumulated 50-minute data and hourly data was found insignificant.

Estimation of Maximum 30-min Intensity using Hourly-based Data in Daegu station (시강우량을 이용한 30분 최대 강우강도 추정방법에 관한 연구)

  • Lee, Joon-Hak;O, Gyeong-Du;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8-391
    • /
    • 2011
  • 강우침식인자를 구하기 위해서는 개별 호우사상의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연속된 분단위 강우자료가 필요하지만, 자료 획득이 제한되어 지점별로 보다 얻기 쉬운 시간 단위 강우량을 이용하여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추정하려는 노력이 있어왔다. 본 연구는 시강우량을 이용하여 개별 호우사상의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추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구 지점의 1960년~1999년 기간의 818개 호우사상을 이용하였다. 분류된 호우사상별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기상청으로부터 획득한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한 뒤, 이를 참값으로 하여 60분 최대 강우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구 지점의 60분 최대 강우강도로부터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추정할 수 있는 변환계수는 1.228로 나타났으며, 고정시간 1시간 최대 강우강도로부터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추정할 수 있는 변환계수는 1.3778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Optimal Time Distribution of Extreme Rainfall Using Minutely Rainfall Data: A Case Study of Seoul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극치강우의 최적 시간분포 연구: 서울지점을 중심으로)

  • Yoon, Sun-Kwon;Kim, Jong-Suk;Moon, You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3
    • /
    • pp.275-290
    • /
    • 2012
  •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n optimal time distribution model through extraction of peaks over threshold (POT) series. The median values for annual maximum rainfall dataset, which are obtained from the magnetic recording (MMR) and the automatic weather system(AWS) data at Seoul meteorological observatory, were used as the POT criteria. We also suggested the improved methodology for the time distribution of extreme rainfall compared to Huff method, which is widely used for time distributions of design rainfall. The Huff method did not consider changing in the shape of time distribution for each rainfall durations and rainfall criteria as total amount of rainfall for each rainfall events. This study have suggested an extracting methodology for rainfall events in each quartile based on interquartile range (IQR) matrix and selection for the mode quartile storm to determine the ranking cosidering weighting factors on minutely observation data. Finally, the optimal time distribution model in each rainfall duration was derived considering both data size and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using kernel density function in extracted dimensionless unit rainfall hyetograph.

A study of the Hydraulic & Hydrologic Causes on the Road Drainage Poor Site (노면배수 취약구간의 수리.수문 원인 분석)

  • Lee, Man-Seok;Lee, Kyung-Ha;Kang, Min-Soo;Kim, Heung-Rae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3 no.2
    • /
    • pp.133-138
    • /
    • 2011
  • This study aims to compare hydraulic & hydrologic design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generated on weak points for road drainage poor sites. More appropriated methodology of rainfall-intensity calculated is to consider minutely rainfall-intensity decision method for road drainage basins. To use non-uniform flow analysis methodology for road surface drainage facilities inlet spacing decision methods is better than present experience inlet spacing decision equations.

Road Drainage Facility Design Methods apply on the Hydraulic and Hydrologic Analysis (수리·수문기술을 적용한 도로 배수시설 설계 기법)

  • Lee, Man-S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4
    • /
    • pp.419-430
    • /
    • 2012
  • Due to the calculation difficulty on the hydraulic and hydrologic analysis for road drainage facilities design, these analysis techniques are not applicable. This study's result are development of minutely rainfall-intensity equation suitable for road drainage area, verification of rainfall-runoff model joining kinematic wave theory for road drainage area, computational model based GUI for road surface drainage facilities spacing and culvert's size decision and various road drainage channel design. Applicable test on the developed model is proceed, result that in case of road surface dranage facilities spacing is narrower 6~65% than present spacing calculation method, in other case of road cross dranage facilities size is bigger 6~140% than present size decision method.

Monitoring Landcreep Using Terrestrial LiDAR and UAVs (지상라이다와 드론을 이용한 땅밀림 모니터링 연구)

  • Jong-Tae Kim;Jung-Hyun Kim;Chang-Hun Lee;Seong-Cheol Park;Chang-Ju Lee;Gyo-Cheol Jeon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3 no.1
    • /
    • pp.27-37
    • /
    • 2023
  • Assessing landcreep requires long-term monitoring, because cracks and steps develop over long periods. However, long-term monitoring using wire extensometers and inclinometers is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and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an area with active landcreep and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monitoring it using imagesing from terrestrial LiDAR and drone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minute-by-minute data measured in the field using a wire extensometer. The comparison identified subtle differences in the accuracy of the two sets of results, but monitoring using terrestrial LiDAR and drones did generate values similar to the wire extensometer. This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basic monitoring using terrestrial LiDAR and drones, although minute-byminute field measurements are required for analyzing and predicting landcreep. In the future, precise monitoring using images will be feasible after verifying image analysis at various levels and accumulating data considering climate and accuracy.

Conversion Factor Estimation of Temporal Time by Calibration for Minutely Rain Data Using Hourly Rain Data (시단위 강우자료를 활용한 분단위 강우자료의 보정과 임의시간 환산계수의 추정)

  • Oh, Tae-Suk;Oh, Keun-Taek;Moon, Young-Il;Park, Rae-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15-1219
    • /
    • 2008
  • 수공구조물 설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확률강우량은 기존에 발생한 시간강우와 일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지속시간별 연최대치 계열을 빈도해석하여 수행하고 있다.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강우자료는 00시 00분부터 01시 00분까지 누적된 강우량을 01시 강우량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는 한 호우 사상에서 총강우량은 동일할지 모르지만, 강우의 발생별 시점, 종점 및 누적 강우량은 다르게 산정된다. 이와 같이 확률강우량 산정시 고정시간 강우자료를 수문학적 의미인 임의 지속시간별 강우량자료로 변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7개 지점의 1분 단위 강우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고정시간별 연 최대치 계열과 임의 지속시간별 연 최대치 계열을 추출한 후 두 자료에 따른 지속시간별 환산계수를 산정하였으며, 기존에 산정된 환산계수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