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정적 불일치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4초

기대불일치의 긍정적 속성과 부정적 속성이 대학생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The Independent Impacts of Positive and Negative Attributes of Disconfirmation on Satisfaction and Loyalty of University Students)

  • 손경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1호
    • /
    • pp.163-178
    • /
    • 2015
  • 본 연구는 기대불일치의 긍정적 속성과 부정적 속성이 대학생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32개 대학의 학생 1,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조사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에서 기대불일치와 관련된 부분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시 긍정적 불일치와 부정적 불일치가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경로지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일치의 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불일치의 경우 정(+)의 영향(${\beta}=.188$)을 미치는 반면, 부정적 불일치는 부(-)의 영향(${\beta}=-.326$)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기대불일치이론을 지지하였다. 둘째, 불일치의 속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 불일치의 경우 유의미한 반면(${\beta}=-.105$), 긍정적 불일치의 경우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불일치의 부정적 속성이 긍정적 속성에 비해 만족도와 충성도에 대해 2~7배 정도 더 강력한 힘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생의 만족도와 충성도는 교육성과의 지표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지만 그 제고전략에 대해서는 별개의 차원에서 접근할 것을 제언하였다. 아울러 대학은 불일치의 부정적 요소의 가중적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특히 학생들이 표출하는 불만 요소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예체능계열 대학생의 기대불일치와 만족도 및 충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Expectancy-Disconfirmation and Satisfaction, Loyalty of Students Majoring in Art & Physical Education)

  • 김일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469-477
    • /
    • 2016
  • 본 연구는 예체능 계열 대학생의 기대불일치와 만족도 및 충성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체능 계열 대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체능 계열 대학생의 긍정적 불일치는 만족도(교육성과)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예체능 계열 대학생의 부정적 불일치는 만족도(교수, 직원, 교육성과)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예체능 계열 대학생의 긍정적 불일치의 경우 만족도(직원, 교육성과)는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예체능 계열 대학생의 부정적 불일치의 경우 만족도(교육성과)는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예체능 계열 대학생의 만족도를 높여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표출하는 부정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대학의 노력과 내실있는 교육과정 실천을 통해 학생들의 교육성과를 높일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팀의 지식 공헌을 가로막는 조용한 장벽: 팀원의 위상(지위) 불일치를 중심으로 (Agree or Disagree? An Insidious Obstacle to Knowledge Contribution: The Role of Team Status Disagreement)

  • 강성모;권상집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3호
    • /
    • pp.129-149
    • /
    • 2021
  • 사회적 위계서열에 대한 연구는 최근 경영 및 조직연구에 있어 관심이 증가하는 연구 주제이다. 하지만 팀내 사회적 위계서열에 관한 연구가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팀원 간의 지위 불일치(Status disagreement)에 관한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지위 불일치가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팀원들의 공헌도를 감소시키는 이유와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팀원 간의 지위 불일치는 지식공유를 감소시키고 지식은폐를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지식 공헌도를 감소, 팀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팀 특성 중 하나인 기술(Skill) 차별화는 지위 불일치의 부정적인 영향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지위 불일치, 지식공헌, 그리고 팀성과에 관련된 명제를 제안하고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 등에 관한 추가 논의를 진행하였다.

예측과 정서가 후견지명 편향에 끼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diction and Emotion on Hindsight Bias)

  • 김성은;현주하;한광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475-481
    • /
    • 2008
  • 본 연구는 어떤 사건에 대한 예측 정확성 여부와 기억을 회상할 때의 정서 상태가 후견지명 편향 (hindsight bia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valence 축에 따라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일으키는 두 가지 음악을 제시하고 두 조건에 대하여 기억에 대한 과잉 확신이 얼마나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예측 정확성 여부에 대해서는 실험 결과 데이터 중 예측 일치 조건과 불일치 조건으로 나누어 후견지명 편향에 끼치는 영향과 정서와의 상호작용이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사람들은 예측과 반대되는 결과를 접했을 때 결과에 anchoring하여 기억을 회상하려는 편향이 더욱 커졌으며 부정적인 정서보다 긍정적 정서 상태일 때 후견지명 편향이 더욱 커졌음을 밝혔다. 특히 예측과 상이한 결과 피드백을 받고 긍정적 정서 상태일 때 가장 많은 왜곡 현상을 보였으며, 예측 불일치/ 부정적 정서 조건, 예측 일치/ 긍정적 정서 조건, 예측 일치/ 부정적 정서 조건 순으로 후견지명 편향을 보였다. 이 결과는 정서 상태보다 어떤 사건에 대한 예측 정확성 여부가 후견지명 편향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실험실 상황을 통하여 자기와 관련이 없는 중립적 과제를 통해서도 후견지명 편향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그 동안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정서와 후견지명 편향의 관계를 밝히고, 기존의 예측 정확성에 따른 편향을 설명하는 모델간 논쟁이 많았으나 실험 결과가 motivational model을 지지함을 밝혔음에 의의가 있다.

  • PDF

한국 영화의 개봉전·후 온라인 WOM분석을 통한 영화 흥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vie Hit through Online WOM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Release of Korean Movies)

  • 김상목;주용호;조옥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57-267
    • /
    • 2021
  • 본 연구는 영화 시장 수준에서 개봉 전 시장의 기대 수준을 높이는데 지나치게 몰두하는 사전 마케팅이 갖는 위험성을 경고하고, 시장의 기대 불일치 수준이 낮을수록 이상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핵심 개념은 개봉 전 기대수준과 개봉 후 만족은 각각의 영화 평점으로 측정하였고, 이의 차이를 기대불일치로 산정하였다. 흥행 성적은 영화의 매출액으로 측정하였다. 영화에 대한 온라인 구전을 개봉전과 개봉후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구전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개봉 전 기대 수준을 높이는 데에는 스타 파워와 감독 파워, 전문가평점, 스크린수 중에서 전문가평점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을 나타났다. 개봉 전 기대수준은 개봉후 평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기대불일치 수준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개봉 전 기대수준이 높을수록 기대불일치가 크다는 가설과 기대불일치가 높을수록 흥행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지지되면서 기존의 개인 수준에서의 기대불일치 이론을 시장 수준에서 적용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개봉 전 기대수준을 높이는 마케팅 전략은 기대불일치를 크게 하여 최종적으로 영화 흥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영화와 같이 관여도가 낮거나 감성적인 상품을 대상으로 영화관련 실무자들에게 영화의 개봉전이나 개봉후 초기에 실시하는 마케팅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기대불일치가 스마트폰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 만족도,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조절된 매개모델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Moderated Mediating Model on SEM: Focusing on Expectancy Disconfirmati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LBS Application)

  • 김효정;나종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119-132
    • /
    • 2016
  • 본 연구는 기대불일치이론을 토대로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개인의 사전 기대와 성과 평가 간의 불일치 정도를 살펴보고, 기대불일치가 서비스 만족도와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SPSS 19.0과 Amos 21.0를 활용하여 스마트폰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기대불일치, 만족도, 지속 사용 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기대불일치가 서비스 만족도와 지속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기대불일치가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만족도에 의해 매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서비스 신뢰에 의해 기대불일치, 만족도, 지속 사용 의도의 관계가 조절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위치기반 서비스의 지속 사용 의도를 향상 시키거나 감소시키는데 기대불일치와 만족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 요소들을 세부적으로 파악하여, 어떠한 기대 요소들이 만족도와 지속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IT기반 로봇의 수용에 관한 연구: TAM과 EDT 모형의 통합관점 (Predicting IT-based Robot Adoption in Korea: By Integrating TAM and EDT)

  • 김유정;이형석;윤종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237-24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TAM 모델에서의 신념변수인 지각된 유용성을 기대불일치이론에 근거하여 지각된 유용성과 기대된 유용성의 불일치정도로 개념화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기술 수용에 관한 개인의 혁신성과 URC로봇의 유용성에 대한 기대불일치정도가 태도와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6년과 2007년 두 차례에 걸쳐 10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된 URC 시범서비스 가구를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두 차례 설문 모두에 응답한 설문응답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개인 혁신성은 유용성의 기대불일치정도(지각된 유용성-기대된 유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유용성의 기대불일치정도는 사용자 태도와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용자 태도는 이용의도와 유의미한 수준에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만족 형성 과정에 대한 감정 반응의 역할

  • 김광수;곽원일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권1호
    • /
    • pp.2.1-2.3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만족 형성 과정에서 발현되는 소비자의 감정 반응의 역할에 대해 이론적 및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소비자 감정 반응에 관한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 소비자 만족 형성 과정에서 발현되는 소비자 감정 반응은 구매라는 사건을 중심으로 기분 상태와 소비 정서라는 주요한 범주로 구분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감정과 인지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 특히 정서의 인지적 평가 이론을 기초로 기존의 기대-불일치 모형에 의한 인지적 과정과 기분 상태→소비 정서의 감정적 과정을 결합하는 연구 모형을 수립하고 확인적 요인 분석과 구조 방정식 모형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 연구 결과 점포 내 기분 상태는 유쾌와 각성, 소비 정서는 긍정적 소비 정서와 부정적 소비 정서의 차원으로 구분되며, 기대가 소비자의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인지적 평가로, 불일치가 소비 정서의 인지적 평가로 간주될 수 있으며, 점포 내 기분 상태가 제품의 성과 판단과 소비 정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PDF

제품 전형성 및 원산지와 제조국 일치여부에 따른 원산지 적개심 효과 (Effects of Animosity against a Product's Country-of-Origin: An Examination of Moderating Factors)

  • 홍성태;강동균;이명환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65-9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원산지에 대한 적개심이 제품에 대한 평가,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전형성이 낮은 제품과 높은 제품 간에 원산지에 대한 적개심의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 가를 분석하였고, 원산지와 제조국이 일치 혹은 불일치하는 경우 간에도 원산지에 대한 적개심의 영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 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원산지 적개심은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형성이 높은 제품보다는 낮은 제품인 경우에 원산지에 대한 적개심의 부정적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한편, 원산지와 제조국이 일치하는 경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간에는 원산지에 대한 적개심의 부정적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렇지만, 전형성이 낮은 제품에 있어서는 원산지와 제조국이 불일치하는 경우에 적개심의 부정적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가설의 예측과는 상반되는 결과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향후 연구방향과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PDF

불완전한 영역이론을 위한 반대개념의 학습 (Learning Opposite Concept for Incomplete Domain Theory)

  • 태강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6권8호
    • /
    • pp.1010-1017
    • /
    • 1999
  • 불완전한 계획 영역 이론은 오류 영역(noisy domain)에서 하나의 상태에 상반된 연산자들이 적용되는 불일치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상태를 기술하기 위해 다치 논리를 도입하여 제어지식으로서의 부정적 선행조건을 학습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기계에는 알려지지 않은 이러한 제어지식이 인간에게는 반대개념으로 잠재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잠재된 개념을 학습하기 위해 본 논문은 반대 연산자들로 구성된 사이클을 영역이론으로부터 기계적으로 생성하고, 이 연산자들에 대한 실험을 통해 반대 리터럴(literal)들을 추출한다. 학습된 규칙은 불일치성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중복된 선행조건을 제거하여 연산자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Abstract An incomplete planning domain theory can cause an inconsistency problem in a noisy domain, allowing two opposite operators to be applied to a state. To solve the problem, we present a novel method to learn a negative precondition as control knowledge by introducing a three-valued logic for state description. However, even though the control knowledge is unknown to a machine, it is implicitly known as opposite concept to a human. To learn the implicit concept, we mechanically generate a cycle composed of opposite operators from a domain theory and extract opposite literals through experimenting the operators. A learned rule can simplify the operator by removing a redundant precondition while preventing inconsist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