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여지방

Search Result 17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Comparative Analysis on Emergency Administration System Between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한국, 미국, 일본의 재난행정체제에 대한 비교 분석)

  • Park, Sung je;Yoon, Jong-Han;Ryu, Si 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35-135
    • /
    • 2016
  •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태풍, 홍수, 호우 등 기후변화에 기인한 재해의 피해수준이 심해지고 범위도 날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집중호우와 그로 인한 침수피해 등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늘어나면서 자연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재난행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행정체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재난행정이 오랫동안 발전해온 미국과 일본의 체제 각각에 대한 연구는 있어왔으나, 한미일 3개국의 재난행정체제를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한국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행정체제의 발전에 오랫동안 지대한 영향을 미쳐온 미국과 일본의 재난행정체제를 분석하고 최근의 재난 양상과 관련해 한국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비교제도분석을 실시했다. 우선 선행연구 검토에 기반하여 재난행정체제의 비교분석에 필요한 비교틀을 구성하고, 분석틀에 기반해 한국, 미국, 그리고 일본의 재난행정체제를 비교한다. 분석결과 한국의 재난 행정체제는 미국 및 일본과 같은 재난행정의 선진국가와 비교할 때 재난관련 법률이 통합적이지 않고 분산되어 있어 상호중복 및 충돌의 소지가 있으며, 재난관리 단계에 있어서도 예방보다는 대응과 복구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난대응의 1차 책임소재도 불명확하며 민간네트워크도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 미국과 일본의 재단대응체제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기존의 분산되어 있는 기본법들을 통폐합하여 재난관리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기본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방정부의 재난대응역량을 강화시키고 보다 많은 책임과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셋째, 재난관련 기관들의 역할을 명확히 분담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조정기제를 효율화하여 재난대응시 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분산적인 재난관리체제를 통합적 성격의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넷째, 주민단위 재난대응조직과 협력의 틀을 구축하여 민관네트워크를 활성화하여야 한다.

  • PDF

Floristic study of Jogyesan Mt. (조계산의 식물상)

  • SUN, Eun-Mi;CHOI, Seung-Man;KIM, Byeol-Ah;SON, Hyun-Deok;HONG, Hang-Hwa;IM, Hyoung-Tak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8 no.4
    • /
    • pp.331-356
    • /
    • 2018
  • We investigated the flora of Jogyesan Mt. and discussed important vascular plants found on this mountain. In total, 16 separate field trips (20 days overall) were completed from 2013 to 2017. There are 577 taxa on Mt. Jogyesan, consisting of 115 families, 333 genera, 520 species, 8 subspecies, 45 varieties, and 4 forms. Eighteen endemic plants of Korea were found on Jogyesan Mt., including Carex okamotoi Ohwi, 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and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There are 80 taxa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n total, including level V such as Adenophora palustris Kom. and level IV such as Dryopteris championii (Benth.) C. Chr. ex Ching, Gastrodia elata Blume, Lindera sericea (Siebold & Zucc.) Blume and Corylopsis glabrescens var. gotoana (Makino) T. Yamanaka. There also are 24 taxa of naturalized plants, including Ambrosia artemisiifolia L.

Resident Friendly River Management: Focusing on Performance Indicators (주민 친화적 하천관리 방향: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 Jo, M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9-9
    • /
    • 2020
  • 하천공간은 홍수방어와 용수사용을 위한 수자원관리 측면의 공간에서 벗어나 국민들의 삶의 질 제고와 이용편익, 생활환경의 중심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민의 하천에 대한 눈높이가 상승하고 있음에도 하천공간이 주는 여러 가치에 대해서는 학술적 검토가 미진하였으며, 그에 따라 정책에도 제한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요인분석 등을 통해 주민 입장에서 부여할 수 있는 하천의 다면적 가치를 식별하고 주민친화적 관리를 위한 성과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가 개발하고자 하는 성과지표 체계는 기존 방식대로 객관화·정량화가 불가능한 주민의 정성적·주관적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먼저, 관련된 각종 선행연구 및 도로 등 타분야 사례, 일본 등 해외 사례 등을 종합하여 하천의 4가지 사업부문인 치수, 이수, 환경, 친수를 모두 포괄하는 지표체계안을 구축하였다. 다만 본 연구가 주민친화적 하천관리를 목적으로 하므로 상대적으로 환경·친수 부문 지표의 비중이 높았으며, 총 지표 개수는 25개로 도출하였다. 도출한 지표체계안을 바탕으로 주민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요인분석법을 활용하여 지표체계를 재정리하였다. 요인분석법은 학술적·실무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PCA 추출법과 Varimax 회전법을 채택하였으며, KMO 및 Barlett's 검정법을 활용하여 자료 검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천 부문 주민만족 요인은 3가지로 나타났으며, 이를 각각 '최소친수기반요인', '안전·청결기반요인', '친수활동지원요인'으로 정의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3개 영역, 6개 세부 영역, 24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성과지표 체계를 도출하였다. 마련된 성과지표의 항목별 중요도를 전국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영역 중에서는 '안전·청결기반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징적으로는 CCTV, 장애·위험물 제거, 수질·공간청결성, 공공화장실 만족성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전지역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을 사례지역으로 성과지표를 비교한 결과, 국가하천의 성과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소친수기반요인' 영역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Main Factors in aids to Navigation Accidents using a Bayesian Network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항로표지사고 주요 요인 분석)

  • Sangwon Park;Youngsoo Park;Beom-Sik Moo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7 no.6
    • /
    • pp.324-330
    • /
    • 2023
  • Aids to navigation, which provide information about a ship's position, direction, and the location of obstacles, are crucial for uninterrupted maritime servic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ccidents involving aids to navigation that resulted in service disruptions and identify the key factors associated with these accidents. Aids to navigation accident data from 2000 to 2022 were utilized to achieve this. We categorized accidents by accident type, cause, region, season, and type of navigation aid and established a network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ayesian networks based on aids to navigation accidents were assigned prior probabilities, and the factors that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accidents for different types of aids to navigation were identified. The findings can be used to infer the causes of unreported aids to navigation accidents and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prevention of such accidents.

Early Diagnosis of Fatty Liver-Hemorrhagic Syndrome using Blood Biochemistry in Commercial Layers (산란계의 혈액화학치 측정에 의한 지방간 출혈 증후군의 조기 진단)

  • So, H.H.;Jeon, E.O.;Byun, S.H.;Mo, I.P.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36 no.2
    • /
    • pp.165-175
    • /
    • 2009
  • Fatty liver-hemorrhagic syndrome (FLHS) is a common nutritional disease in commercial layers and breeders. The most important clinical sign of FLHS is a sudden drop in egg production and increased mortality which causes significant economic loss in the poultry industry. However, the current diagnostic method for FLHS is based on the gross findings at necropsy which is not helpful to reduce the economic loss because of lateness of diagnosis. Therefore, we need early diagnosis and diagnostic methods before chickens were affected by FLHS. In this study we tri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linical pathology including blood chemistry as an early diagnostic method for FLHS in commercial chickens. Profiles of blood biochemistry were compared between two flocks selected in the same commercial layer farm based on the presence of FLHS clinical sings. A flock with clinical signs of FLHS was designated as FLHS and other flock without clinical signs of FLHS as Non-FLHS. Several parameters of blood biochemistry were selected and compared between FLHS and Non-FLH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early diagnosis. Average concentrations of serum cholesterol, serum calci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creatine kinase (CK) were $139.4\;{\pm}\;87.2$ (mg/dL), $24.5\;{\pm}\;5.4$ (mg/dL), $153.6\;{\pm}\;23.1$ (IU/L), $1238.3\;{\pm}\;475.2$ (IU/L) and $1107.3\;{\pm}\;422.8$ (IU/L) in Non-FLHS flock, respectively, and $210.2\;{\pm}\;173.2$ (mg/dL), $25.2\;{\pm}\;4.1$ (mg/dL), $174.3\;{\pm}\;53.5$ (IU/L), $1694.9\;{\pm}\;691.3$ (IU/L) and $1104.9\;{\pm}\;472.9$ (IU/L) in FLHS flock, respectively. The activities of serum cholesterol, AST and LDH except CK,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LHS than those in Non-FLHS flock (p<0.05). Some birds of FLHS flock showed 2~17 times greater than in Non-FLHS flock. For the definitive diagnosis of FLHS in the flocks tested for blood chemistry, we analyzed fat content and histological lesion score in the liver sampled from both FLHS and Non-FLHS flock. Average liver fat contents based on dry weight were $16.1\;{\pm}\;0.4$ (%) in Non-FLHS flock and were $21.6\;{\pm}\;16.0$ (%) in FLHS flock. These result confirmed that FLHS flock was definitely affected by FLH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selected parameters of blood biochemistry, particularly AST, could be useful to diagnose FLHS before significant liver damage occurred in commercial layer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Supplemented with Tea Extracts (녹차, 오룡차, 홍차 추출물을 첨가한 돼지고기 수육의 품질특성)

  • Cho, Kyung Ok;Kim, Sun 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2 no.5
    • /
    • pp.774-783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with different amounts (0.5, 1, 1.5, or 2%) of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extracts. Characteristics measured included approximate composition, water holding capacity (WHC), hardness, pH, Hunter's color value,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sensory qualities. Green tea approximately contained 3.4%, 31.8%, 5.5%, and 57.7%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ash, and carbohydrate,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type of tea. However, the crude fat content of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were 1.6%, 1.0%, and 0.9%, respectively. Green tea had the highest content of crude fat (p<0.05). Boiled pork approximately contained 55.1%, 38.6%, 5.2% and 0.9%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respectively. The WHC of boiled pork, with tea extract added,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tea. The hardness of boiled pork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amount of tea extract added increased (p<0.05). The pH of the boiled pork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storage for one day,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ntrol groups and boiled pork with 0.5% of any tea extract added during storage. However, in boiled pork with 1%, 1.5%, or 2% of any tea extract added, p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storage. The Hunter's L and b values decreased in all boiled pork. The Hunter's a-values also decreased in boiled pork with green and black tea extract added, but increased in boiled pork with oolong tea extract added. In boiled pork with tea extract added,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mount of tea extract added increased during storage (p<0.05). The VBN value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storage in all groups. TBARS valu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oiled pork with green tea extract added, oolong tea added (at concentrations of 1%, 1.5%, or 2%), and black tea extract added compared to control groups on the first day.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nce of boiled pork containing 1% of oolong or black tea extracts had the highest scor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aste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iled pork has improved quality characteristics with 1% of oolong or black tea extracts added.

POLICY PLAN FOR PARKS AND GREENERIES IN SEOUL

  • Lee, S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12b
    • /
    • pp.30-48
    • /
    • 1995
  • 서울시는 국가의 수도로서 이제 6n년의 역사를 맞이하였다. 뛰어난 산수와 자연 경관을 가진 서울시의 자연은 근세이후 도시의 발전에 따른 점차적으로 훼손되어 왔으며, 특히 1960년대 이후의 도시성장기에 시행된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은 공원 녹지의 잠식을 가속화시켜 본래의 자연은 양적, 질적 측면에 많은 피해가 발생되었다. 또한 도시 정책의 부분으로서 공원 녹지 정책은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에 밀려 제기능을 발휘 할 수 없었으며, 정책에 있어서도 목표와 미래 방향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현재 공원 녹지와 관련된 정책 환경을 볼 때, 각종의 도시개발 사업, 지방 자치제 시행에 따를 도시의 난 개발은 부족한 공원녹지를 더욱 잠식하는 위협요소가 되고 있으며, 토지수요에 대한 공급의 한계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시점에서 개발론자 들은 공원 녹지를 개발의 주요대상으로 인식하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 환경의 문제의 대두, 환경에 대한 시민의 관심, 정책 집행자들의 환경 보전과 관리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어 서울시의 공원 녹지의 미래 전망을 밝게 해주는 긍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2000년대를 바라본 현시점에서 도시의 기간 요소로서 공원 녹지는 단지 존재만의 가치가 아니라 적정한 기능을 부여하고 이용의 활성화를 통한 공원 녹지의 새로운 탄생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공원 녹지정책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양적 측면에서의 풍요로움과 질적 측면에서의 기능성의 회복과 도시 구성적 측면에서의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의 구성이라는 3가지의 정책 이슈를 제기한다. 양적 측면에서 녹의 풍요로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 지표 위주의 정책보다는 공원 녹지의 총량적인 관리 체제를 통한 전 도시적 차원의 공원녹지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공원 녹지로서 잠재 가치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공원 녹지의 조성과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공원 녹지의 잠식 방지를 위한 명확한 사회적인 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동시 에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에서는 정 책 집행을 위한 조직과 행정의 개편, 예산의 확보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재 서울시는 지방자치제 시행에 따라 시 행정에 있어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으며, 공원 녹지는 새로운 환경 변화에 부합되는 적절한 도시요소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하천 복개의 금지, 하천공간의 복원에 대한 움직임, 환경 녹지 복구를 위한 사업의 시행, 민간부문의 환경 운동의 활성화 등 바람직 한 현상이 전개되고 있어, 공원 녹지는 미래의 도시 관리 에 있어 주요 관심사가 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Defining Homogeneous Weather Forecasting Regions in Southern Parts of Korea (남부지방의 일기예보구역 설정에 관한 연구)

  • Kim, Il-Kon;Park, Hyun-Woo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1 no.3
    • /
    • pp.469-488
    • /
    • 1996
  • The defining of weather forecasting regions is possible. since the representativeness of regional weather can by reasonably clarified in terms of weather entropy and the use of information ratio. In this paper, the weather entropy and information ratio were derived numerially from using the information theory. The typical weather characteristics were clarified and defined in the homogeneous weather forecasting regions of the southern parts of Korea.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are the daily precipitation and cloudiness during the recent five years (1990-1994) at 42 stations in southern parts of Korea. It is divided into four classes of fine, clear, cloudy and rain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aximum value of weather entropy in study area is 2.009 vits in Yosu in July, and the minimum one is 1.624 bits in Kohung in October. The mean value of weather entropy is maximal in July, on the other hand, minimal in October during four season. The less the value of entropy is, the stabler the weather is. While the bigger the value of entropy is, the more changeable the weather is. 2. The deviation from mean value of weather entropy in southern parts of Korea, with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parts, shows remarkably the distributional tendency of the east (positive) and the west (negative) in January but of the south (positive) and the north (negative) in July. It also clearly shows the distributional tendency of the east (postive) and the west(negative) in the coastal region in April, and of X-type (southern west and northern east: negative) in Chiri Mt. in October. 3. In southern parts, the average information ratio maximaly appear 0.618 in Taegu area in July, whereas minimally 0.550 in Kwangju in October. Particularly the average information ratio of Pusan area is the greatest in April, but the smallest in October. And in Taegu, Kwangju, and Kunsan, it is the greatest in April, January, and July, but the smallest in Jyly, July, and pril. 4.The narrowest appreance of weather representativeness is in July when the Kwangju is the center of the weather forecasting. But the broadest one is in April when Taegu is the center of weather forecasting. 5. The defining of weather forecasting regions in terms of the difference of information ratio most broadly shows up in July in Pusan including the whole Honam area and the southern parts of Youngnam when the Pusan-Taegu is the basis of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ratio. Meanwhile, it appears most broadly in January in Taegu including the whole southern parts except southern coastal area.

  • PDF

The Grazing Rates and Community Dynamics of Zooplankton in the Continuous River Stretch Ecosystem Include with Brackish Zone (기수 지역을 포함한 연속적인 강 구획 생태계 내에서의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동태와 섭식율)

  • Kim, Hyun-Wo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9 no.4 s.118
    • /
    • pp.462-470
    • /
    • 2006
  • The zooplankton community dynamics and grazing experiments was evaluated along a 40 km section of the lower Seomjin river system. Zooplankton was sampled twice a month from January 2005 to June 2006 at three sites (River mouth; RKO, Seomjin bridge: RK12 and Gurae bridge: RK36) in the main river channel. During the study period, the values of most limnological parameters in the three sites were fairly similar, except for conductivity. Annual variation of conductivity in River mouth and Seomjin bridge was more dramatic than which of the other sit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patial and seasonal differences in zooplankton abundance (ANOVA, P<0.01). Total abundance of major zooplankton groups at both stations was much higher than in Gurae bridge. Among the macrozooplankton, cladocerans abundance was negligible in study sites during study periods. Community filtering rates (CFRs) for phytoplankton and bacteria varied from 0 to 50 mL $L^{-1}\;D^{-1}$ and from 0 to 45 mL $L^{-1}\;D^{-1}$, respectively. The spatial variation of CFRs for phytoplankton was significant (ANOVA, P<0.05). The CFRs of copepods for phytoplankton and bacteria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cladocerans at study sites. Total zooplankton filtering rates on bacteria were slightly lower than filtering rates on phytoplankton. The CFRs of microzooplankton (MICZ) for bacteria were much higher than for macrozooplankton (MACZ) at all sites. Considering the total zooplankton community, MICZ generally were more important than MACZ as grazers of bacteria and phytoplankton in freshwater zone, while MACZ were more important than MICZ as grazers of phytoplankton in brackish z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