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분 폐색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1초

ASTER 스테레오 영상의 폐색영역 보정에 의한 DEM 생성 (Generation of DEM by Correcting Blockage Areas on ASTER Stereo Images)

  • 이진덕;박진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5-163
    • /
    • 2010
  • NASA의 Terra 위성에 탑재된 ASTER는 기선고도비 0.6, 15m 해상도의 along-track 디지털 스테레오 영상자료를 제공한다. $43km{\times}50km $ 지역에 대한 ASTER 스테레오영상으로부터 ENVI 4.1 소프트웨어의 자동 스테레오 상관처리과정을 실행하여 $15m{\times}15m$의 DEM을 추출하였다. ASTER DEM의 정확도를 1:25,000축척의 수치지형도로부터 얻은 DEM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높이에서 RMSE ${\pm}7{\sim}{\pm}20m$를 나타냈다. RMSE ${\pm}10m$를 초과하게 하는 요인들로서 구름지역, 수역, 건물지역들을 제외한 지역들의 DEM 정확도는 5.789m의 RMSE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름지역과 그림자 지역을 토지피복 분류에 의해 검출하여 추출된 ASRER DEM(엄밀히 말해서 DSM) 상에서 그 부분들을 제거한 다음, 밴드간 연산기법을 이용하여 이 부분을 수치지형도로부터 추출한 DEM으로 대치함으로써 지형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가상 시점 영상 합성을 위한 방향성 고려 홀 채움 방법 (Consider the directional hole filling method for virtual view point synthesis)

  • 문지훈;호요성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3권4호
    • /
    • pp.28-34
    • /
    • 2014
  • 최근 깊이 영상 기반 합성 방법을 이용한 가상시점 합성 방법이 3차원 영상의 적용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상 시점 영상은 기존에 알고 있는 영상과 이와 관련된 깊이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로 촬영 하지 않은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하지만 깊이 영상 기반 합성 방법을 이용해 가상시점 영상을 생성할 경우, 깊이 영상을 기반으로 합성하기 때문에 이미지 워핑 과정에서 폐색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폐색 영역을 제거하기 위해 지금까지 다양한 홀 채움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동일 색상영역 검색, 수평방향 보간 방법, 수평방향 보외 방법 그리고 다양한 인페인팅 방법들이 홀 채움 방법들로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텍스쳐 영역의 홀을 제거할 경우 다른 종류의 간섭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향성을 고려한 홀 채움 방법을 새롭게 제안하여 확장된 홀 영역을 효율적으로 채우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안된 방법들은 복잡한 텍스쳐들이 있는 배경부분에서 발생하는 홀 영역을 채울 때 성능 효율성을 나타낸다. 방향성을 고려한 홀 채움 방법은 픽셀 단위로 홀 채움 영역 값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홀 영역의 주변 텍스쳐 픽셀 값들을 사용하게 된다. 제안한 방법을 이용해 가상시점 영상 합성 결과 발생하는 홀 영역을 기존의 홀 채움 방법보다 보다 더 효율적으로 채울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측 빗장밑이중혈류빼앗김증후군에서 이중초음파검사의 유용성 (The Role of Duplex Sonography in Right Subclavian Double Steal Syndrome)

  • 한민호;진복희;남효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16-321
    • /
    • 2017
  • 빗장밑혈류빼앗김증후군은 좌측 몸쪽부분 빗장밑동맥 혹은 팔머리동맥에 심한 혈관 협착이나 폐색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병변이 있는 부위에서는 제한적이며, 불충분한 혈류가 발생하여 반대쪽으로부터 연결혈관을 통해 일부 혈액이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빗장밑혈류빼앗김현상이라고 한다. 이중초음파검사는 빗장밑혈류빼앗김현상을 측정하는데 유용한다. 빗장밑혈류빼앗김현상을 보이는 일부 환자에서는 척추뇌바닥혈류부전 혹은 허혈성 말초동맥질환 증상을 호소한다. 빗장밑혈류빼앗김증후군은 빗장밑혈류빼앗김현상과 더불어 신경학적 증상이 반드시 동반될 경우로 정의할 수 있다. 저자는 팔머리동맥의 심한 협착을 보이는 환자에서 척추동맥과 더불어 바깥목동맥과 전방순환계를 담당하는 온목동맥 및 속목동맥에서 이중초음파검사를 이용한 혈류빼앗김현상이 관찰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정상 및 미주신경절단 흰쥐의 체중, 위액 분비량, 위의 형태변화에 대한 위 유문부 부분폐색과 재개통의 효과 (Effect of partial pyloric obstruction on body weight, gastric juice, gastric surface area and gastric edema in normal intact rats and/or vagotomized rats)

  • 선종기;윤상협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6-38
    • /
    • 2012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al pyloric obstruction on body weight, gastric juice, gastric surface area and gastric edema in normal intact and/or vagotomized rats. Methods : Partial pyloric obstruction was performed by wrapping a non-absorbable rubber ring (D:6 mm, W:4 mm, T:1 mm) around the 1st portion of the duodenum. Vagotomy was performed by resecting the branches around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Pre-post body weight differential, fasting gastric juice volume, gastric surface area and gastric edema were measured at 8 weeks and 20 weeks. For the effect of pyloric reperfusion the rubber ring was removed after 8 weeks and then an additional 12 weeks of observation was performed to the end of the 20-week experimental period. Results : In the initial 8 weeks observation, the effect of pylorus obstruction and/or vagotomy was significantly remarkable in the pylorus obstructed and vagotomized group; slowdown of weight gain, increase of fasting gastric juice volume, dilatation of gastric surface area and severe gastric edema were shown. In the remaining 12 weeks observation, the effect of reperfusion was significantly remarkable in the ring-removed antral dilated group; recovery of weight gain, decrease of gastric surface area and decrease of gastric edema were shown. However, gastric juice volu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 group. Conclusions : Partial pyloric obstruction plays a aggravating role and the vagus nerve plays a protective role in body weight, gastric juice, gastric surface area, and gastric edema. Furthermore, pyloric valve dysfunction as an aggravating factor strengthened in defect of the vagus ner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tients with both functional pyloric outlet obstruction and hypofunction of vagus nerve need to be diagnosed in good time and treated properly.

지반조건의 변화가 개단강관말뚝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Conditions on the Behavior of Open -Ended Steel Pipe Pile)

  • 백규호;이종섭;이승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9권3호
    • /
    • pp.23-34
    • /
    • 1993
  • 지반조건이 개단강관말뚝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응력상태와 상대밀도의 조절이 가능한 토조내에 포설된 모래지반에서 모형말뚝실험이 수행되었다. 모형말뚝은 개단강관 말뚝의 각 부분에 작용하는 지지력을 분리측정하기 위하여 직경이 다른 두개의 파이프로 만들어졌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모래지반에 타입된 개단말뚝의 폐색정도와 관입저항력은 지반의 수직응력보다는 수평응력과 상대밀도에 의하여 좌우되었으며, 관내토지지력과 외주면마찰력, 그리고 전체 지지력도 수직응력보다는 수평응력과 상대밀도에 의하여 주로 영향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말뚝 외벽에 작용하는 수평응력은 원지반의 응력상태와는 관계없이 조밀한 지반의 경우에는 원지반의 수평응력보다 크게, 보통상태의 지반에서는 원지반과 비슷하게, 그리고 매우 느슨한 지반에서는 원지반보다 작게 측정되었다. 원지반의 수평응력에 대한 말뚝 설치후의 말뚝 외벽에 작용하는 수평응력의 비는 주어진 모래지반의 경우 원지반의 수평응력과 관계없이 상대밀도에 따라 일정한 값으로 나타났다.

  • PDF

수직하중을 받는 모형 강널말뚝의 거동 (Behavior of Model Sheet Piles under Vertical Loads)

  • 윤여원;김두균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6호
    • /
    • pp.5-16
    • /
    • 1998
  • 모래지반에서 모형강널말뚝의 수직하중에 대한 거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말뚝단면적이 동일하고 플랜지의 개구정도가 각기 다른 5개의 모형말뚝을 제작하였으며, 각 말뚝에 대해 상대밀도, 하중작용방향(압축, 인발)을 달리하여 토조내에서 실내 모형말뚝시험을 수행하였다. 동일한 말뚝에 대해 인발하중을 받는 경우보다 압축하중을 받는 경우가 극한지지력에 있어 100%가량 크며, 상대밀도가 조밀할수록 그 차이는 더욱 증가하였다. 인발재하시험에서 극한지지력과 극한상태의 침하량은 상대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동일한 지반조건하에서 개구정도의 변화에 따른 극한지지력과 침하량은 일정한 범위내에 존재하였다. 압축하중조건하에서 극한지지력은 개구정도가 30$^{\circ}$이내에 있을 경우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상대밀도가 커질수록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단면의 변화에 따른 극한하중 변화는 하중분포의 해석결과 부분폐색효과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피스톤 펌프 기법을 이용한 흙-수분 특성곡선 측정방법 (Determination of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Using the Flow Pump Technique)

  • 황창수;김태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55-162
    • /
    • 2003
  • 흙-수분 특성곡선은 토질역학에서 불포화토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물성함수로 불포화토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러한 흙-수분 특성곡선을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또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방법이 불포화토 연구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스톤 펌프 기법을 이용한 흙-수분 특성곡선 측정방법을 보완, 발전시켰다. 이 방법은 기존의 흙-수분 특성곡선 측정방법들보다 측정하기에 편리하고 빠르며 더욱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전체실험 과정을 통하여 완전한 통제가 가능하며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 및 정밀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흙-수분 특성곡선의 상세한 부분까지 연구할 수 있다. 한 점 한 점이 아닌 연속적인 건조곡선이나 습윤곡선의 측정이 가능하고 건조곡선에서의 공기침입값 위치라든지 습윤곡선에서의 공기폐색위치등도 측정 가능하다. 또한 불포화토의 특성중의 하나인 흙-수분 특성곡선의 이방성 측정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방법상의 기법을 개발했을 뿐만 아니라 실험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도 이루어졌다. 실례로 석션조절기법(suction drop measurement)이라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이 방법을 이용하면 흙-수분 특성곡선을 보다 편리하고 또 짧은 시간 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Marfan 증후군에 동반된 우관상동맥 폐쇄증 - 1 례 보고 - (Right coronary artery atresia in Marfan's syndrome: A case report)

  • 이재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9호
    • /
    • pp.720-723
    • /
    • 2001
  • 우관상동맥 폐쇄증을 동반한 Marfan 증후군환자를 보고한다. 환자는 45세 여자로 약 1년 전에 Marfan 증후군으로 진단받고, 최근 흉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손가락과 발가락이 긴 지주증과 돌출흉이 있고 몸통에 비해 사지가 긴 전형적인 외형을 갖고 있었다. 시력이 매우 약하고 수정체의 아탈구가 있었다. 심초음파상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은 경도로 있었고, 좌심실의 중등도 확장과 심박출율의 중등도 저하가 있었다. 수술시에 우관상동맥의 폐쇄증을 발견하였다.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과 대동맥 확장증에 대해서 SJM 27mm composite graft를 이용하여 좌관상동맥에는 Bentall 술식과 우관상동맥에는 PTFE 6mm를 이용하여 변형된 Piehler 식 방법으로 수술을 하였다. 원래의 우관상동맥구로 추정되는 부분부터 우관상동맥 원위부의 혈류가 있는 곳까지의 결손부위는 약 4cm 가량 되었다. 관상동맥 폐색증과 Marfan 증후군의 조합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양측 관상동맥의 혈류 재건을 위하여 각기 다른 술식으로 수술하였다.

  • PDF

ACQ 약제의 목재 내 침투 및 부후 특성에 미치는 목재 조직의 영향 (Penetration of ACQ Treatment and its Effect of Degradation on Wood Tissues (Structure))

  • 이현미;이동흡;황원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6호
    • /
    • pp.576-582
    • /
    • 2013
  • 구리계 보존제 처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Douglas fir 변재와 ACQ-2 보존제를 사용하여 목재 내 침투 및 부후 특성을 조사하였다. 약제의 주입이 어려운 Douglas fir 수종에 대하여 약제의 주입이 잘된 곳과 안된 곳의 시료를 채취하여 약제 이동을 방해하는 인자를 구명하고자 방사조직 높이, 방사조직 밀도, 가도관의 길이를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그리고 전자현미경으로 측정 및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방사조직의 높이와 밀도 그리고 가도관길이는 약제의 주입이 용이했던 부분과 주입이 안된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목재 구성 세포들의 벽공에서는 차이가 나타났음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약제의 주입이 안된 곳에서는 폐색된 벽공이 많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여러 농도의 ACQ로 처리한 목재 시편을 갈색부후균으로 부후시킨 후 광학 현미경으로 부후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 시편의 가도관, 방사조직, 수지구 등의 조직이 부후되어 파괴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약제 처리 농도가 낮으면 부후가 진행되므로 일정 농도 이상으로 처리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 심부정맥 혈전증에서 중재적 치료의 유용성 (The Efficacy of Endovascular Treatment for Deep Vein Thrombosis)

  • 김선희;정성운;김창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3호
    • /
    • pp.266-272
    • /
    • 2010
  • 배경: 심부정맥 혈전증은 폐색전증이나 만성 심부정맥 부전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 기본적인 치료로 항응고요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고식적인 항응고요법은 치료 이후 재발과 혈전후 증후군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나 최근에는 중재적 시술을 이용한 치료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하지 심부정맥 혈전증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중재적 치료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심부정맥 혈전증으로 중재적 시술을 시행한 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양상 및 치료 방법, 치료 경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고 이전에 항응고제만으로 치료한 45명의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하여 결과를 비교 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연령은 중재적 치료의 경우 55.4세, 대조군의 경우 53.7세로 두 군 모두 여자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도관을 이용한 혈전 용해제를 투여한 환자는 총 22명(78.5%)이었고 흡입 혈전제거술을 시행한 환자가 18명(62.0%),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가 25명(86.2%)이었다. 폐색전증의 위험이 있어 하대정맥 내 필터를 삽입한 환자가 15명(51.7%)있었다. 대조군의 경우 저분자량 헤파린으로 치료한 경우가 39명(86.7%), 와파린을 사용할 수 없어 아스피린만으로 치료한 경우가 7명(15.6%), 헤파린으로 치료한 경우가 6명(17.8%) 있었다. 혈전용해제 또는 항응고제 사용 후 출혈로 인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중재적 치료의 경우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전증의 재발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혈전후 증후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고(p-value=0.008) 사망한 경우가 없어 임상적으로 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중재적 치료는 고식적 항응고요법과 비교하여 안전하며 빠른 증상 호전과 낮은 합병증 발생률을 보이지만 아직까지 장기적인 유용성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향후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