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분적 관측

Search Result 44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olving POMDP problem using Self-organizing state RL (상태 조직화 강화학습을 사용한 POMDP 문제 해결)

  • 이승준;장병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1.05a
    • /
    • pp.73-7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부분적으로 관측 가능한 환경에서 사전의 모델 정보 없이 확률적인 행동 정책을 학습하는 상태 조직화 강화 학습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의 강화학습은 환경 모델을 사전에 필요로 하고 상태 전체의 관측이 필요하기 때문에 학습 이전에 문제에 대해 알아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또한 작은 문제에 대해서는 잘 적용되지만 상태의 수가 매우 많고 부분적으로만 관측한 경우가 많은 실제 문제에는 그대로 적용하기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두 가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전의 모델 정보 없이 부분적인 관측값으로부터 상태와 행동 정책을 동시에 학습해 나가는 강화 학습 모델을 제안하고, 제안된 방법을 부분적으로만 관측이 가능한 미로 탐색 문제에 적용하였다.

  • PDF

Sampling Error of Areal Average Rainfall due to Radar Partial Coverage (부분적 레이더 정보에 따른 면적평균강우의 관측오차)

  • Yoo, Chul-Sang;Ha, Eun-Ho;Kim, Byoung-Soo;Kim, Kyoung-Jun;Choi, Jeong-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5
    • /
    • pp.545-558
    • /
    • 2008
  • This study estimated the error involved in the areal average rainfall derived from incomplete radar information due to radar partial coverage of a basin or sub-basin. This study considers the Han-River Basin as an application example for the rainfall observation using the Ganghwa rain radar. Among the total of 20 mid-sized sub-basins of the Han-River Basin evaluated in this study, only five sub-basins are fully covered by the radar and three are totally uncovered. Remaining 12 sub-basins are partially covered by the radar to result in incomplete radar information available. When only partial radar information is available, the sampling error decrease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radar coverage, which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clusters. Conditioned that the total area coverage remains the same, the sampling error decreases as the number of clusters increases. This study estimated the sampling error of the areal average rainfall of partially-covered mid-sized sub-basins of the Han- River Basin,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sampling error could be at least several % to maximum tens % depending on the relative coverage area.

Magnetic Suspension Effect of BiPbSrCaCuO Superconductor (Bi계 초전도체의 자기부양효과)

  • 이상헌;이창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0.11a
    • /
    • pp.500-502
    • /
    • 2000
  • BiPbSrCaCuO 계 초전도체에서 관측되는 자기부양효과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BiPbSrCaCuO 계 초전도체에 산화은을 첨가한 시료와 첨가하지 않은 시료의 자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자기부양효과의 메카니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toroidal자석에서 관측되는 자기부양 효과는 자석의 중심부분에서만 발생하며, 자석의 ring 부분에서는 관측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본 연구의 자기 부양효과의 발생에는 자석의 형상 및 자속의 분포 형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 PDF

Analysis evapotranspiration characteristics of mountain and farmland (산지와 농경지의 증발산량 특성 분석)

  • Lee, JungHoon;Kim, Kiyoung;Lee, YeonKi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35-235
    • /
    • 2017
  • 수문 순환과 물 수지에 관한 연구는 강수량, 지표유출량, 지하수,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 등에 대한 관측이 이루어질 때 실제로 규명될 수 있다. 하지만, 수문 순환과 물수지 평가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경우 관측값보다 단순한 가정이나 경험식에 의한 추정값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수문 순환과 물수지의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수문 순환 과정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측정(실측)과 자료의 축척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의 기초수문자료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수문자료의 다양화 목적을 가지고 에디공분산 기술을 사용하여 증발산량을 직접 관측하고 있다. 관측지점은 한반도의 약 70%를 차지하는 산림지 중 대표적 식생 기능 형태인 혼효림으로 구성된 지점(설마천 관측소, 2007년 8월부터)과, 인위적인 관개가 이루어지는 농경지(청미천 관측소, 2008년 8월부터)에서의 증발산량 측정을 수행하였다. 관측된 자료를 활용하여 관측소별로 연도별 증발산량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마천 관측소(주변식생 : 혼효림)에서 산정된 연증발산량은 2008년 471.7mm, 2009년 408.4mm, 2010년 489.4mm, 2011년 387.0mm, 2012년 323.3mm, 2013년 293.3mm, 2014년 360.9mm, 2015년 419.6mm, 2016년 566.9mm이고, 발생한 강수량 대비 증발산 비율은 18.9%~56.2%범위로 산정되었다. 청미천 관측소(주변식생 : 농경지)에서 산정된 연증발산량은 2009년 571.8mm, 2010년 650.6mm, 2011년 523.9mm, 2012년 509.8mm, 2013년 467.9mm 2014년 533.9mm, 2015년 600.5mm, 2016년 588.0mm이고, 발생한 강수량 대비 증발산량의 비율은 25.6%~71.4%범위로 산정되었다. 강수량 대비 증발산량 비율의 최대값은 설마천 관측소는 2014년, 청미천 관측소는 2015년에 발생하였다. 평균 증발산량 비율은 산림지인 설마천 관측소보다 논경지인 청미천 관측소가 평균 13.3%정도 높은 특성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Bridge Behavior Measurement by Kinematic On The Fly Technique of GPS (GPS의 OTF 측위기법에 의한 교량의 거동 측정에 관한 연구)

  • 최병길;김영곤;정진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8 no.3
    • /
    • pp.271-278
    • /
    • 2000
  • Recently, it has been partly attempted to measure behavior of large-sized bridge using GPS, but it is accomplished at the first step and unsystemical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easure bridge behavior by Kinematic On The Fly (OTF) technique of G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ridge behavior can be measured easily and conveniently in three dimension, monitored at the real time, and measured continuously without a break by OTF Technique of GPS.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Evapotranspiration (증발산량 측정 현황 및 특성 분석)

  • Lee, JungHoon;Lee, YeonKi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24-224
    • /
    • 2016
  • 수문 순환과 물 수지에 관한 연구는 강수량, 지표유출량, 지하수,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 등에 대한 관측이 이루어질 때 실제로 규명될 수 있다. 하지만, 수문 순환과 물수지 평가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경우 관측값보다 단순한 가정이나 경험식에 의한 추정값을 사용하고 있어 그 자료의 신뢰성에 대해서도 꾸준히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수문 순환과 물수지의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수문 순환 과정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측정(실측)과 자료의 축척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의 기초수문자료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수문자료의 다양화 목적을 가지고 에디공분산 기술을 사용하여 증발산량을 직접 관측하고 있다. 관측지점은 한반도의 약 70%를 차지하는 산림지 중 대표적 식생 기능 형태인 혼효림으로 구성된 지점(설마천 관측소, 2007년 8월부터)과, 인위적인 관개가 이루어지는 논경지(청미천 관측소, 2008년 8월부터)에서의 증발산량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 지점에서 증발산량의 계절 및 경년 변동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혼효림(설마천 관측소)에서 산정된 증발산량은 2008년 471.7mm, 2009년 408.4mm, 2010년 489.4mm, 2011년 387.0mm, 2012년 323.3mm, 2013년 293.3mm, 2014년 360.9mm, 2015년 419.6mm이고, 강수량 대비 증발산량은 18.9%~56.2%를 보였다. 논경지(청미천 관측소)에서 산정된 증발산량은 2009년 571.8mm, 2010년 650.6mm, 2011년 523.9mm, 2012년 509.8mm, 2013년 467.9mm 2014년 533.9mm, 2015년 600.5mm이고, 강수량 대비 증발산량은 25.6%~71.4%를 보였다. 강수량 대비 비율의 최대값은 설마천 관측소는 2014년, 청미천 관측소는 2015년에 발생하였다.. 평균 증발산량 비율은 산림지인 설마천 관측소보다 논경지인 청미천 관측소가 평균 15.5%정도 높게 나타났다.

  • PDF

Trend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in Nakdong River Watersheds (낙동강유역의 지하수위 경향성 분석)

  • Yang, Jeong-Seok;Kim, Nam-Ki;Nam, Jae-Joon;Lee, Myung-Eun;Chung, E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4-234
    • /
    • 2011
  •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사상의 특성이 급격하게 변동되는 것은 이미 많은 연구로 인해 밝혀졌다. 이중, 강우사상의 경우 연강우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일최대강우량 또는 강우강도나 강우집중률이 비교적 더 크게 증가하면서 직접유출 부분이 증가하고 침투량이 감소하면서, 즉 총강우의 유역출구로 나가는 부분이 증가하면서, 갈수기의 지하 및 하천수위는 예년에 비해 더욱 하강하고 있는 실정이 국가지하수관측망이나 하천수위 자료로서 관측되고 있다. 이는 지하수위의 변동특성이 강우패턴의 변화로 인해 분명히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자료로서 입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지하수 관측망 중 낙동강유역에 위치한 관측소를 대상으로 관측자료를 검토한 결과 총 43개의 관측소를 선정하여 암반층 36개, 충적층 19개로 관측정별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연최대, 연평균, 연최저 지하수위에 대한 경향성 및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유의성 검정은 t-test를 실시하였다. 연 평균지하수위를 기준으로 암반층은 27개 관측소가 하강하였고, 이 중 유의수준 5% 이내에 유의하며 하강하는 지점은 9개로 나타났다. 충적층은 16개 관측소가 하강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 중 12개 관측소가 유의수준 5% 이내에 유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위의 하강하는 경향성이 뚜렷한 지역은 지하수의 고갈과 함께 인근하천의 건천화 그리고 지반침하나 해안지방인 경우는 염수침입이 일어날 가능성이 큰 지역이므로 향후 이에 대한 대책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Evapotranspiration (증발산량 측정 현황 및 특성 분석)

  • Lee, JungHoon;Park, YongHee;Lee, YeonKi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28-528
    • /
    • 2015
  • 수문 순환 및 물 수지에 관한 연구는 강수량, 지표유출량, 지하수,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에 대한 정량화가 이루어질 때 실제적으로 규명될 수 있다. 그러나, 수문 순환 및 물수지 평가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경우 관측값보다 단순한 가정이나 경험식에 의한 추정값을 사용하고 있어 그 자료의 신뢰성에 대해서도 꾸준히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수문 순환 및 물수지의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수문 순환 과정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측정(실측)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의 기초수문자료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에디공분산 기술을 사용하여 증발산량을 직접 관측하고 있다. 관측지점은 한반도의 약 70%를 차지하는 산림지 중 대표적 식생 기능 형태인 혼효림으로 구성된 지점(설마천 관측지, 2007년 8월부터)과, 인위적인 관개가 이루어지는 논경지(청미천 관측지, 2008년 8월부터)에서의 증발산량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 지점에서 증발산량의 계절 및 경년 변동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혼효림(설마천 관측지)에서 산정된 증발산량은 2008년 471.7mm, 2009년 408.4mm, 2010년 489.4mm, 2011년 387.0mm, 2012년 323.3mm, 2013년 293.3mm, 2014년 360.9mm이고, 강수량 대비 증발산량은 18.9%~56.2%를 보였다. 논경지(청미천 관측지)에서 산정된 증발산량은 2009년 571.8mm, 2010년 608.5mm, 2011년 523.9mm, 2012년 509.8mm, 2013년 467.9mm 2014년 533.9mm이고, 강수량 대비 증발산량은 34.7%~59.3%를 보였다. 비율의 최대값은 모두 2014년에 발생한 것으로 적은 강수량에 의한 것이고, 평균 증발산량 비율은 산림지인 설마천 관측소보다 논경지인 청미천 관측소가 평균 약 14%정도 높게 나타났다.

  • PDF

The East-Asian VLBI Network: Recent Progress and Results of the First Imaging Test Observation (동아시아VLBI관측망의 현황과 영상합성 시험관측 결과)

  • Wajima, Kiyoaki;Roh, Duk-Gyoo;Oh, Se-Jin;Jung, Taehyun;Kim, Jongsoo;Hagiwara, Yoshiaki;Hada, Kazuhiro;Kawaguchi, Noriyuki;Kobayashi, Hideyuki;Wu, Yuanwei;Fujisawa, Kenta;An, Tao;Baan, Willem A.;Jiang, Wu;Shen, Zhi-Qiang;Xia, Bo;Zhang, Ming;Hao, Longfei;Wang, M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58.3-59
    • /
    • 2016
  • 동아시아 VLBI 관측망(the East-Asian VLBI Network; EAVN)은 한 중 일 각국의 전파망원경을 통합해서 구성되는 동아시아 지역의 새로운 VLBI 관측망이다. EAVN의 주된 관측주파수는 6.7, 8, 22, 43 GHz이고 최고 공간분해능은 약 0.6 mas이다. 우리는 EAVN의 성능검증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연구팀을 구성하고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주로 8, 22 GHz로의 프린지검출 시험관측을 실행해왔다. 이들의 결과에 의거해서 작년말부터 앞으로의 EAVN 어레이 공개를 목표로 할 영상합성 시험관측을 시작하였다. 첫 번째 시험관측은 한 중 일 9개의 안테나를 이용해서 2015년12월13일에 8 GHz로 실시하였다, 관측 천체는 밝은 활동성 은하핵인 4C 39.25이고, 국제간 기선에서 성공적으로 프린지를 검출하였다. 우리는 올해부터 100 시간 이상을 이용해서 상기 네 주파수로의 영상합성 시험관측을 실시할 계획이고, 2017년 후반기부터 부분적인 공개관측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 발표에서는 주로 EAVN의 현황과 상기 영상합성 시험관측의 결과에 관해서 보고한다.

  • PDF

PERIOD ANALYSIS FOR THE F COMPONENT OF THE ∈ AURIGAE SYSTEM USING WAVELETS (웨이블렛을 이용한 ∈ AURIGAE SYSTEM 주성 F별의 주기분석)

  • Kim, Hyouk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5 no.1
    • /
    • pp.1-18
    • /
    • 2008
  • We present a detailed period analysis for the F-type primary of ${\in}$ Aurigae by means of Fourier and wavelet algorithm. After collecting all available data which have been observed for around 160 years (1842 - 2006) from various international databases and published references we selected only data obtained during outside eclipse among them again.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CLEANest and WWZ(weighted wavelet Z-transform) several frequencies including two clear periods ($67^d\;and\;123^d$) were found. In contrast to previous results that the periods vary irregularly it seems that the primary of ${\in}$ Aurigae is double mode or multiperiodic pulsator. The presence of the two periods and their ratio indicates that the high-mass interpretation of the variable could be valid. Also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driving the light variability of F-type supergiant stars requires continual series of photometric and radial velocity measurements in outside eclipse of this s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