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부단독가구 노인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부부단독가구 노인의 부부간 의사소통 및 관련변인 연구 (A Study on the Marital Communication of Elderly in Couple Households and the Related Variables)

  • 박은아;이정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2호
    • /
    • pp.23-3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marital communication metho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life for the elderly couples. For this study we considered variables affected on the marital communication of elderly couples. I investigated 394 elderly men and women living with only their spouse and analyzed data with SPSS PC WI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high level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elderly males and females who lived with the spouses without adult children. 2)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elderly couples' communication were as follows: for the elderly males, intimacy between husband and wife, self-esteem, and gender role attitude; for the elderly females, intimacy between husband and wife, health condition, tendency toward relationships, and intention to keep the elderly couple household.

초고령사회 진입 지방자치단체 노인의 의료비부담과 가구 유형의 영향 (The Effect of Household Type on the Medical Burden of the Elderly Living in a Local Government that has Entered a Super-aged Society)

  • 김제선;한연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610-62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고령화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노인의 의료비와 노인 가구의 변화와 관련하여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지자체에 거주하는 노인이 의료비 지출에 얼마나 부담감을 갖고 있으며, 가구 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분석하는데 있다. 수원시정연구원에서 2015년 조사한 원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응답자의 59.3%가 의료비의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노인가구의 세 유형에 따라 의료비부담 수준은 차이가 있었다. 성인가구원동거가구보다는 노인부부가구에서, 노인부부가구보다는 노인단독가구에서 의료비부담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구 유형에 따른 의료비부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통적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세 가구유형 모두 유의미한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나, 노인단독가구는 사회적 경제적 지위와 건강상태, 노인부부가구는 건강상태, 성인가구원동거가구는 건강상태와 민간보험가입건수, 의료보장형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중앙정부 차원의 변화되는 노인의 가구 유형에 따른 의료비부담 경감 방안과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노인의 보건 및 의료, 그리고 복지에 대한 서비스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초연금의 노인가구 유형별 빈곤감소 효과 분석 (Poverty Reduction in Elderly Household Types: The Impact of Basic Pension)

  • 김안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67-274
    • /
    • 2021
  • 본 연구는 기초연금제도의 도입과 확대가 노인가구의 빈곤감소와 소득분배개선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가를 노인가구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연금 도입 이전인 2013년과 도입 이후인 2016년 및 2019년도의 가계 동향조사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가구주 가구의 소득은 비교년도 동안 증가세를 보였으며 공적이전소득 또한 증가하였다. 둘째, 노인가구유형별 빈곤율 비교에서는 노인단독가구의 높은 빈곤율을 볼 수 있다. 정부의 빈곤완화 정책 효과분석은 모든 노인가구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노인부부가구의 경우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소득분배개선은 모든 노인가구유형에서 개선 추이를 보였으며 특히 노인 단독가구의 경우 개선의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넷째, 기초연금도입의 효과를 분석한 이중차이 다중로짓분석은 기초연금의 도입이 중위소득의 40%를 기준으로 하는 빈곤 위험을 감소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단독가구 노인의 부부간 의사소통${\cdot}$의사결정 참여가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on Family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 Couple Households)

  • 박은아;이정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3호
    • /
    • pp.197-21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marital communication decision making participa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 couple househol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6 to July 21, 2003. Total 394(male: 186, female: 208)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Using SPSS/PC WIN program,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s,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a,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high level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lderly males and females. In the decision making participation the finding showed that both elderly males and females generally made joint decisions with no gender differences. The elderly males and females reported overall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the elderly males were more likely satisfied with their family lives than the elderly females. 2) The path analysis on family life satisfaction presented that several variables had direct/indirect effects on family life satisfac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participation. Among the moderate variables, communication agreement and communication open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family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 elderly men were more likely satisfied when they participated in decision making on leisure: the elderly women were more likely satisfied when they participated in decision making on family life.

가구상황에 따른 노인단독가구의 주거환경 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Research on Housing Satisfaction of the Single or Couple Elderly Households by Household Situation)

  • 이연숙;김현정;안창헌;박재현;허혜영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9-4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 노인단독가구의 주거실태를 진단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들을 거주지역, 가구구성, 소득수준의 3개의 변인을 고려하여 총 8가지의 가구상황으로 구분하고 각 가구상황별로 주거환경 만족도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구조적 설문지를 동반한 1:1 대면면접조사와 현장관찰조사로, 도시와 농촌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저소득 노인 단독가구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총 80개의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도시지역은 편리성의 입지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농촌지역은 전망, 조명의 설비시설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거주지역 간에 주거상황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으로 노인부부가구의 노인독거가구보다 만족도가 높아 가구구성에 따라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소득이 전반적으로 높고 낮은 정도의 차이에 따라 주거의 실상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도시에 거주하는 저소득 노인독거가구의 주거상황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저소득 노인단독가구의 다양하고 차별화된 요구를 파악하고 이에 적절히 대응하는 주거환경을 계획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부단독가구노인의 가사분담, 평등감, 의사소통이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the Division of Housework, Perceived Marital Fairness, and Communic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in Elderly Households: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 강유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61-374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ivision of housework, perceived marital fairness,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n elderly households. Although the marital relationshi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few studies have focused on marital quality,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older adult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nd National Korean Family Survey in 2010. The results based on a total of 410 elderly households with couples aged 60 and over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usework participation between men and women. Women were responsible for most of the housework.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the division of housework, perceived marital fairness, and communication independently predicted marital satisfact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he division of housework, perceived marital fair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communication as a moderator of effects of the division of housework and perceived marital fairness on marit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the stronger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division of housework was. On the other hand, the lower the 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the greater the effect of perceived marital fairness on marital satisfaction w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ay in which elderly couples perceive their marital relationships and the level of their satisfaction in interacting with each other play important roles in enhancing their marital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