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봄 가뭄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1초

중부지방에서 봄 파종시기가 알팔파의 건물 생산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ing Seeding Dates on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of Alfalfa in the Central Area of South Korea)

  • 정승민;오미래;이배훈;이기원;박형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13
    • /
    • 2024
  • 본 연구는 최근 재배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는 알팔파의 봄 파종 가능성과 적정 파종시 생육특성 및 사료가치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21년과 2022년 알팔파 봄 파종에서는 2월 24일에 파종하는 것이 가장 건물 생산성 면에서 유리하였고, 2023년 알팔파에서는 3월 24일과 4월 4일 파종이 가장 유리하였다. 반면에, 알팔파 봄 파종은 모든 연도의 4월 14일에서 건물 생산량이 낮게 나타났다. 알팔파의 2월 24일 파종의 건물 생산량은 2021년과 2022년의 3월 4일에서 3월 24일까지의 파종보다 높거나 유사하였다. 이러한 3월 알팔파 파종의 건물 생산량 차이는 봄 가뭄 및 강수량 차이 때문이며, 2월 24일 파종이 3월 파종보다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2021년과 20222년 알팔파에서는 파종시기에 따른 생산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2023년 알팔파에서는 7월 발생한 폭우로 인해 알팔파가 침수 고사하였다. 알팔파 봄 파종의 연평균 건물 생산량은 가을파종 또는 관개조건의 선행연구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알팔파의 연중 사료가치는 파종시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봄 파종 알팔파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고려 하였을 때, 적정 파종시기를 놓친 늦가을 파종보다 봄 파종이 일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알팔파의 봄 파종시기가 지연됨에 따라 건물 생산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봄 가뭄과 같은 기후조건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는 2월 24일 파종이 봄 파종에서 가장 유리하며, 4월 4일을 넘기면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태조사 - 이상기후 현상으로 양봉농가 울상

  • 농진청;양봉협회
    • 양봉협회회보
    • /
    • 통권344호
    • /
    • pp.22-25
    • /
    • 2009
  • 지난해, 극심한 아카시아 벌꿀 흉년으로 벗어나 평년작을 달성해 양봉농가의 시름을 덜었다 했다. 그러나 올해는 더욱 예측불가능해진 기상이변으로 2004년 수준의 대흉작이 예고 되고 있다. 남부지역은 극심한 봄 가뭄으로 아까시나무가 개화 하자마자 빠르게 시들어 버렸으며 가뭄현상이 비교적 약했던 경상 북부지역은 개화 후 큰 폭의 일교차로 꿀 생산량 감소했다. 중부 경기북부지역은 5월 아까시 꽃의 개화 후 잦은 비로 인해 아카시아 벌꿀생산량이 바닥을 보였다. 강원 일부 지역에서는 채밀을 전혀 못한 곳도 있어 심각한 수준이다. 여기에 잠잠해졌던 아까시 나무 황화현상까지 다시 번지고 있는 실정이다.

  • PDF

국립공원 월악산-식생 및 경관을 중심으로

  • 최진섭
    • 공원문화
    • /
    • 통권32호
    • /
    • pp.26-31
    • /
    • 1986
  • 봄비가 촉촉 내린다. 가뭄에 메마른 곳을 적셔주고 먼 산허리에의 희끗희끗 얼어붙은 눈을 녹이고 한 겨울의 탁한 먼지를 말끔히 씻어준다. 온 대지에 푸른 생기가 가득차 움추린 가슴을 풀어 헤지게 하여 싱그러운 봄을 느끼게 한 지난3월22일 국립공원월악산을 찾았다. 월악산은 지난 1984년 12월 27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산수의 조화등 입지조건으로 충북도민은 물론 인근도민과 전국의 자연공원 애호인 들의 관심사가 되고 있는데 그 면적은 $284.5km^2$에 이른다. 그중 충북 제원군이 $111.30km^2$, 단양 $63.32km^2$, 중원$32.08km^2$ 그리고 경북 문경군이 $77.8km^2$를 점하고 있다.

  • PDF

농업용 저수지 건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홍병만
    • 물과 미래
    • /
    • 제37권4호
    • /
    • pp.29-33
    • /
    • 2004
  • 물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의 생존을 위하여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자원이다.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도 토지와 더불어 물이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농업의 역사 대부분은 농경지를 만들고 물을 확보하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농업은 예로부터 벼농사 위주로 영농을 하여왔기 때문에 많은 물을 필요로 하였다. 특히, 벼는 봄에 못자리, 이앙 등에 많은 물을 필요로 하나 우리나라는 봄에 가뭄이 들기 때문에 용수공급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따라 물이 풍부한 시기에 물을 저장하였다가 가물 때 공급할 수 있는 저수지를 용수확보의 가장 유효한 시설물로서 활용하여 왔다.(중략)

  • PDF

Terra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봄 가뭄 연구 - 소양강댐유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f Spring Drought Using Terra MODIS Satellite Image - For the Soyanggang Dam Watershed -)

  • 신형진;박민지;황의호;채효석;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5-157
    • /
    • 2015
  • 2015년 소양강댐 유역에서 발생한 가뭄에 의해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발생시 시공간적 가뭄상황이 파악 가능한 Terra MODIS 영상을 이용하여 소양강댐 유역의 가뭄분포 특성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2010년 1월 1일에서 2015년 6월 30일까지의 250m 해상도인 MODIS product MOD13 16일 합성 영상을 수집하고 식생지수(NDVI)를 구축하였다. 식생지수를 이용하여 식생상태지수(VCI)와 표준화된 표준정규 식생지수(SVI)를 이용하여 가뭄지역의 추정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뭄지역의 자료를 정보화하고 그 결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MODIS 자료의 이용은 시공간적 가뭄지역 탐지의 가능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SPI와 PDSI로 본 한반도 가뭄의 통계학적 특성분석 (Assessment of Statistical Property of Drought in Korea using SPI and PDSI)

  • 서지원;김창주;이주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8-28
    • /
    • 2011
  • 치수는 고대국가로부터 현재의 국가에 이르기까지 중차대한 국가사업이다. 근대를 지나면서 산업화가 가속화되었고 수자원의 사용과 관리는 더욱 세분화 되었다. 또한 수자원의 사용과 관리에 앞서 기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수자원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도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환경파괴와 지구온난화로 인한 강수의 편중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 즉, 한반도도 전 세계가 직면한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로 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수자원을 관리함에 있어 가뭄의 경우에는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 피해 규모와 복구 등도 가뭄의 진행 기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가뭄을 연구함에 앞서 과거 한반도의 가뭄의 경향성 및 주기성 같은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과거 한반도 가뭄 사상의 특성분석을 위해 대표 가뭄지수로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를 선정하여 우리나라 전역에 위치한 총 59개 기상관측소의 1980년~2009년까지의 기상자료를 수집하여 유역별 월평균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가뭄발생의 경향성 및 주기성을 중심으로 과거한반도 가뭄의 통계학적 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지수의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SPI3와 SPI6는 봄과 겨울에는 가뭄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였고 여름철에는 가뭄이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SPI12의 경우는 섬진강과 영산강은 유의하지는 않으나 전 기간에 걸쳐 가뭄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였고 한강, 낙동강, 금강유역은 가뭄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DSI의 경우에는 SPI와는 반대로 섬진강과 영산강은 전 기간에 걸쳐 가뭄이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고 한강, 낙동강, 금강유역은 유의한 수준에서 가뭄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SPI와 PDSI에 의한 가뭄평가 경향성이 유역별로 다소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각 유역의 주기성을 분석한 결과로는 모든 유역에서 1년~3년 또는 6년 이하의 주기성을 나타냈으며, SPI의 경우 지속기간이 길어질수록 6년 이상의 저빈도 주기성을 나타냈고, SPI3는 짧게는 1년 미만의 고빈도 주기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으며, SPI6와 SPI12는 4년~6년 주기를 나타냈다. 또한 PDSI도 마찬가지로 6년 내외의 장주기를 보였다. 특히 유역별로 분석할 경우 남부지역의 가뭄발생 주기가 중부지역보다 길게 나타나는 성향을 보였다. 그리고 SPI와 PDSI, 두 가뭄지수의 공통주기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상관관계가 적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 PDF

우리나라 과거 가뭄사상의 정량적 특성 분석 -강수량의 이상치 분석을 중심으로-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f historical drought events in Korea -focusing on outlier analysis of precipitation-)

  • 장호원;조형원;김태웅;이주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2호
    • /
    • pp.145-15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했던 과거 가뭄사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59개 기상관측소의 월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연강수량 및 계절별(봄철) 강수량에 대한 이상치($-1{\sigma}$)를 분석하였다. 연강수량을 통해 이상치 발생 빈도를 구하여 그 중 가장 유역별로 과우해($-1{\sigma}$) 발생빈도가 높은 이천, 거창, 정읍, 순천, 장흥 관측소를 선정하여 이상치를 분석한 결과 1988, 1994년이 동일하게 심한 과우해로 나타났다. 전체 이상치 기간 분석결과와 봄철 이상치 분석결과를 통해 2001년 가뭄은 심한 과우해로 분류되지는 않았지만 주로 섬진강 및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심한 봄 가뭄이 발생하였으며, 농업용수 부족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발생시킨 대표적인 농업적 가뭄연도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1981-1982년 및 1994-1995년과 같이 2년 이상 지속된 전국적 장기가뭄은 국가적으로 큰 가뭄피해를 야기하였다.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을 통한 다목적댐의 용수공급능력 평가 (B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to Evaluate Water Supply Capacity of Multi-Purpose Dams)

  • 유지수;신지예;권민성;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231-238
    • /
    • 2017
  • 용수공급시설의 설계 및 운영에 기준이 되는 이수안전도는 용수공급안전도의 평가를 위한 중요한 지표이지만, 이수안전도에 대한 일관된 지침이 없어 댐 설계 과정에서 저마다 사용된 자료기간과 평가 방법이 서로 상이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댐의 용수공급능력을 일관성 있게 평가하기 위해 가뭄의 심도와 지속기간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확률론적 개념을 바탕으로 가뭄사상을 평가하여 댐유역의 가뭄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우리나라의 5개 다목적댐(소양강, 충주, 안동, 대청, 섬진강)을 대상으로 특정 가뭄상황에서의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여름과 가을에는 자체 유입량만으로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하지만, 강수량이 적은 봄과 겨울에는 1년 빈도의 작은 가뭄에도 용수부족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MODIS NDVI의 활용성 평가: 가뭄지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MODIS NDVI for Drought Monitoring : Focused on Comparison of Drought Index)

  • 박정술;김경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117-129
    • /
    • 2009
  • 2000년 이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봄 가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제작한 식생지수의 변화를 통해 가뭄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식생지수 기반의 가뭄 모니터링은 가뭄의 변화를 시 공간적으로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MODIS 영상과 같이 주기 해상도가 뛰어난 저해상도 위성영상의 활용 기반이 조성됨에 따라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식생지수의 활용성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식생지수를 이용한 가뭄평가는 식생 활력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기상학적 요인으로 제한하고 있으나 실제 식생 스트레스를 초래하는 직 간접적인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이로 인해 식생지수를 이용한 가뭄평가는 다수의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식생지수를 이용한 가뭄분석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이를 활용한 가뭄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가뭄관리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가뭄분석 도구와의 비교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식생지수인 NDVI를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PDSI, SPI와 비교하고 이들의 상관성을 제시함으로써 가뭄평가를 위한 식생지수의 활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중시기를 대상으로 NDVI와 지속기간 6개월의 SPI변화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NDVI는 식생피복을 갖는 내륙지역에서 가뭄지수와 가장 높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