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합효소제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3초

미각계에서 산화질소의 역할과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분포 (ROLE OF NITRIC OXIDE AND DISTRIBU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N THE GUSTATORY SYSTEM)

  • 김영재;김원재;유선열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3호
    • /
    • pp.262-269
    • /
    • 2000
  • 말초 미각계 및 중추 미각계에서 산화질소의 역할과 그것의 합성효소의 존재는 아직 규명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말초미각계인혀와 미각구심성신경 그리고 중추미각계인 뇌간고속핵에서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분포 및 면역조직화학 방법과 고삭신경의 extracellular recording 뇌간고속핵 절편 whole cell patch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신경성 산화질소 합성효소는 혀의 전방에 위치한 심상유두와 유곽유두에 약하게 존재하였으며 미뢰주위와 결체조직에 존재하는 신경섬유 및 혀의 상피층에 풍부하게 존재하였다. 혀에 소금물을 가하여 증가된 고삭신경의 복합전위는 산화질소 유리제인 SNP에 의해 증가되었으며 내인성 산화질소 합성효소 억제제인 L-NAME와 soluble guanylate cyclase 억제제인 ODQ에 의해 억제되었다. 문측 연수에 존재한 문측 고속핵과 진전핵에서 nNOS가 풍부하게 존재하였다. 문측 고속핵의 신경들은 안정막전위가 $-48{\pm}52mV$였고 활동전위의 크기는 $74{\pm}11mV$였다. SNP에 의해 뇌간 고속핵 신경들이 탈분극되었으며 current clamp하였을 때 활동전압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SNP에 의한 문측 고속핵의 탈분극과 활동전압 빈도증가는 L-NAME와 ODQ에 의해 감소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산화질소 합성효소가 혀와 뇌간고속핵에 존재하며 여기서 유리된 내인성 산화질소가 말초성 및 중추성 미각기전에 관여하리라 사료된다.

  • PDF

쌀가루 냉동반죽 제조 시 첨가제가 쌀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ves in Making Frozen Rice Dough on the Quality of Rice Bread)

  • 김경은;이영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438-1443
    • /
    • 2009
  • 쌀빵 냉동반죽에 첨가제로 gum, 유화제 및 효소제를 복합처리하여 반죽한 후 $-20^{\circ}C$에서 냉동 보관하면서 냉동반죽의 저장기간에 따른 쌀빵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화제인 sodium stearoyl lactylate(SSL)와 gum류인 guar gum을 각각 0.5%, 그리고 효소제로 곰팡이 $\alpha$-amylase를 0.01% 수준으로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냉동반죽의 저장 중 쌀빵의 부피는 냉동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첨가제를 넣지 않은 대조구 반죽에 비해 guar gum+SSL+곰팡이 $\alpha$-amylase를 복합첨가 한 반죽이 냉동 4주 경과 후에도 쌀빵 제조시 부피의 감소폭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쌀빵의 경도 변화에 있어서 대조구 냉동반죽의 냉동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쌀빵의 제조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경도의 변화가 큰 반면, guar gum+SSL 첨가한 쌀빵과 guar gum+SSL+곰팡이 $\alpha$-amylase를 복합첨가 한 쌀빵은 저장기간에 따른 경도의 증가폭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Gum/유화제/효소제의 복합첨가는 쌀가루 냉동반죽의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쌀빵의 부피 감소를 개선하고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주어 냉동반죽 쌀빵의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단일 생약재 및 생약복합제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Medicinal Herb Mixtures)

  • 이성규;정현진;이은주;김종부;최상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0-20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항산화 혹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6종의 생약재와 이들 생약재를 혼합하여 제조한 생약복합제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어성초, 홍화, MIX-2 에탄올추출물이 각각 58.98, 60.79, 57.74 mg/g의 함량으로 다른 시료들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어성초(HC), 홍화(CT), MIX-2에탄올추출물이 각각 36.86, 19.42, 14.74 mg/g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단일 생약재와 생약복합제 에탄올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의 RC50 값은 어성초, 홍화, MIX-2 에탄올추출물에서 각각 69.64, 50.70, $63.49{\mu}g/mL$로 추출물 가운데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고, ABTS 라디칼의 $RC_{50}$ 값도 어성초, 홍화, MIX-2가 각각 24.06, 18.91, $41.61{\mu}g/mL$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시료들의 항염증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5-LO 및 COX-2 효소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일 생약재 에탄올추출물보다 생약복합제 에탄올추출물이 5-LO와 COX-2 효소를 동시에 저해하는 효과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유발 효소 저해활성이 우수했던 생약복합제 에탄올추출물들의 NO 소거활성을 비교한 결과, MIX-2 에탄올추출물이 $50{\mu}g/mL$의 농도에서부터 유의적으로 NO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단일 생약재 보다는 생약복합제가 서로 혼합되면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명확한 기전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된다면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Haematococcus pluvialis로부터 Haematococcus 추출물 제조 공정에서 효소 처리가 추출 효율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zyme Treatments on the Extraction Efficac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aematococcus Extract from Haematococcus pluvialis)

  • 인만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94-199
    • /
    • 2009
  • 우수한 항산화제로 알려진 astaxanthin을 함유한 H. pluvialis 균체로부터 작용기작이 상이한 exe형과 endo형의 단백질 분해 효소와 복합 다당류 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식품용 haematococcus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상업용 단백질 분해 효소로는 Alcalase (endo형)와 Flavourzyme (exe형)을 복합 다당류 분해효소로는 Viscozyme을 사용하였다. 단백질 분해 효소는 endo형과 exe형을 병용하는 것이 추출물의 astaxanthin 함량을 증가시켰다. Viscozyme과 함께 2종류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Alcalase와 Flavourzyme을 병용하여 1차로 처리한 후 Viscozyme을 2차로 사용하는 2단계 가수분해 방법이 적절하였다. 이 조건에서 astaxanthin 함량은 효소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320% ($529{\mu}g/g{\rightarrow}2,256{\mu}g/g$) 이상 향상되었다. 또한 DPPH법으로 조사한 항산화 활성은 astaxanthin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1차로 Alcalase와 Flavourzyme을 병용하여 처리한 후 2차로 Viscozyme을 사용하는 조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Bacillus subtilis B0021가 생산하는 Gelatin 분해성 Proteolytic Enzyme 생산의 최적의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Conditions of Gelatin-Degrading Proteolytic Enzyme Production from Bacillus subtilis B0021)

  • 백대헌;이항우복성해
    • KSBB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374-385
    • /
    • 1995
  • Gelatin 분해성 proteolytic enzyme 생성균인 B. subtilis 80021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칠 분해효소 생산을 위한 영양 요구성과 배양조건을 검토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영양요구성은 1.5%(w/v) glucose와 2.5% (w/v) yeast extract에서 효소활성도가 최고치를 나타내였고 metalion은 $Co^{2+}, Zn^{2+}$효소생성의 저해제로 작용한 반면 $Fe^{2+}와 Mn^{2+}$에서는 촉진제로 작용 하여 최고 3.5배 효소생산생이 증가하였다. 아미노산 첨가 영향에서는 대부분의 아미노산이 효소활생 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였다. 배지의 최적초기 pH는 7.0 부근이며 배양온도는 $35^{\circ}C$에서 효소에 따 라 다소 차이는 였었으나 배양시간 30시간 정도에서 최고의 효소생산성을 나다내었고 30°C에서는 42시간째에 효소활성도가 최고치를 나타내였다. Tannic acid 첨가에 대한 만백질 분해효소 생산에서는 발효 애지에 tannic acid 첨가시 완전한 효소생산 저해제로 작용하였으며 salicin을 탄소원으로 한 salicinase assay에서는 온도 빛 배양시간에 관계없이 효소활성 을 보이지 않았고 복합탄소원 이용에 대한 amylase assay에서는 $35^{\circ}C$, 36시간째에 최대의 효소활성을 나타내였고 Invertase assay에서는 $35^{\circ}C$, 30시간째 에 최대 효소활성도 2.5unit/ml을 나타내였다. 또한 gelatin 가수분해능에서는 45% (w/v)의 gelatin 용 액의 점도가 발효조효소액에 의해 96% (mPas)의 정도저하를 가져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복합생균제가 육계의 생산성, 혈액생화학성분과 면역지표, 소화효소 활성도, 분중 미생물 및 유해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biotic Complex on Performance, Blood Biochemical and Immune Parameters, Digestive Enzyme Activity, Fecal Microbial Population and Noxious Gas Emission in Broiler Chicks)

  • 김민정;전동경;안호성;윤일규;문은서;이재현;임용;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69-180
    • /
    • 2020
  • 본 연구는 복합생균제(L. plantarum, B.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를 0%(CON, 대조군), 0.25%(PC1) 및 0.5%(PC2) 수준으로 급여하여 육계의 생산성, 장기 무게, 혈액 생화학적 성상 및 면역지표, 소화효소 활성도, 분의 미생물 군락 및 유해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복합생균제 급여는 체중 등과 같은 생산성에는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간과 흉선 무게는 복합생균제 급여에 따른 영향이 없었으나, 소장 점막세포 무게는 PC1군에서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다. Glucose, cholesterol, AST, ALT 등과 같은 혈액 생화학성분은 복합생균제 급여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분비형 면역글로불린 A(sIgA) 수준은 PC2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해 소장 점막세포에서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으며, 혈액에서도 PC2군에서 대조군보다 약 20%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액과 소장 점막세포의 IL-1β 수준은 복합생균제 급여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또한, 복합생균제 급여가 소장 점막세포의 maltase, sucrase 및 leucine aminopeptidase 활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Lactobacillus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cfu 수준은 복합생균제 0.5% 급여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고, E. coli cfu 값은 감소하였다(P<0.05). 복합생균제 0.5% 급여 시 분에서 황화수소(H2S) 발생량은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으며, 메틸메르캅탄(CH3SH) 발생량 역시 50% 수준으로 낮았다. 결론적으로 복합생균제 급여(0.25% 및 0.5%)는 육계의 생산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0.5% 수준으로 급여할 경우 소장 점막세포의 sIgA 증가와 유익 미생물 균총의 증식을 유도하여 분의 유해가스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첨가제 제조기술과 시장동향 분석 (Analysis for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Market Trend of Feed Additive)

  • 이종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9-410
    • /
    • 2014
  • 사료첨가제는 배합사료에 첨가되어 소화력 향상, 병원균 저감, 지방 대사 개선, 항산화 효과, 독성 물질 제거 등의 효과를 나타내며, 종류에는 보존제,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생균제, 효소제 등이 있다. 국내외 시장성장률을 보면 각각 5.1%, 3.5%를 나타내며, 국내시장은 해외시장의 약 2%를 차지한다. 사료첨가제는 소득 수준과, 육류 소비량, 애완 동물 수요 증가에 영향을 받는 산업이며, 해외 주요 업체들은 합병과 통합을 통해 관련 사업을 수직/수평 계열화하고 있다. 기술적인 흐름을 살펴보면, 천연 추출물에 의한 제품 개발, 저가 제품, 복합 기능성 맞춤형 첨가제 등의 니즈에 따라 관련 제품의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PDF

조피볼락 육성용 사료의 어분 대체원으로서 식물성 및 동물성 단백질 혼합 첨가 효과 (Substitution of Plant and Animal Proteins for Fish Meal in the Growing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Feeds)

  • 이상민;전임기;이종윤;박승렬;강용진;정관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51-662
    • /
    • 1996
  • 여러 종류의 단백질 원료를 혼합하여 성장이 좋고, 가격이 싼 경제적인 조피볼락용 배합사료를 개발하기 위해 실험사료의 효과를 사육실험과 사료 및 어체의 성분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북양어분 사료를 대조구 (사료 1)로 하고 사료 원료의 아미노산 조성을 고려하면서 대두박, 콘글루텐 밀, 육분, 혈분, 우모분, 소맥분을 서로 다른 비율로 첨가한 9종류의 실험사료를 설계하여 제조하였다. 사료 2에서 5까지는 조피볼락 전어체의 아미노산 조성, 타 어종을 대상으로 연구된 아미노산 요구량 등을 참고로 아미노산 균형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사료 6은 복합 효소제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료 5의 조성에서 복합 효소제를 첨가하지 않았고, 사료 7은 합성 아미노산 첨가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사료 5의 조성에서 아미노산을 첨가하지 않았다. 그리고 사료 8과 9는 열처리한 대두박과 옥수수를 첨가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114g 전후의 조피볼락을 사료당 2반복으로 15주간 사육실험한 결과, 증체율과 사료효율에 서 사료 $2\~7$구가 대조구와 유의차없이 (P>0.05)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료 5의 조성에서 합성 아미노산이나 복합효소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성장차이는 없었다. 어체 1kg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사료단가를 계산하여 본 결과, 대조사료는 853원이었고, 사료 2와 7이 $732\~746$원으로 낮았으며, 사료 8과 9가 $875\~905$원으로 높았다. 위의 결과로부터 어체크기가 100g 이상일 경우의 사료에 대두박, 콘글루텐 밀, 육분, 혈분, 우모분, 소맥분을 적절히 첨가하면 북양어분을 $50\%$ 정도까지 대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육성용 사료의 단가를 낮출 수 있을 것이다.

  • PDF

우렁쉥이 이용에 관한 연구 -6. 우렁쉥이 젓갈의 제조 및 품질평가(II)-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6. Processing and Quality Evaluation of Fermented Ascidian(II)-)

  • 이강호;조호성;이동호;김민기;조영제;서재수;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0-339
    • /
    • 1993
  • 향미의 손상과 변색 등 가공적성상의 결함을 극복한 가공품의 개발이 아직 없는 우렁쉥이 이용을 위하여, 우렁쉥이 젓갈에 대한 고유한 색과 풍미를 안정화할 수 있는 식염농도, 숙성온도 및 첨가효소의 영향 등 숙성조건의 최적화를 검토하였다. 1. Bromelain, papain, ficin을 사용하여 아미노질소, 관능적 품질평가 등으로 그 영향을 검토한 결과 $0.05\%{\sim}0.1\%$ papain의 첨가가 가장 좋았다. 2. Papain과 protease-A(복합효소)를 $0.1\%$ 첨가하여 $25{\pm}1^{\circ}C$에서 5일간 숙성중 아미노질소, 휘발성염기질소, 관능검사 실험 결과 papain은 2일, protease-A는 1일 숙성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3. 저온숙성($5{\pm}1^{\circ}C$)중 아미노질소는 숙성 20 일경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단일효소인 papain보다는 복합효소제인 protease-A가 아미노질소값이 월등히 높았다. VBN은 papain이나 protease-A를 첨가한 경우 식염 $5\%$의 경우 숙성 30일경에, 식염 $10\%$의 경우는 35일경에, 식염 $15\%$의 경우는 45일경에 $30{\sim}40mg/100g$을 나타내었다. 4. 저온숙성중 total creatinine의 변화는 숙성 20일까지 서서히 증가한 후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식염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protease-A보다는 control이나 papain을 첨가한 경우가 증가폭은 작았다. Total carotenoid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저농도의 식염보다는 고농도때가, 첨가효소별로는 control이나 papain보다는 protease-A가 감소폭이 컸다. Glycogen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특히 protease-A를 첨가한 경우가 감소폭이 컸다. 5. 저온숙성중 원료 우렁쉥이의 아미노산 조성은 taurine, aspartic acid, histidine, lysine, alan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serine의 순서로 함량이 많았으며 이 중에서 taurine 및 aspartic acid가 각각 $27.8\%,\;22.5\%$를 차지하였다. 20일 숙성 후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taurine이 가장 많았고 proline, alanine, glutamic acid, lysine, valine 순이었다. 6. 저온숙성중 관능검사 결과 $0.1\%$ papain과 protease-A에 식염 $5\%$를 첨가한 경우 숙성 30일경부터, $10\%$$15\%$의 경우는 35일 및 45일부터 우렁쉥이 특유의 상큼한 향기가 소실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렁쉥이육을 숙성시킬 목적으로 사용한 효소첨가 실험결과, 단일효소로는 papain을 $0.1\%$첨가한 시험구가 우수하였는데 상온($25{\pm}1^{\circ}C$)은숙성 2일경, 저온($5{\pm}1^{\circ}C$)은 숙성 20일경이 최적숙성기간이었으며, 복합효소인 protease-A를 첨가한 시험구에서도 앞의 papain과 유사하게 protease-A $0.1\%$ 첨가구에서 상온($25{\pm}1^{\circ}C$), 저온($5{\pm}1^{\circ}C$)각각 1일 및 20일경이 최적숙성기간으로 생각되었다.

  • PDF

단백소재 첨가물로서의 효소분해 대두 단백질의 특성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Enzymatically Hydrolyzed Soy Proteins for the Use in Protein Supplements)

  • 인만진;김민홍;채희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5호
    • /
    • pp.404-408
    • /
    • 1997
  •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여 물리화학적인 특성과 응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단백질 함량이 60%이고, 가수분해도가 50%인 탈지대두박 분해물은 조미 소재의 기본 베이스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였고 이를 마일러드 반응시키고 조미하여 풍미를 향상시킨 가수분해물은 효소분해 간장 및 복합조미료의 원료로 사용 가능하였다. 대두분리단백의 가수분해물은 단백질 함량이 85%이며 평균 분자량이 250내외로서 환자식, 유아식, 스포츠 영양 등의 저엘러지 단백질원으로 적합하였다. 효소분해HVP의 염 함량은 2%이내로서 다른 원료와의 배합 사용량에 제한을 주지 않으면서 고 단백 제품의 개발을 용이하게 하였다. 대두박 분해의 부산물로 30%의 단백질 함량과 21%의 섬유소를 갖는 부산물이 생성되었으며 이는 식이섬유원, 보습제 또는 중량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