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잡지형

Search Result 64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alysis of Characteristics in Ara River Basin Using Fractal Dimension (프랙탈 차원을 이용한 아라천 유역특성 분석)

  • Hwang, Eui-Ho;Lee, Eul-Rae;Lim, Kwang-Suop;Jung, Kwan-Su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10
    • /
    • pp.831-841
    • /
    • 2011
  • In this study,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basin have selfsimilarity, fractal dimensions are used to quantify the complexity of the terrain. For this, Area exponent and hurst exponent was applied to estimate the fractal dimension by using spatial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he value of area exponent and hurst exponent calculated by the fractal dimension are 2.008~2.074 and 2.132~2.268 respectively. Also the $R^2$ of area exponent and hurst exponent are 94.9% and 87.1% respectively too. It shows that the $R^2$ is relatively high. After analyzing the spatial self-similarity parameter, it is shown that traditional urban area's moderate slope geographical characteristic closed to 2D fractal in Ara water way. In addition, the relation between fractal dimension and geographical elements are identified. With these results, fractal dimension is the representative value of basin characteristics.

A Study on the Pollutant Dispersion over a Mountain Valley Region (II) : Numerical Simulation (산악 계곡지형에서의 오염확산에 관한 연구(II) :수치해석)

  • Shim Woo-Sup;Kim Seogcheol;Yoo Seong-Yeon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7 no.11
    • /
    • pp.1060-1071
    • /
    • 2005
  • Passive gas dispersions over a 1/1000 scale terrain model at Eiffel type wind tunnel were reproduced by numerical simulation. Large eddy simulation was used to treat the sub-grid scale turbulences. The terrain features were represented by millions of point forces densely distributed over the solid surface using the virtual boundary method. The model simulations agreed very well with the experiments in a consistent fashion for all wind directions. The measured profiles of the wind speeds as well as the tracer gas concentrations were nicely simulated by the CFD model at most locations scattered over the model terrain. With scale factor adjusted and the thermal stratification effects incorporated, the CFD model was expected to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on pollutant dispersions over the real complex terrains.

Wind Speed Prediction using WAsP for Complex Terrain (복합지형에 대한 WAsP의 풍속 예측성 평가)

  • Yoon, Kwang-Yong;Yoo, Neung-Soo;Paek, In-Su
    •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 /
    • v.28 no.B
    • /
    • pp.199-207
    • /
    • 2008
  • A linear wind prediction program, WAsP, was employed to predict wind speed at two different sites located in complex terrain in South Korea. The reference data obtained at locations more than 7 kilometers away from the prediction sites were used for prediction. The predictions from the linear model we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at the two prediction sites. Two compensation methods such as a self-prediction error method and a delta ruggedness index (RIX) method were used to improve the wind speed prediction from WAsP and showed a good possibility. The wind speed prediction errors reached within 3.5 % with the self prediction error method, and within 10% with the delta RIX method. The self prediction error method can be used as a compensation method to reduce the wind speed prediction error in WAsP.

  • PDF

Implementation of a Transformable Hexapod Robot for the Complex Terrain (복잡한 지형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6족 로봇의 구현)

  • Lee, Sang-Hun;Kim, Jin-Ge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d
    • /
    • pp.1969-1970
    • /
    • 2006
  • 본 연구는, 장애물과 지형에 순응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변형 가능한 로봇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람이 활동하는 영역에서 로봇을 사용할 때, 항상 로봇의 이동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해 줄 수는 없다. 따라서 로봇 자체가 환경을 인식하고 그에 맞게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로봇은 바퀴구동을 통한 평탄한 지형에서의 빠른 이동성과 보행을 통한 평탄하지 않은 지형에서의 이동성의 장점들을 동시에 지닐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스테레오 영상 시스템과 거리감지 센서모듈을 통해 로봇의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동작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 대해서는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한다.

  • PDF

Variation of Erosion and Deposition with Catchment Characteristic Factors (유역특성인자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변화)

  • Yu, Wan-Sik;Lee, Gi-Ha;Lee, Kun-Hyuk;Lee, Bok-Hwa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5-299
    • /
    • 2011
  • 자연계에서 토양의 침식 및 퇴적 반복적 과정은 매우 복잡한 형태로 발생하며, 호우로 인한 토사유출은 유역의 지형 및 지질학적 특성과 수문기상학적 특성 등에 의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즉, 토양 침식 및 퇴적은 유역의 형상, 토양종류, 토지 이용 및 피복상태, 강우사상 등에 따라 시 공간적 분포가 다양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유역내 침식 및 퇴적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지형학적 특성인자와 수문기상학적 특성인자에 따른 유역내 수문학적 응답을 이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사-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용담댐 상류 천천유역을 대상으로 Strahler 하천차수구분법에 의해 유역을 차수별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지형학적 특성인자(유역면적, 지표흐름 이동거리, 국부경사)와 수문학적 특성인자(총 강우량)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공간분포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Finding a path with the minimum clearance by using Visibility graph (가시성그래프에 의해 최소 여유공간을 보장하는 길찾기)

  • Jeon, Hyun-Joo;Yu, Kyeon-A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739-741
    • /
    • 2005
  • 최근 게임에서 자주 등장하기 시작한 랜덤 지형 맵 생성기법으로 인해 단순한 경로 찾기가 아닌 지형분석을 통한 복잡한 경로 찾기 문제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로보틱스 분야에서 경로 찾기에 이용되는 가시성그래프(Visibility Graph, Vgraph)가 지형분석과 경로 찾기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Vgraph를 이용하면 지형의 로드맵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A* 알고리즘과 결합하여 최적의 경로를 찾는 것을 보장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Vgraph에 의해 구해진 경로는 장애물의 정점에서 정점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항상 장애물의 모서리를 향해 움직이며 벽에 붙어가는 듯이 보여 부자연스러운 것이 단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설계자가 요구하는 여유공간 c만큼 장애물을 확장하여 확장된 장애물에 대해 가시성그래프를 생성함으로써, Vgraph의 장점은 유지하며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