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원도시

Search Result 47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valuation Indicators for Cre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 (도시숲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도시숲 건전성 평가지표 선정)

  • Lee, Dongkun;Kim, Daehyun;Kim, Eunyoung;Jeong, Jicheol;Oh, Youngchool;Joo, Shinha;Kim, Kyungm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1 no.5
    • /
    • pp.104-113
    • /
    • 2008
  • The importance of the green space in urban area has been increasing. There are the increasing needs of cre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urban forest. In order to satisfy the need, it is necessary to set indicators for sustainable urban forest. With this regard,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ndicators for evaluation of the urban forest through literature reviews, experts opinion, and field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ndicators consist of the ecological healthiness, socio-cultural function, and scenic beauty. The ecological healthiness includes stability and naturality (e.g. area, native species, connectivity etc.). The socio-cultural function contain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stable emotion, communit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scenic beauty includes environmental-friendly facilities, maintenance of urban forest. The indicators have high feasibility to create and manage the urban forest through evaluating urban forest in practical. This indicators are useful to guide to develop urban forest and park.

A Study on the Landscape Elements and Construction of Eupseong (county se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조선후기 읍성 취락의 경관 요소와 경관 구성 - 태안읍성, 서산읍성, 해미읍성을 중심으로 -)

  • Jeon, Jong-H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1 no.2
    • /
    • pp.319-341
    • /
    • 2015
  • Eupseong (county seat) represents the Korean historic city which had constructed intentionally by central government during Joseon Dynasty. There were variety of government or county offices which named as Gaeksa, Dongheon, Nea, Jilcheong, and so on. Also, there are houses of the people in many Eupseong but not all of them.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landscape elements and its overall construction of Eupse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 the original land registration map(1913). For this purpose, the author underlines to set-up target period for reconstruction. This study considers the early 19th century in Joseon as completion period of Eupseong landscape, and then researches distribution of Eupseong and major elements of its landscape in national scale. Based on those results, the author tries to reconstruct location of major landscape elements and layout of Eupseong landscape in the early 19th century on the original land registration map in case of Taean Eupseong, Seosan Eupseong, and Haemi Eupseong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 PDF

Introduction of Decision Support System for Design of Low Impact Development Based on SWMM5.1: WMAM (SWMM5.1을 기반으로 한 저영향개발 시설의 설계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WMAM)

  • Song, Jae Yeol;Chung, Eun-Sung;Kim, Soo-Hyu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1-321
    • /
    • 2016
  • 도시화와 토지이용 변화로 인하여 도시지역의 불투수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홍수, 가뭄, 수질악화 등의 해결은 수자원 계획 및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이다.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기법은 물 순환 체계를 복원할 수 있는 대안으로 도시지역에서 물 관리를 통해 하천 복원 및 수자원 관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로써, EPA SWMM의 업그레이드 버전에서는 저영향개발 기술과 관련된 시설의 설계를 통한 유출 모의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SWMM 모형 내에서 저영향개발 시설을 설계 및 계획하기 위해서는 저영향시설과 관련된 다양한 매개변수들을 입력해야하며, 효과적인 시설의 설계를 위해서는 반복적인 모의 수행이 동반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WMM 모형을 기반으로 저영향개발 시설의 설계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인 WMAM(Water Management Analysis Module)을 개발하였다. WMAM은 저영향개발 시설과 관련된 다양한 매개변수 중에서 최종 유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의 추출이 가능하다. 또한, 저영향개발 시설의 설계 및 계획 매개변수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짧은 시간에 동시에 모의 분석을 수행하여 수문학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시나리오를 도출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WMAM의 효과성을 보여주고자 A대학교를 모델링한 SWMM 모형에 저영향개발 시설 중 하나인 침투트렌치의 (1)계획 전과 (2)계획 후, 그리고 (3)WMAM을 적용하였을 경우의 첨두유량과 침투손실 결과를 비교하였다. 침투트렌치 설치 전의 첨두유량은 약 0.48 CMS로 세가지 경우 중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침투트렌치 설지 후와 WMAM을 활용한 경우의 첨두유량은 점차 낮아졌다. 또한, 침투손실량을 보면 설치전에는 약 0.28 m로 가장 낮았으며, 설치 후 그리고 WMAM을 활용하였을 경우는 점차 그 값이 높아졌다. 본 연구를 통해, WMAM이 저영향개발 시설의 설계 및 계획에 있어서 수문학적으로 효과적인 결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보완과 추가 개발을 통해 수자원 계획 및 관리에 있어서 유용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eneration of 3-D City Model using Aerial Imagery (항공사진을 이용한 3차원 도시 모형 생성)

  • Yeu Bock Mo;Jin Kyeong Hyeok;Yoo Hwan 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3 no.3
    • /
    • pp.233-238
    • /
    • 2005
  • 3-D virtual city model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a number of GIS applications. For reconstruction of 3D building in urban area aerial images, satellite images, LIDAR data have been used mainly and most of researches related to 3-D reconstruction focus on development of method for extraction of building height and reconstruction of building. In case of automatically extracting and reconstructing of building height using only aerial images or satellite images, there are a lot of problems, such as mismatching that result from a geometric distortion of optical images. Therefore, researches of integrating optical images and existing digital map (1/1,000) has been in progress. In this paper, we focused on extracting of building height by means of interest points and vertical line locus method for reducing matching points. Also we used digital plotter in order to validate for the results in this study using aerial images (1/5,000) and existing digital map (1/1,000).

A Study on Water Quality Management on Urban Water Circulating System in the New City (신도시 내 물순환시스템 구축 및 수질관리 연구)

  • Ahn, Chang-Hyuk;Joo, Jin-Chul;Kwon, Jae-Hyeong;Song, Ho-Myeon;Ahn, H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43-743
    • /
    • 2012
  • 최근 국내에서는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의 일환으로 도시의 환경오염과 기후변화의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는 탄소 배출을 억제하고 고유가 시대에 에너지저감을 동시에 고려하는 저탄소 도시 조성을 통해 기후변화 시대에 대응을 추진하고 있다(국토해양부, 2009). 이러한 결과로 최근 도시내 물순환시스템(urban water circulating system or blue-network)의 구축이 요구되며 이는 자연의 생태 기능을 복원하고 오염부하를 저감하여 도시 환경의 건강성과 지속성 향상에 기여한다. 이러한 도시물순환시스템은 시민의 휴식 및 문화 공간, 도심열섬현상 완화, 재해방지, 생물서식공간(biotope) 제공 등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탄소배출 감소, 우수 저류공간 확보, 지하수위 유지, 비상용수 확보, 대기오염물질의 집진제거, 습지보전 및 생물종 다양성 확보 등의 주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도심의 재개발 또는 신도시 개발 시 도시 어메니티(amenity) 증진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한국토지공사 2003). 남한산성을 포함하는 청량산 계곡수를 발원지로서, 공간적 범위는 장지천과 창곡천을 따라 약 3.5 km 서쪽으로 흘러 탄천에 이르기까지의 물길축(blue-network)를 기반으로 하며 총면적은 $6.8km^2$ 으로 서울, 성남, 하남의 3개 행정구역에 걸쳐있다. 내용적 범위는 현황조사(개발 컨셉, 하천분포현황, 인접지역 연계, 수질), 수량 및 수질 확보방안(물수지분석, 다중 수원 확보방안, 목표수질 설정, 부영양화 가능성 평가), 물순환시스템 구축(소하천 등과 연계 방안), 유지관리 방안의 순서로 진행하여 기본계획을 도출하였다. 현황조사 결과 본 사업대상지는 장지천, 창곡천, 학암천 등 3개 소하천이 서쪽의 탄천과 연결되어 있으며 동쪽은 산지로 청량산이 인접하기에, 주변 자연지형을 최대한 고려하여 물순환시스템을 계획하였다. 하천 유량은 기존 환경영향평가서, 하천 연계방안, 신도시 조성 관련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하류에서 각각 장지천 $10,087m^3/d$, 창곡천 $7,103m^3/d$, 복우천 $5,530m^3/d$ 의 유지용수량을 산정하였다. 도시 친수공간 확보와 어메니티 향상을 위해 지구내 수로(휴먼링)을 조성하여 장지천, 창곡천과 연계하였으며 주요 유지용수는 저탄소 녹색도시 건설에 부합하도록 우수을 활용한 함양지 및 계곡수로 조성 계획하였다. 또한, 인접한 장지천 및 창곡천 등 소하천은 지속적인 유량공급 및 양질의 수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하상여과수를 검토 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hanging Connectivity of Pedestrain Network Using Space Syntax - Focussing on Restoration of Cheonggyecheon - (Spacee Syntax를 이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연결성 변화연구 - 청계천복원사업을 중심으로 -)

  • Kim, Tae-Ho;Park, Ju-Won;Ko, Young-Sun;Park, Je-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1 no.2
    • /
    • pp.55-66
    • /
    • 2009
  • This study examines the consequent impact which Cheonggyechoen restoration project of Seoul makes on pedestrian network structure around the inner city, especially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s and the city's balanced development. It identifies variation of Global Integration and Local Integration of the pedestrian networks which is compared by before and after conditions with east-west and south-north walking axis by using Space Syntax. The results show respectively different set of Global and Local Integration. First, Global Integration shows high performance along the east-west axis, while pedestrian spatial networking is balancing through Donhwamunno and Samillo. Second, Local Integration illustrates both performance along both the east-west axis and the south-north axis after restoration of network. It is primarily concentrated in Taepyeongno$\sim$Samillo section(business and commercial-centered) before the restoration. In addition, total integration is holistically improved while the networking in Samillo$\sim$Baeogaegil section(the instrument shopping streets) if almost same as one another Moreover, in Baeogaegil$\sim$Dongdaemun Stadium section(market-centered), the connectivity of Cheonggyechoenro is improved after the restoration. All in all, Cheonggyechoen restoration project of Seoul allows traffics to be equally accessible from the east-west axis and the south-north axis and contributes to the connectivity improvement of the east-west axis as well as the south-north axis.

  • PDF

Characteristics and Restoration Strategies of Warm-Temperate Forests Vegetation Types in Island Area o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도서지역의 난온대림 식생유형 특징 및 복원전략)

  • Kang, Hyun-Mi;Kang, Ji-Woo;Sung, Chan-Yong;Park, Seok-G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6 no.5
    • /
    • pp.507-524
    • /
    • 2022
  • In this study, we revealed the location environment and community structural characteristics after extensively investigating Korea's warm-temperate island areas and categorizing vegetation through TWINSPAN analysis. Based on it,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vegetation restoration plan for warm-temperate forests by deriving a restoration strategy for each vegetation type. The vegetation types were clearly divided into eight types, and communities I through IV were good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dominated by Machilus thunbergii and Castanopsis sieboldii. On the other hand, communities V through VIII were Pinus thunbergii forest,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nd artificial forest, and retrogressive succession vegetation in the warm-temperate areas. The environmental factors derived from the DCA analysis were altitude (average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and distance from the coastline (salt toleranc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warm-temperate forests has been categorized into M. thunbergii, C. sieboldii and Cyclobalanopsis spp. forest types according to the two environmental factors. It is reasonable to apply the three vegetation types as restoration target vegetation considering the location environment of the restoration target site. In communities V through VIII, P. thunbergiiand deciduous broad-leaved formed a canopy layer, and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with strong seed expansion frequently appeared in the ground layer, raising the possibility of vegetation succession a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The devastated land where forests have disappeared in the island areas is narrow, but vegetation such as P. thunbergii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which have become a retrogressive succession, forms a large area. The restoration strategy of renewing this area into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should be more effective in realizing carbon neutrality and promoting biodiversity.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Impact Mitigation Regulations through Biotope Maps (도시생태현황지도를 활용한 침해조정 제도 국내 적용 사례 연구)

  • Choi, Nakhoon;Kil, Jihyon;Shin, Youngkyu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4 no.4
    • /
    • pp.237-244
    • /
    • 2017
  • The Impact Mitigation Regulation was first introduced in Germany with an intention to avoid or reduce the natural ecology and landscape infringement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roject. The system has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iciently operate the linkage policy of land planning and environment planning to prevent the excessiv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land and to continue to manage it. This study applied the German natural impact mitigation system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it according to the domestic situation with a biotope map of Juam-dong, Gwacheon City, as a case study area. Spatial analysis was conducted of biotope maps, landscape maps, and NDVI maps to suggest a plan to derive and preserve the areas excellent in an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value. It was confirmed the Impact Mitigation Regulation could be used as a policy link of the land-environment policy that minimizes the degree of the damage that cannot help occurring necessarily i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land and to manage that damage from the planning stage.

Integrated Risk Analysis for Mitigation the Urban Flood Disaster (도시홍수 피해 경감을 위한 통합 리스크 분석)

  • Lee, Jae Yeong;Keum, Ho Jun;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0-50
    • /
    • 2017
  • 도시홍수의 잠재적 위험은 홍수경감계획이 발전됨에 따라 감소하지만, 침수피해 가능성은 도시화와 도시 확장에 따라 증가한다. 침수피해 가능성에 대한 사전 파악 및 위험도 분석은 대규모 침수재해 발생 시의 위기관리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경제적 피해에 대한 예측은 재해발생 후 복구 및 복원 작업에 필요한 자원 할당에 매우 유용하며, 잠재적 홍수 피해에 대한 예측은 장기적인 홍수경감계획과 재해관리에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침수해석 모형의 결과로 산정 가능한 침수심, 유속 등의 지표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침수위험도를 산정하고, 침수 발생 위험이 있는 지역의 인문 사회 경제적 지표를 통해 피해 저감 및 복구성을 반영하기 위한 재해 취약인자를 선정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취약도를 산정하였다. 또한, 분석된 위험도와 취약도의 연산으로 통합리스크 분석을 실시하여 침수 발생 시 해당지역에 대한 피해 예상과 지역별 상대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위험도와 취약도 및 리스크 분석은 다양한 인자를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 여러 개의 기준에 대한 선호도를 결정하거나 최적 대안을 선택하는 다기준의사결정(MCDM)기법을 적용하였으며, MCDM기법 중 보편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TOPSIS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리스크 분석은 우리나라 전체, 특정 시도, 시군구, 읍면동 간의 침수피해와 관련한 상대적 비교 평가가 가능하며, 대응 및 대비의 관점에서 저감 대책 수립의 우선 지역을 도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침수피해 발생 후, 리스크가 큰 지역에 대해 우선적으로 복구 조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정된 지자체 예산 안에서 도시홍수 피해 경감 대책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ic Flood Protection Wall to Prevent Inundation of Inland (내수침수방지가 가능한 자동차수벽에 관한 연구)

  • Kim, Ji Ho;Lee, Gyu Won;Park, Young Jin;Chang, J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73-373
    • /
    • 2019
  • 도시화로 인해 인구가 도시로 집중되고, 불투수층이 증가되어 유출율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또한 최근의 기후변화에 의하여 홍수 및 침수가 빈번해짐에 따라, 도시에서 내수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 내수침수 해결방안은 배수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수관거 용량을 키우고, 펌프장을 증설하였으나, 국지적이고 기습적인 집중호우가 내리는 경우에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에 따라 지하방수로와 도시물순환 등 중장기계획이 수립되고 있으나, 지하철 출입구, 지하 주차장 출입구, 건물 외부 출입구 등 평상시에는 출입구로 사용하다가 홍수시에 내수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차수벽에 대한 다양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 외 차수벽에 대한 조사 및 분석결과 국외의 경우 자동 수동 반자동의 다양한 차수벽이 제시되어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이제야 제품개발이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수침수 피해가 큰 영국이나 미국의 뉴욕시의 경우 건축법에 의해 내수침수피해를 막을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 있으며, 실증실험도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외 차수벽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고, 자동차수벽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수치모의와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국내에서 사용가능한 적정 자동차수벽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ICT와 연계를 통해 원격제어 및 관리가 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사용가능한 내수침수방지가 가능한 자동차수벽이 제시된다면, 기후변화와 도시화에 대응하는 재난대응기술이 되어 내수침수가 빈번한 도시의 홍수복원력을 확보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기술연구를 통해 상용화된다면 국내 및 국외시장에 진출이 가능하리라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