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압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7초

휴대용 요역동학 검사 시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복압측정 방법 (A Non-invasive Measurement of Abdominal Pressure on Ambulatory Urodynamics Study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 김거식;송철규;서정환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5권6호
    • /
    • pp.132-140
    • /
    • 2008
  • 복압 측정을 위한 기존의 카데터 방법은 배뇨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많은 오차를 유발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복압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 직장 카테터를 이용하여 측정된 복압과 복압측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정된 복압 간의 상관계수는 $0.79{\pm}0.06$이었으며, 두 신호간의 오차는 $0.10{\pm}0.07$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복압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휴대용 요역동학 검사 시 편리하게 간접적으로 복압을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근육모양의 패턴을 달리한 EMS 복압벨트가 요추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EMS Compression Belts with Different Muscular Patterns on Lumbar Stabilization)

  • 김대연;박진희;김주용
    • 감성과학
    • /
    • 제24권2호
    • /
    • pp.81-9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해부학적 근거로 제작한 5가지의 EMS 요추 복압 벨트가 요추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요방형근, 척추세움근, 내복사근, 외복사근, 대요근으로 총 5가지의 코어 근육을 선정하여 이에 맞는 근육 모양과 통증 유발점인 압통점을 고려해 전도성 원단으로 패턴을 설계하여 복압 벨트에 결합했다. 총 4가지 동작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각각 다른 EMS복압 벨트가 요추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건강한 신체의 20대 남성 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선정 조건은 최근 3개월 동안 요통 과거력이 없고 사전 검사를 통해 제한되는 동작이 없고, 체간의 근력이 정상등급에 속한 대상이다. 실험 동작의 순서는 하지직거상 검사, 좌전굴, 체전굴, 배근력으로 다음 동작에 제한되지 않게 선정하였다. 동작 간의 휴식은 2분으로 진행하였고, EMS복압 벨트를 착용 후 실험을 진행할 때는 혈류량 증가와 근 활성화를 위해 전기자극을 10분씩 적용하고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의 통계는 비모수 검정으로 윌콕슨 검정과 프리드만 검정을 실시함으로 구체적인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5가지의 패턴 중 5,4,3,1,2 순으로 Type별 순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근육의 움직임과 연관성이 있는 실험 동작에 조금 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해부학적 근거로 제작된 패턴으로 인해 각 근육에 각기 다른 모양으로 전기자극을 전달하였을 때 구분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반인 대상으로 일상생활이나 트레이닝에 있어 요추 안정화를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트레치 센서를 활용한 EMS 복압벨트가 호흡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EMS Ventilation Belt Using Stretch Sensor Effect on Respiratory Activation)

  • 김대연;박진희;김주용
    • 감성과학
    • /
    • 제24권4호
    • /
    • pp.69-78
    • /
    • 2021
  • 요즘은 건강을 위한 스마트 헬스 케어 웨어러블의 개발이 가속화되는 시대이다. 그 중 활발한 연구 분야 중 하나인 EMS 전기자극을 활용한 웨어러블 제품이 많이 출시되었다. 하지만 연구되거나 출시되어있는 EMS 웨어러블은 근육의 세분화에 집중하지 못한 포괄적인 전신 슈트나 복부 전체를 덮는 벨트 형식으로 출시되어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근육을 세분화시킨 EMS 패턴을 적용하고 복압 벨트에 호흡을 측정할 수 있는 스트레치 센서를 부착하여 두 가지 호흡법을 활용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측정방법은 들숨과 날숨으로 실험을 진행하며 대상자는 건강한 신체의 20대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본 연구의 결과 흉식호흡과 복식호흡 모두 센서의 민감도는 5mm, 3mm, 기본 센서 순으로 센서별 순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EMS 복압 벨트를 통해 전기자극을 적용 전, 후로 나누었을 때 전기자극을 적용한 후 호흡의 활성화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결론은 2가지 호흡법을 신체 기능적 근거로 제작한 2가지 패턴으로 인해 호흡법에 적합한 전기자극을 적용 시 적용하지 않았을 때 보다 3가지 센서로 호흡 활성화 효과와 센서 간 민감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EMS 패턴과 스트레치 센서가 통합된 의복형 웨어러블 제품에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호흡 스마트 의류를 개발하고자 한다.

추간판이 물리적 자극의 수용기 역할을 하는 경우 기립 상태에서 복압 및 복근의 역할이 척추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bdominal Muscle and Pressure on the Spine Stability during Upright Stance Posture - For the Case where Intervertebral Disc Plays the Role of Mechanoreceptor)

  • 최혜원;김영은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5-122
    • /
    • 2011
  • Recently, we have proposed a hypothesis that spinal structures have a stress sensor driving feedback mechanism, In the human spine, spinal structure could react to modify muscular action in such a way so as to equalize stress at the disc, therefore reduce the risk of injury, In this analysis, abdominal muscle and abdominal pressure,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previous study, were added to identify those effects in spine stability during upright stance posture for the case where the intervertebral disc plays the role of mechanoreceptor, The musculoskeletal FE model was consisted with detailed whole lumbar spine, pelvis, sacrum, coccyx and simplified trunk model. Muscle architecture with 46 local muscles containing paraspinal muscle and 6 rectus abdominal muscles were assigned according to the acting directions. The magnitude of 4kPa was considered for abdominal pressure. Minimization of the nucleus pressure deviation and annulus fiber average tension stress deviation was chosen for cost function. Developed model provide nice coincidence with in-vivo measurement (nucleus pressur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existence of co-activation of abdominal muscle and abdominal pressure. Antagonistic activity of abdominal muscle produced stability of spinal column with relatively small amount of total muscle force. In contrast to the abdominal muscle, effect of abdominal pressure was not clear that was partly depending on the assumption of constant abdominal pressure.

비침습적 복압 측정을 위한 생체 임피던스 전극의 최적 위치 선정 (Optimum electrode selection for measuring the abdominal pressure using bio-impedance method)

  • 안양수;김거식;송철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46-48
    • /
    • 2007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optimum electrode pair for measuring the abdominal pressure using bio-impedance method. Because impedance changes differ from a weight, a height, contractile force, volume of muscle and blood other or whatever of individuals, it was quantified using values of impedance chang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NR. Our results showed the optimum electrode pair (1, 9) which could detect impedance changes due to an increase of the intensity of the abdominal pressu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quadratic function between the RMS values of EMG and the impedance changes were 0.87 and $y=0.0014x^2$+0.0620x+0.6958, respectively. It demonstrated that the abdominal pressure could be measured non-invasively and simply using bio-impedance method. We propose that this optimum electrode configuration would be useful for future studies involving the convenient measurement of abdominal pressure by ambulatory urodynamics monitoring study.

  • PDF

생체 임피던스 방법을 이용하여 복압을 측정하기 위한 최적 전극위치 선정 (Optimum Electrode Selection for Measuring Abdominal Pressure using Bio-Impedance Method)

  • 김거식;이상옥;서정환;김경섭;송철규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6권7호
    • /
    • pp.1339-1342
    • /
    • 2007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optimum electrode pair for measuring the abdominal pressure using bio-impedance method and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Because impedance changes differ from a weight, a height, contractile force, volume of muscle and blood other or whatever of individuals, it was quantified using values of impedance chang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NR. Our results showed the optimum electrode pair (1, 9) which could detect impedance changes due to an increase of the intensity of the abdominal pressu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quadratic function between the RMS values of EMG and the impedance changes were 0.87 and $y=0.0014x^2+0.0620x+0.6958$, respectively. It demonstrated that the abdominal pressure could be measured noninvasively and simply using bio-impedance method. We propose that this optimum electrode configuration would be useful for future studies involving the convenient measurement of abdominal pressure by ambulatory urodynamics monitoring study.

요역동학 측정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복압측정 기법 (A New Approach Method of Measuring Abdominal Pressure for Urodynamic Monitoring System)

  • 서정환;김거식;안양수;김경섭;송철규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6권6호
    • /
    • pp.1170-1176
    • /
    • 2007
  • The conventional urodynamic monitoring is fulfilled by artificially filling a bladder with saline. Generally.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the storage and voiding of a bladder. With this aim, we constructed an ambulatory urodynamic monitoring (AUM) system and proposed a novel method estimating abdominal pressure by measuring bio-impedance variations. Our system was clinically evaluated for 10 patients. It turned out to be that as the intensity of the abdomen contraction increased, the amplitude of bio-impedance signal and the RMS value of EMG increased more as compared to those who observed during the rest mode. Also, we determined the optimum electrode pair for estimating the abdominal pressure using bio-impedance method and consequentl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Because impedance changes differ from a weight, a height, contractile force, volume of muscle and blood other or whatever of individuals, it was quantified in terms of impedance chang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NR Our results showed the optimum electrode pair (1,9) which could detect impedance chang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intensity in the abdominal pressu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quadratic function between the RMS values of EMG and the impedance changes were 0.87 and $y=0.0014x^2+0.0620x+0.6958$, respectively. Thus, our system demonstrated that the abdominal pressure could be measured noninvasively and conveniently by simply estimating bio-impedance values. We propose that this optimum electrode configuration would be useful for the future studies involving the handy measurements of abdominal pressure with our suggested ambulatory urodynamics monitoring system.

요실금 환자의 운동치료 (Therapeautic Exercise for Incontinece Patients)

  • 박돈목;문향미;김진상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0권2호
    • /
    • pp.183-193
    • /
    • 1998
  • 여성의 요실금 치료방법을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정밀한 진단이 필요하며, 이 정확한 진단을 통하여 치료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여러 논문을 검토해본 결과 요실금 치료의 밥법은 다양하며 극히 일부분의 수술을 요하는 환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환자가 약물이나 전기치료, 운동처방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고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여러 문헌을 종합하여 물리치료의 한 영역으로써 요실금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여러 분야 중 운동치료 분야에 관해 간략히 언급하였다. 운동을 위해서는 먼저 정확한 진단과 평가가 요구되며, 초기에 각 운동을 실시할 때는 복압이 증가하지 않게 누워서 치료를 시작할 것과 쉬운 운동부터 시작하여 전차 어려운 운동으로 발전시키며, 환자의 진전에 따라 자세의 변화와 치료시간도 점점 늘여가도록 한다. 또한 요실금 환자는 커피와 같은 자극성이 있는 음료는 삼가도록 한다. 요실금에 관한 물리치료는 더욱 많은 연구와 치료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임상치료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 PDF

식도-위 절제술 후 횡격막 crura의 역할 (Role of Crural Diaphragm after Esophagogastrectomy)

  • 조성래;하현철;이봉근;조봉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0호
    • /
    • pp.763-768
    • /
    • 2001
  • 배경: 식도-위 접합부에 존재하는 고압력대는 위-식도 역류를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주로 하부 식도 괄약근이 관여한다. 그러나 하부 식도괄약근이 제거된 환자에서 횡격막 crura가 고압력대로 나타나 괄약양의 역할을 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식도 내압을 측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식도-위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22명과 대조군으로 정상 성인 3명을 대상으로 식도 내압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조군은 3명 전원에서, 환자는 22명중 12명에서 고압력대가 나타났는데 Ivor-Lewis법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보다는 좌측 개흉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많이 나타났다. 고압력대의 위치는 환자군에서 비강으로부터 42.5$\pm$0.9cm로 대조군과 비슷한 위치에서 나타났으나, 길이는 2.13$\pm$0.6cm로 대조군 보다 짧았다. 고압력대의 압력은 station pull-through technique(SPT), rapid pull-through technique(RH)에 의해 측정한 결과 각각 13.78$\pm$1.63mmHg, 28.58$\pm$6.06 mmHg로 대조군 보다낮았으며, 부분적으로 연하에 의해 이완되고(84.4%), 복압증가에 의해 수축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하부 식도 괄약근이 제거된 경우에도 횡격막 crura에 의해 흉복부 접합부에 고압력대가 나타나며, 이 횡격막 crura가 괄약양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식도-위 절제술후 손상된 횡격막 crura의 복구를 시행함으로써 위-식도 역류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소아에서 배뇨장애와 변비의 유병률 (Prevalence of Voiding Dysfunction and Constipation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김준영;이은섭;방지석;오연정;이용주;성태정;이건희;이정원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8권2호
    • /
    • pp.71-76
    • /
    • 2014
  • 목적: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ADHD)는 소아에서 3-5%의 유병률을 보이며 전두엽의 억제기전 저하와 대뇌의 카테콜라민 대사이상이 관련된다고 알려져 있다. ADHD 환아에서 야뇨증을 비롯한 다양한 하부요로계 증상을 동반한다는 보고가 있지만 국내에서는 ADHD 환아들에 대한 보고가 없기에 저자들은 ADHD 환아에서 배뇨증상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9년 10월부터 2011년 3월까지 DSM-IV 진단기준에 근거하여 ADHD로 진단받은 33명의 환아들과 같은 기간 동안 신경계 질환이나 요로계 질환 없이 상기도 감염으로 외래를 내원한 환아 30명을 대상으로 배뇨와 배변에 대한 설문지를 시행하였다. 결과: ADHD 환자군의 평균 연령은 $9.09{\pm}2.8$세(남 28: 여 5) 이었고, 대조군의 평균 연령은 $8.58{\pm}3.1$ (남 20: 여 10) 이었다. ADHD 환아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요절박(P=0.017), 절박 요실금(P=0.033), 변비(P=0.045)의 유병률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복압배뇨, 간헐뇨, 배뇨지연 행동에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야뇨증은 ADHD 환아군에서 12.1% (4/33)로 대조군의 0%에 비해 많았지만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ADHD 환아는 대조군에 비해 요절박, 절박 요실금과 변비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