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식미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4초

현대 서양복식에 나타난 인체의 조형미 -신체사회학 이론을 중심으로-

  • 김소영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8-79
    • /
    • 2003
  • 현대에 들어와 몸에 대한 담론은 여러 분야의 학문에서 관심의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몸은 하나의 기호로서, 시각적 언어로서, 사회적 변화의 소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인체의 시각적 재현에 대한 관심은 여성의 누드와 섹슈얼리티의 재현으로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확산되었다. 페미니스트 학자들은 과거 역사책 속에서 침묵 당했던 여성들의 경험을 회복하고 서양 문화에서 여성의 위치를 재정립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중략)

  • PDF

조선시대 여자표의를 활용한 혼례복 디자인개발 연구 (A Study of Adapting Women's Pyoeui of Chosun Era to Wedding Dress)

  • 여상미;박옥련
    • 복식
    • /
    • 제52권6호
    • /
    • pp.103-11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dapting Korean aesthetics to the design of Wedding dress. For this study. Chosun Women's Pyoeui(coat) were considered. Pyoeui had the courtesy and variety. They were Jugeui, Wonsam, Hwalos, Dangeui, and Jangeui. Pyoeui were considered the formative features and the aesthetical values describing Shape, Color, Material, Pattern, and Ornament. And Pyoeui were considered the instances which were adapted their formative features to Wedding dress. The formative features appearing on Wedding dress were merely applied the outward shap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utward features and the aesthetical values about Women's Pyoeui for adapting Wedding dress. And then the continuous attempt is needed to adapt Korean aesthetics to the design of Wedding dress.

조선시대 남자표의를 활용한 혼례복 디자인개발 연구 (A Study of Adapting Men's Pyoeui of Chosun era to Wedding Dress)

  • 여상미;박옥련
    • 복식
    • /
    • 제52권4호
    • /
    • pp.39-5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dapting Korean beauty to the design of Wedding dress. For this study, Chosun Men's Pyoeui(coat) were considered first. Pyoeui had the courtesy and variety. They were Jobog, Danryeong. Chulrlk, Dabho, Jangeui, Aegjueumpo, Jigryeong, Changeui, Changos, Jungchimag, Hagchangeui, Simeui, Dopo, and Durumagi. Pyoeui were considered the formative features and the costume beauty describing Shape, Color, Material, Pattern. and Ornament. And Pyoeui were considered the instances which were adapted their formative features to Wedding dress. The formative features appearing on Wedding dress were merely applied the outward shap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utward features and the costume beauty about Men's Pyoeui for adapting Wedding dress. And then the continuous attempt is needed to adapt the beauty of Korean costume to the design of Wedding dress.

훈증처리가 출토복식유물의 강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 채옥자;안춘순;박성실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109-112
    • /
    • 2004
  • 본 연구를 위해 첫째 실제 출토된 여러 복식 유물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보존 처리를 시행한 후 M.B.와 E.O.의 혼합가스에 의한 훈증처리를 실시하였다. 둘째, 훈증처리를 실시한 유물과 훈증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유물의 강도의 변화를 비교 조사하였다. 셋째, 공조시설이 서로 다른 2개의 박물관을 선정하여 훈증 시료와 미훈증 시료를 전시 보관하여 환경 조건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강도의 변화를 비교 조사하였다. (중략)

  • PDF

피카소 작품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 전미선;이연희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0-101
    • /
    • 2003
  • 복식이란 인간의 내면적 욕구를 외적인 미로 표현하는 방법으로써 인간이 노출된 시대적 상황에 대한 반응 수단이자 한 시대 예술의 구성인자로 지각되며 경험되는 매체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의복이란 회화, 미술, 공예 등의 조형예술과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배경아래에서 탄생되며 상호 관련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20세기 대표적인 화가 피카소의 작품을 CAD시스템을 활용한 후 현대의상에 접목시켜, 개성 있는 디자인 창출의 모티브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중략)

  • PDF

신체수정을 위한 상품 광고의 특성과 상징적 의미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haracteristics and Symbolic Meanings appeared in Body Modification Commodity Ads)

  • Gi-Young Kwon
    • 복식
    • /
    • 제54권3호
    • /
    • pp.87-97
    • /
    • 2004
  • 패션잡지에 실린 패션 및 뷰티 관련 상품의 광고들은 현시대의 미의 이상을 제시하고, 상품소비를 통해 이를 성취할 수 있음을 제안함으로써 신체와 관련한 미적 상징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수정을 위한 상품의 특성과 상징적 의미를 확인하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해 여성잡지 Vogue와 남성잡지 GQ 광고 중 화장품과 바디케어 용품 광고를 선정하여, 이를 신체의 특성, 즉 색상, 볼륨과 비율, 형태와 구조, 텍스쳐, 향의 측면에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Vogue와 GQ 모두 다양한 종류의 신체수정을 위한 상품광고를 선보이고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Vogue가 GQ보다 더 많은 양과 종류의 상품 광고를 보이고 있었다. 신체의 특성에 따른 상품의 비중을 보면, Vogue는 신체의 색상과 관련한 시각적인 면이 높게 나타났고. 반면, GQ는 신체의 골격과 형태미, 볼륨과 비율, 그리고 향과 같은 덜 시각적인 면에서의 상품비중이 높았으며, 텍스쳐와 관련한 상품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들 상품광고의 텍스트와 이미지에서 보이는 특성은 다기능성. 자연성, 개별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계적 미의 추구, 젊음과 건강 이데올로기, 젠더 무경계화라는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1950년대 초기의 미국여성복식에 관한 연구 - 대학소장유물을 이용하여 - (A Study on the American Women's Dress in the Early 1950s : Using an University Collection Garment)

  • 김혜경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9-48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두 종류의 다른 연구자료- 유물과 문헌자료를 이용하여 1950년대 초기에 유행하였던 미국여성복식 가운데 쉬스 드레스(sheath dress)의 디자인 특징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일차자료로는 하와이대학교(University of Hawaii)의 The Western Costume Collection에 소장된 1950년대 초기의 복식으로 추측되는 유물과 1950년부터 1955년 사이에 출판된 Vogue, Harper's Bazaar, New York Times Magazine을 문헌자료로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1950년대 초기의 미국 여성복 디자인의 특징은 여성의 신체적 특징을 강조하며 여성스러움의 미를 극단적으로 추구하는 쉬스 드레스(sheath dress)의 ‘the straight and slender look’으로 요약될 수 있었다. 나아가 문헌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의 유물자료가 50년대 초기(1950-1954)의 미국여성복식 디자인의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이 시기의 복식유물로 그 사용연대가 확증되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주로 문헌자료의 분석만으로 한정되어 왔던 한국의 전형적인 서양복식연구에서 한 걸음 나아가 과거에 실제로 입혀졌던 복식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기 위한 또 하나의 연구방법으로 문헌분석과 유물분석(object study)을 병행하여 시도해 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PDF

아동용 한복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Hanbok for the formal Ceremonies of Korea)

  • Ji, Yoon-Young;Lee, Hye-Yo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727-1738
    • /
    • 2002
  • 세계화, 국제화, 개방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통과의례나 전통 명절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 의례복으로 한복을 애용하는 것은 한복이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를 강하게 간직하고 있는 한국적 조형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더우기 의례복은 특별한 행사 자체를 위해 착용되었던 만큼 당시대의 내 적 가치를 가장 현저하게 표출하고 있는 복식으로 인정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 적으로 현대 전통 한복의 기본 형 식을 제공한 조선시대와 그 이후의 복식 중에서 특히 분명한 착용동기와 목적, 복식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상징성 등을 함축하고 있는 아동용 의례복을 대상으로 복식의 형태, 색채, 문양, 소재 등의 조형 요소를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양식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조형적 특성을 형성시킨 당시대의 사상적 가치를 추론해 보는 것이다. 구체 적인 연구 방법은 먼저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아동용 의례복의 범주를 설정하고 현재 보전중인 실물과 또는 사진,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당시대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병행하여 이들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를 추출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양식적 특징으로는 남아의 두루마기나 전복 그리고 쓰개류 등에서 기능성을 고려한 변형적 양식이 나타나고 있었다. 색채 역시 음양 보색이나, 오행색을 바탕으로 한 기본색의 구성 이외 에도 소매나 섶에 응용된 색의 배열이나 맞깃 전복의 깃에 나타난 색의 조화는 다양한 색의 조형미를 표현하고 있었다. 특히 색동 등에 나타난 오행색의 배열, 안감과 겉감, 상의와 하의, 외의와 내의에 사용된 색의 조화는 미의식에 관한 문화적 가치를 추론해 볼 수 있다. 더우기 장식 표현에 주로 쓰인 자연물 문양이나 글자 문양은 당시의 지배 사상이 지향하는 덕목 이외에도 전통적으로 내재된 수명과 복록, 부귀와 영화에 대한 내적 가치들을 반영하는 조형적 상징들이라 할 수 있다. 소재는 비교적 계절을 고려하여 사용되고 있었지만 의례적 성격을 지닌 외의나 쓰개류의 경우 계절적 구분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장신구의 경우는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나 역시 상징적 인 가치를 표현하는 실물들을 미적으로 재구성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아동용 전통 의례복은 형태, 색채, 문양, 소재, 장신구 등에서 양식의 다양성과 변형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극적인 내적 가치의 상징들을 복식을 통해 표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 복식의 디자인에 있어 아동용 의례복에 나타난 창조적인 양식의 변형과 다양성 그리고 복식을 통한 내적 가치의 반영 등이 현대 사회와 조화를 이룬 실질적인 복식 디자인 제시 및 창작에 작은 영감으로 작용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