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부 비만도

검색결과 762건 처리시간 0.02초

복부비만 관리프로그램이 성인 비만여성의 식이섭취, 스트레스지수 및 복부비만율에 미치는 영향 - 복부비만감소군과 복부비만증가군의 비교를 중심으로 - (Effect of an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dietary intake, stress index, and waist to hip ratio in abdominally obese women - Focus on comparison of the WHR decrease and WHR increase groups -)

  • 이지원;유숙영;양소영;김혜숙;조성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2호
    • /
    • pp.127-139
    • /
    • 2012
  • 본 연구는 비만연구소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복부비만율 0.80 이상인 복부비만 여성 195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복부비만 감소 여부에 따라 복부비만율 감소군과 복부비만율 증가군으로 나누어 신체계측치의 변화, 식이섭취의 변화, 혈관나이, 스트레스 지수 및 건강지수의 변화를 비교 하였다. 영양소의 섭취량을 살펴본 결과,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한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 식물성 단백질, 칼륨, 비타민 A, 엽산, 식이섬유, 칼슘, 인, 비타민 $B_2$, 비타민 $B_6$, 비타민 C, 식물성지방, 철분, 나트륨, 나이아신, 비타민 E 및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영양밀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단백질, 칼슘, 인,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그리고 비타민 C의 INQ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식이섬유, 칼슘, 인, 아연, 비타민 $B_6$, 비타민 C 그리고 비타민 E의 변화율은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 더 컸으며,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식품섭취 다양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식품군별 섭취 가짓수를 비교해 본 결과,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 어패류, 두류, 견과류, 채소류 그리고 버섯류 가짓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는 스트레스 지수와 건강지수가 유의적으로 개선된 반면 복부비만율 증가군에서는 건강지수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부비만율 변화와 영양밀도, 혈관나이, 스트레스 지수 및 건강지수 변화간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복부비만율 감소의 변화율이 높을수록 식물성 단백질, 식물성 지질, 섬유질, 칼슘, 철분, 칼륨,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_2$, 비타민 $B_6$, 비타민 C 그리고 엽산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복부비만율 증가의 변화율이 높을수록 동물성 단백질과 총 지질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스트레스 지수와 건강지수와의 관련성에서는 복부비만율 감소율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지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건강지수는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을 통해 볼 때, 영양교육과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개선 교육으로 구성된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은 식이섭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도 완화시켜 복부비만율 개선에 도움이 되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을 장기프로그램에 적용시킨 뒤 이러한 복부비만율 개선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 노인여성의 비만, 복부비만 기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ccording to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in Elderly Korean Women)

  • 신경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4-311
    • /
    • 2016
  • 이 연구는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비만, 복부비만 기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차이를 알아보고, 비만 유형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비만 기준은 세계보건기구 아시아 태평양 기준에서 제시한 비만 기준을 따랐으며, 대사증후군은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NCEP-ATP III)의 진단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자 591명 중 정상군 272명, 단순비만군 124명, 복부비만군 19명, 비만-복부비만군 176명 이었다. 비만, 복부비만 기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유병률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p=0.009), 고중성지방혈증(p=0.025), 복부비만(p<0.001), 대사증후군 진단 유병률(p<0.001)은 집단간 차이를 보였으며, 비만-복부비만군에서의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복부비만 기준에 따른 비만유형과 대사증후군 각각의 위험요인 및 대사증후군 진단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단순비만군에서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의 발생이 1.6배 높았으며(odds ratio, OR: 1.576,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1.006~2.469), 비만-복부비만군에서는 1.9배 높은 양상을 보였다(OR: 1.882, 95% CI: 1.266~2.799). 고중성 지방혈증은 정상군보다 비만-복부비만군에서 1.9배 높았다(OR: 1.904, 95% CI: 1.246~2.910). 또한 정상군보다 복부비만군에서 대사증후군 발생이 6.6배 높았으며(OR: 6.579, 95% CI: 2.233~19.385), 비만-복부비만군의 경우 10.6배 높은 양상을 보였다(OR: 10.638, 95% CI: 6.053~18.697).

줄이자, 허리둘레 - 복부비만이 위식도역류 질환을 일으킨다

  • 박민수
    • 건강소식
    • /
    • 제36권12호
    • /
    • pp.40-41
    • /
    • 2012
  • 복부비만은 어떻게 위식도역류질환을 일으키는가? 복부비만과 수면무호흡증이 쌍둥이 질환이듯 복부비만과 위식도역류질환도 함께 다니는 형제 질환이다. 위식도역류질환은 우리나라에서도 증가하는 추세로 40세 이후 성인에서 흔하게 발견되며, 위로 들어간 음식이나 위산이 식도로 다시 올라오는 증상이 나타난다.

  • PDF

복부 비만 진단을 위한 CT, MRI, DITI 분석 및 임상적 유용성 (Analysis of CT, MRI, DITI for the Diagnosis of Abdominal Obesity and Clinical Usefulness)

  • 여진동;전병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52-259
    • /
    • 2011
  • 본 연구는 복부지방면적과 복부표면온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CT와 MRI 검사을 시행하여 복부지방면적을 분석 하였고, 복부지방면적에 따른 복부표면온도는 적외선체열진단 검사로 측정하였다. 20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CT와 MRI검사를 이용한 복부영역별 지방면적은 체중그룹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복부표면온도는 T12번 부위에서만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체중그룹간의 복부표면 온도 차이는 $0.7^{\circ}C$이상이었다. 결론적으로, CT는 가장 정확한 복부지방 측정 방법이다. 그러나 방사선 피폭과 고가의 검사 비용이 단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부지방면적과 복부표면온도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적외선체열진단검사는 복부비만을 간편하게 진단 할 수 있는 방법이고,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슬래브의 인장강도를 고려한 복부 파형강판 PSC 박스거더의 비틀림 거동 분석 (Analysis on Torsional Behavior of PSC Box Girder with Corrugated Steel Web Considering Tensile Strength of Slab)

  • 고희중;김현수;이학은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41.1-41.1
    • /
    • 2010
  • 복부 파형강판 PSC 박스거더는 상부와 하부에 콘크리트 슬래브를 갖고 있으며, 복부에만 강판이 사용되는 특수한 형태의 교량이다. 해당 형식의 비틀림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 하부 콘크리트의 비틀림 거동에 대해 먼저 분석한 후, 비틀림에 의한 전단변형률이 거더 단면의 모든 구간에서 동일하다는 적합조건을 이용하여 복부의 비틀림 거동을 이해해야 한다. 기존의 복부 파형강판을 갖는 PSC 박스거더에 대한 연구는 전단거동(Easley, 1969; Elgaaly et al., 1996; 문지호 외, 2004; 이종원 외, 2005) 및 휨 거동(Elgaaly et al., 1997; Abbas et al., 2006, 2007; 문지호 외 2008)에 대하여 수행되어 왔으며, 이러한 연구들은 파형강판 자체에 국한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나 전체 복합거더의 비틀림 거동에 대한 연구는 크게 부족한 상황이며, 기존의 연구(Mo et al., 2000)는 균열 발생 이후의 비틀림 거동에 대해서만 수행되었고, 슬래브가 갖는 인장 강도를 무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비틀림 발생 이전과 이후를 모두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토대로 시행오차법이 적용된 해석 알고리즘을 제작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빅 데이터를 활용한 비만 및 복부비만이 맥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Relationship of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and Pulse Pressure Using Big Data)

  • 윤영윤;김성길;신지훈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87-192
    • /
    • 2018
  • 본 연구는 국가자료인 2012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0세 이상 성인(n=5,889)에서 비만 및 복부비만과 맥압(Pulse pressure, PP)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맥압에 대한 관련변수(연령 포함)를 보정하였을 때, 여성에서는, High PP (PP >61mmHg)의 위험비가 정상 체중군에 비하여 비만군에서 1.37 (95 % CI, 1.03-1.82)로 유의하게 높았고, 복부비만이 아닌 군에 비하여 복부비만군에서 1.38배 (95% CI, 1.07-1.78)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남성에서는 비만 및 복부비만은 High PP와 유의한 관련성 없었다. 결론적으로 여성에서는 비만과 복부비만이 맥압을 증가시키지만, 남성에서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복부 근전도 분석을 통한 복부 비만 측정 시스템 (Measurement System of Abdominal Obesity based on Analysis of Abdominal Electromyogram)

  • 권장우;최흥호;이동훈;윤동업;홍준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45-52
    • /
    • 2007
  • 최근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는 비만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만 관리를 위한 측정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비만관리를 위해 복부의 근전도 신호를 분석해서 언제 어디서든 본인의 건강상태를 체크하여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측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복부 근전도 선호 분석을 위해서 에너지 검출, 신호 특징 추출, 상태 분류 및 인식 등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신호 분석 알고리즘을 측정 시스템에 적용하여 복부의 비만도 및 복부의 근력을 평가하여 건강상태에 대한 적절한 평가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HMM-GMM 방식을 이용한 복부 근전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abdominal EMG using Hmm-Gmm algorithm)

  • 권장우;김정호;김현성;윤동업;최흥호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국제감성 심포지엄
    • /
    • pp.121-124
    • /
    • 2007
  • 최근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는 비만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만관리를 위한 측정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비만관리를 위해 복부의 근전도 신호를 분석해서 언제 어디서든 본인의 건강상태를 체크하여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측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복부 근전도 신호 분석을 위해서 에너지 검출, 신호 특징 추출, 상태 분류 및 인식 등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신호 분석 알고리즘을 측정 시스템에 적용하여 복부의 비만도 및 복부의 근력을 평가하여 건강상태에 대한 적절한 평가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