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3초

국내 중년기 비만 여성의 생리적 지표에 대한 복부비만관리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Effects of an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Physiological Bio-markers of Middle-aged Women in Korea: A Meta-analysis)

  • 김경진;홍해숙;박완주;고상진;나연경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 /
    • 제25권3호
    • /
    • pp.138-148
    • /
    • 2016
  • 배경: 한국의 중년여성의 복부비만 유병률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복부비만 관리프로그램의 종류와 그 효과가 다양하고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선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중년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규명하여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학술지 392편, 학위논문 380편으로 총 772편의 논문 중 중복된 자료를 제외한 647편에서 조사연구이거나 나이에 적합하지 않거나 대조군이 선정되지 않는 등, 선정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604편을 제외하여 총 43편의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주요 비만지표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각 효과크기의 이질성에 대한 설명을 위해 메타 ANOVA와 메타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출간오류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표준화된 평균 효과크기는 0.22로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염증성 지표와 지방분포율은 각각 0.36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대사성 지표는 0.21, 신체계측 지표는 0.18로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질성은 중간 정도의 이질성($I^2=44.5%$, Q = 844.57, P<0.001)을 보였고,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여부나 출판여부에 따라 효과크기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비만 여성에 대한 건강 증진 및 복부비만 개선에 대한 중재효과를 계량적으로 분석한 점에서 복부비만프로그램 중재의 효과파악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복부비만 관리프로그램이 성인 비만여성의 식이섭취, 스트레스지수 및 복부비만율에 미치는 영향 - 복부비만감소군과 복부비만증가군의 비교를 중심으로 - (Effect of an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dietary intake, stress index, and waist to hip ratio in abdominally obese women - Focus on comparison of the WHR decrease and WHR increase groups -)

  • 이지원;유숙영;양소영;김혜숙;조성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2호
    • /
    • pp.127-139
    • /
    • 2012
  • 본 연구는 비만연구소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복부비만율 0.80 이상인 복부비만 여성 195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복부비만 감소 여부에 따라 복부비만율 감소군과 복부비만율 증가군으로 나누어 신체계측치의 변화, 식이섭취의 변화, 혈관나이, 스트레스 지수 및 건강지수의 변화를 비교 하였다. 영양소의 섭취량을 살펴본 결과,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한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 식물성 단백질, 칼륨, 비타민 A, 엽산, 식이섬유, 칼슘, 인, 비타민 $B_2$, 비타민 $B_6$, 비타민 C, 식물성지방, 철분, 나트륨, 나이아신, 비타민 E 및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영양밀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단백질, 칼슘, 인,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그리고 비타민 C의 INQ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식이섬유, 칼슘, 인, 아연, 비타민 $B_6$, 비타민 C 그리고 비타민 E의 변화율은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 더 컸으며,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식품섭취 다양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식품군별 섭취 가짓수를 비교해 본 결과,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 어패류, 두류, 견과류, 채소류 그리고 버섯류 가짓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비만율 감소군에서는 스트레스 지수와 건강지수가 유의적으로 개선된 반면 복부비만율 증가군에서는 건강지수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부비만율 변화와 영양밀도, 혈관나이, 스트레스 지수 및 건강지수 변화간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복부비만율 감소의 변화율이 높을수록 식물성 단백질, 식물성 지질, 섬유질, 칼슘, 철분, 칼륨,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_2$, 비타민 $B_6$, 비타민 C 그리고 엽산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복부비만율 증가의 변화율이 높을수록 동물성 단백질과 총 지질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스트레스 지수와 건강지수와의 관련성에서는 복부비만율 감소율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지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건강지수는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을 통해 볼 때, 영양교육과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개선 교육으로 구성된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은 식이섭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도 완화시켜 복부비만율 개선에 도움이 되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을 장기프로그램에 적용시킨 뒤 이러한 복부비만율 개선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비만 중년 남성의 비만 유형별 체질량지수와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간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Insulin Resistance and Beta Cell Function by Obesity Type in Obese Middle-Aged Men)

  • 신경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55-162
    • /
    • 2020
  • 이 연구는 비만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복부비만 유무에 따른 체질량지수와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8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 경기도 소재 종합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비만 중년 남성 7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복부비만 동반군은 327명, 복부비만을 동반하지 않은군은 470명이며, 두 군간에 공복혈당(p<0.001), HbA1c(p=0.003), 인슐린(p<0.001), HOMA-IR(p<0.001)은 차이가 있었다. 체질량지수는 복부비만 동반 유무와 관계없이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또한 체질량지수는 복부비만 동반 유무와 관계없이 인슐린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저하의 질환 발병과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중년 비만 남성의 건강관리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 수행 및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체질량지수의 지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노인의 성별에 따른 복부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 건강 및 건강행태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Abdominal Obesity by Sex among the Korean Elderly: Focusing on Health and Health Behavior Related Factors)

  • 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559-568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건강 및 건강행태 관련요인을 중심으로 성별에 따른 복부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 의해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 시행된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65세 이상 노인 중 허리둘레를 측정 한 남자 599명 (Weighted n=3,037,943), 여자 793명(Weighted n=3,840,452)이었다. 자료는 IBM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복합표본설계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한국노인은 성별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관련 요인 및 건강행태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성노인의 복부비만 비율은 38.3%, 여성노인의 복부비만 비율은 50.5%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및 건강행태 관련 요인 중 한국의 남성노인의 복부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폭음빈도, 여성노인은 주관적 건강상태가 유의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한국 노인의 복부 비만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은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요인 및 건강행태의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남성의 경우 다양한 영향요인을 고려한 폭음관리 전략이 요구되며, 여성의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복부비만의 원인 분석 및 관리방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비만관리 교육을 포함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비만여성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n Aquatic Exercise Program with Obesity Management Education on Physical Function of Obese Women in Community)

  • 김종임;박주아;김지영;이리나;전혜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67-274
    • /
    • 2019
  • 본 연구는 비만관리 교육을 통해 비만에 대한 지식이 선행된 상태에서, 실천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비만여성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 A보건지소의 건강교실에서 참여를 희망한 자로 51세에서 79세의 비만여성 20명이 8주 동안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비만관리 교육이 포함된 수중운동 프로그램은 주 2회, 20분 동안 비만관리 교육과 60분의 수중운동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총 120분으로 구성되었다. 비만관리 교육은 신체활동 실천과 식이섭취 교육에 중점을 두어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8주간의 비만관리 교육을 포함한 수중운동 프로그램 후 비만여성의 복부둘레, 체중, 체질량 지수가 감소되었고(p<.05, p<.001,p<.001), 악력이 증가되어(p<.05), 비만감소와 근력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시 연구 대상자의 수를 늘리고, 대조군을 갖춘 실험설계 연구와 대상자가 직접 참여하고 주도하는 참여형 비만관리 수중운동 프로그램으로 개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속적인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중년여성의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 효과 (A Study on the Effects of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in Middle Aged Women)

  • 윤영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63-37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in food attitude and food habit, body composition(body fat ratio, body fat weight, lean body mass, total body water), abdominal girth(waist, hip, thigh), and serum lipid level(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triglyceride, phospholipid, NE fatty acid, high density lipoprotein) of middle aged women.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July 4 to August 25, 2000. The study objects were 20 middle aged women(10 controls and 10 experimental objects) from 40 to 50 years old who had body fat ratio more than $30\%$ and waist girth more than 80c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milarity tes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rocessed by serum HDL level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t=3.25, p=0.004), but that processed by age, body weight, body fat ratio, body fat weight, lean body mass, total body water, waist girth, hip girth, thigh girth, cholesterol level, LDL level, triglyceride level, NE fatty acid level, food attitude and food habit sco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p>0.05).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two groups are similar in the sample distribution. 2. The effects of the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The obtained results indicate that the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in middle aged women changes the food attitude & the food habit. decreases the body fat ratio & the body fat weight and increases the lean body mass, and decreases the girth of waist & hip and the serum level of cholesterol & LDL.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can be applied for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the body fat weight and abdominal obesity.

  • PDF

영양교육과 운동을 병행한 프로그램이 중등도비만여성의 비만도와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n Obesity Index and Behavioral Modification in Moderate Obese Women)

  • 장명희;정수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8-33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12주 동안 성인 여성 중 체지방률 40% 이상 또는 BMI 30 이상인 여성을 대상으로 37차시의 비만관리 프로그램일환으로 영양교육과 운동중재를 병행 실시하여 대상자의 식습관 및 운동 습관 조사, 신체성분과 식이섭취와 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4.8세였으며 참여자의 55%가 폐경이었다. 2. 체중조절 관심도 변화에서 체중 조절 방법은 식사조절과 운동이 프로그램 참여 전 34.4%에서 프로그램 후 37.5%로 증가하였다(p<0.01). 3. 신체활동 변화에서 중등도 신체활동을 10분 이상 한날은 프로그램 참여 전 3.20일에서 프로그램 후 4.25일로 증가하고, 스트레칭 등 유연성 운동을 한 날은 프로그램 참여 전 2.60일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 3.85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4. 바른 식습관 점수 변화는 프로그램 참여 전 4.15점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 7.10점으로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였다. 5. 에너지 및 다량 영양소 섭취는 프로그램 전후간 차이는 없었으나 식이섬유(p<0.01), 철, 칼륨, 비타민A, 비타민 $B_6$, 나이아신의 섭취는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6. 혈압과 혈액 생화학적 특성 지표인 TC, 공복혈당 및 TG는 프로그램 참여 전후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7. 영양교육과 운동 프로그램 종료 후 체중, 체지방률, 복부둘레 및 내방지방 수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근육양과 신체발달 점수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중등도 비만여성에서 12주간 영양교육과 운동 중재 프로그램 실시는 식사의 질을 향상시키고 바림직한 식습관의 변화를 유도하였으며 비만도는 감소하면서 근육양이 증가하여 요요현상이 없이 비만관리 프로그램 교육 내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향후 장기적인 비만의 지속관리와 체계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양한 종류의 특수영양식품을 적용한 상업성 체중관리 프로그램과 1300 kcal의 조절식단을 적용한 체중관리프로그램의 복부 지방율의 변화량과 비만도 및 건강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

  • 구선영;김상연;박민정;김인혜;장유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3.2-424
    • /
    • 2004
  • 최근 들어 국내에서는 체중조절이 사회적인 문제로 다루어질 만큼 커다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에 체중조절을 시도하는 사람들의 급속한 증가와 아름다워지려는 여성들의 요구에 의해 무분별한 다이어트가 시행되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이와 관련된 상업성 다이어트 업체들도 현저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특정 다이어트제품의 비만도(body mass index; BMI (kg/$m^2$)의 감소에 따른 효능평가에 관한 연구는 보고 되고 있으나 건강 위험인자의 개선에 대한 효과 평가는 미흡한 실정이다.(중략)

  • PDF

과체중 및 비만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체중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Weight Management Program for Overweighted or Obese Office Workers)

  • 한세리;유옥경;변문선;박태선;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608-1617
    • /
    • 2013
  • 본 연구는 과체중 및 비만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체중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체중감량 및 체지방의 감소, 혈액생화학적 변화, 영양지식 및 운동 능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라북도 내 공공기관의 BMI 23 이상 과체중 및 비만인 직원 39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여 6개월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자그룹에서 삼두근 피부두겹 두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남녀 그룹 모두에서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액 생화학적 검사에서는 남자그룹에서 총콜레스테롤(P<0.05)과 LDL-콜레스테롤(P<0.01)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복부 컴퓨터단층촬영 결과에서는 남자그룹에서 복부피하지방조직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1), 영양소 섭취 조사결과 여자 그룹에서 철, 비타민 B2와 나이 아신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영양지식 점수는 남자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운동능력 검사에서는 근지구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직장인들의 건강증진뿐만 아니라 근무 능률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업장에도 건강 및 비만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교육 후에도 비만개선의 긍정적인 변화가 지속될 수 있도록 근로 현장과 국가차원의 프로그램이 개발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