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근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3초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발목관절 각도에 따른 근 수축이 내측 비복근의 근 구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scle Activity on Muscle Architectural of Medial Gastrocnemius in Chronic Stroke Patient Based on Ankle Joint Degree)

  • 김태곤;배세현;김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991-399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발목관절 각도에 따른 근 수축이 내측 비복근의 근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MAS(modified Ashworth scale) 2등급인 만성 뇌졸중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근육 두께, 우모각, 근섬유속 길이,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MVIC) 측정은 초음파 영상 촬영장치와 동력계로 이완 시(resting)와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 시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근육 두께는 마비측이 정상측에 비해 유의하게 얇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발목이 저측굴곡 될수록 얇아짐을 알 수 있었다. MVIC에서는 이완 시보다 근육 두께가 유의하게 얇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우모각은 마비측이 정상측에 비해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발목이 저측굴곡 될수록 커짐을 알 수 있었다. MVIC에는 이완 시보다 우모각이 유의하게 커짐을 알 수 있었다(p<.001). 근섬유속 길이는 마비측이 정상측보다 유의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발목이 저측굴곡 될수록 짧아짐을 알 수 있었다. MVIC에는 이완 시보다 근섬유속 길이가 유의하게 짧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본 연구를 통해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발목 각도에 따른 근 수축이 내측 비복근의 근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만성 뇌졸중 환자의 영상구조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은 임상적 진단과 치료에 매우 유용한 자료라 생각된다.

저항성훈련이 흰쥐 골격근의 GLUT-4 단백질 및 LDH 동위효소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on Skeletal Muscle GLUT-4 Protein and LDH Isozyme Expression in Rats)

  • 김연희;이상학;김종오;서태범;김영표;백경아;윤진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32-1540
    • /
    • 2011
  • 본 연구는 7주령의 S D계 흰쥐를 이용하여 12주 동안의 사다리 오르기 저항성 운동 수행 후 가자미근과 비복근 내 GLUT-4 발현량 및 LDH 동위효소들의 변화를 측정하여 당 대사 및 젖산 기전에 대한 연구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2주간의 사다리 오르기 저항성 운동은 체중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자미근 및 비복근 조직 GLUT-4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자미근 및 비복근 조직 LDHA B-type 동위효소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2주간의 저항성훈련은 체중의 감소와 골격근 내 GLUT-4의 증가 그리고 LDH A4 동위효소를 제외한 LDH B-type 동위 효소의 증가와 같은 신체조성의 균형과 당대사능력 및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휴식시간이나 운동 강도의 차이와 근형태별에 따른 유 무산소적 저항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에 따른 다양한 연구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복근 지구력 평가 도구로서 등척성 수축 후 버티기 방법의 타당성 비교 검증 (Testing for validity of isometric muscle endurance test as an abdominal muscular endurance evaluation methods)

  • 박순태;허성훈;이장규;이종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815-827
    • /
    • 2014
  • 본 연구는 복근의 정적 지구력 평가 도구로서의 등척성 버티기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최적의 적용 각도를 결정해내기 위해 수행되었다. 92명(남 68명, 여 24명)의 피험자가 자발적으로 실험에 참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산소 역량과 근지구력 역량 사이의 상관성은 남성에서보다 여성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등척성 버티기의 수행 시간과 윗몸일으키기의 반복 횟수 사이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40도의 경사도를 적용 시 30도 및 50도와 비교해 근지구력과의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복근지구력의 평가 도구로서의 등척성 버티기 방법이 요부의 잠재적 상해 위험을 지닌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윗몸일으키기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적용 시 40도의 각도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서로 다른 연령 및 체력 상태에 따른 최적의 적용 각도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할 것이다.

하중운반체계의 동역학적 연구

  • 서국웅;이창민;김정태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7-123
    • /
    • 1998
  • 본 연구는 하중운반 보행시 지면반력에 미치는 하중운반체계의 효과에 관한 생체역 학적 연구로써 지면반력기, EMG system등을 이용하여 동역학적인 분석을 하였다. 피실험자는 2명이며, 무부하시와 하중운반시 지면반력의 동역학적인 변화, 근육의 활동전위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20kgw, 30kgw의 하중운반 체계에서 비효율적인 보행동작으로 나타났으며, 30kgw의 운반체계는 지면에 큰 충격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비복근, 전경골근, 내측광근, 외측광근의 활동전위는 부하의 증가에 따라 크게 나타았으며, 전경골근의 경우는 20kgw의 등 뒤쪽 부하시 활동전위가 감소되었다.

  • PDF

문서 자동 분류기의 구현을 위한 문서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Method of Documents for Implementation of Automated Documents Classificator)

  • 선복근;이인정;한광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01-1004
    • /
    • 1999
  • We study on machine learning method for automatic document categorization using back propagation algorithm. Four categories are classified for the experiment and the system learns with 20 documents per a category by this method. As a result of the machine learning, we can find that a new document is automatically classified with a category according to the predefined ones.

  • PDF

신경근 전기자극의 사전적용이 위축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Pre-application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Atrophic Muscle Function)

  • 강종호;김용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691-69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수 기간 중 적용한 신경근 전기자극의 사전 적용이 흰쥐 뒷다리 근육의 무게와 후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25마리의 Sprague-Dawley계 흰쥐를 14일 동안 현수한 HLS군(n=5)과 14일 동안 자유롭게 사육한 WB군(n=5), 현수 기간 중 14일간 사전 전기자극을 실시한 ES14군(n=5), 현수 기간 중 11일간 사전 전기자극한 ES11군(n=5), 현수 기간 중 7일간 사전 전기자극한 ES7군(n=5)에 무작위 배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HLS군과 ES7군에서 비복근의 근무게, 후지 활보장의 유의한 감소와 외향각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고, ES14군과 ES11군에서 비복근의 근무게와 후지 활보장, 외향각이 유의하게 유지되었음을 관찰하였다. 즉, 14일 및 11일의 사전 신경근 전기자극이 근위축 지연과 근기능 보존에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근위축 예방 및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신경근 전기자극을 가능한 조기 적용해야함을 알려주고 있다.

추간판이 물리적 자극의 수용기 역할을 하는 경우 기립 상태에서 복압 및 복근의 역할이 척추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bdominal Muscle and Pressure on the Spine Stability during Upright Stance Posture - For the Case where Intervertebral Disc Plays the Role of Mechanoreceptor)

  • 최혜원;김영은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5-122
    • /
    • 2011
  • Recently, we have proposed a hypothesis that spinal structures have a stress sensor driving feedback mechanism, In the human spine, spinal structure could react to modify muscular action in such a way so as to equalize stress at the disc, therefore reduce the risk of injury, In this analysis, abdominal muscle and abdominal pressure,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previous study, were added to identify those effects in spine stability during upright stance posture for the case where the intervertebral disc plays the role of mechanoreceptor, The musculoskeletal FE model was consisted with detailed whole lumbar spine, pelvis, sacrum, coccyx and simplified trunk model. Muscle architecture with 46 local muscles containing paraspinal muscle and 6 rectus abdominal muscles were assigned according to the acting directions. The magnitude of 4kPa was considered for abdominal pressure. Minimization of the nucleus pressure deviation and annulus fiber average tension stress deviation was chosen for cost function. Developed model provide nice coincidence with in-vivo measurement (nucleus pressur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existence of co-activation of abdominal muscle and abdominal pressure. Antagonistic activity of abdominal muscle produced stability of spinal column with relatively small amount of total muscle force. In contrast to the abdominal muscle, effect of abdominal pressure was not clear that was partly depending on the assumption of constant abdominal pressure.

전신진동 운동 시 스쿼트 형태에 따른 하지근육의 근활성 효과 분석 (Analysis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ation According to Squat Type during Whole-Body Vibration)

  • 이대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371-376
    • /
    • 2018
  • 본 연구는 전신진동 자극시 스쿼트의 형태에 따른 하지근육의 근활성 효과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를 규명하고 효율적인 운동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정형외과적 질환이 없는 건강한 20대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똑바로 선자세, 슬관절을 90도, 120도 굴곡시킨 일반적인 스쿼트 자세와 뒷꿈치를 들어 올린 혼합 스쿼트 자세의 진동자극 시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근활성도는 외측비복근, 전경골근, 외측광근, 대퇴이두근에 근전도 전극을 부착한 후 RMS를 구하여 비교하였으며 진동 자극의 강도는 각 자세에서 볼륨 50, 80, 주파수 10, 25, 40Hz를 혼합하여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외측비복근과 전경골근 외측광근에서 자세별 근활성도의 차이가 나타났고 뒷꿈치를 들어올린 자세에서 근활성 효과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신진동 자극 시 스쿼트 자세와 강도에 따라 근활성 효과에 차이가 있으며, 운동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목표 근육에 따라 다양한 자세와 강도가 적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서로 다른 식이 섭취와 일회 지구성 운동 후 쥐 골격근 내 AMPK와 MAPK 발현 (The effect of different dietary on expression of AMPK and MAPK in rat muscle after a bout endurance exercise)

  • 어수주;김효식;이미숙;김종규;이종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7-408
    • /
    • 2012
  • 요약은 이 연구는 다양한 식이 섭취와 일회 지구성 운동으로 야기되는 근육(백색 비복근) 내 AMP-activated protein kinase(AMP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ERK 1/2)와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MAPK)의 신호전달체계를 구명해 보고자 실시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쥐(Sprague-Dawley)는 총 160마리로 크게 일반 탄수화물 식이(CHO; 40마리), 포화지방 식이(SAFA; 40마리), 단일불포화 식이(MUFA; 40마리)와 다불포화 식이(PUFA; 40마리)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일회 지구성 운동으로 30분 운동 후 5분 휴식의 사이클을 지속적으로 6번 반복하여 총 3시간의 지구성 수영 운동을 실시하였고, 분석을 위한 조직 샘플링은 운동 전, 운동 후 0시간, 1시간, 4시간, 24시간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서로 다른 식이 섭취와 운동에 따른 AMPK의 신호전달 단백질의 발현은 유의한 치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서로 다른 식이를 섭취한 쥐의 근육에서 ERK 1/2(p<.01)와 p38 MAPK(p<.001)의 신호전달 단백질의 발현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흥미로운 결과는 운동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AMPK, ERK1/2와 p38 MAPK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일회 지구성 운동보다 서로 다른 식이의 섭취가 근육 내(백색 비복근)의 대사적 변화를 일으키는데 주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 PDF

선호손과 발에 따른 제자리 회전 후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stability of handedness and footedness preference after rotation in place)

  • 박준성;우병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07-51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좌우 방향의 회전 후 직립자세 시 압력중심과 근전도 분석을 토대로 회전선호도가 신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오른쪽 손과 발의 편측선호도가 높은 대상자 16명으로 3가지 회전방향 조건(QS: 직립자세, LT: 왼쪽 10바퀴, RT: 오른쪽 10바퀴)을 수행하였다. 회전 후 직립자세 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압력측정판과 근전도를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모든 압력중심 변인은 QS보다 LT, RT가 크게 나타났지만, 회전방향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근전도 결과는 좌우 비복근에서 회전방향에 따라 RT가 QS보다 근활성도가 크게 발생되었다. 결론적으로 대상자가 모두 오른쪽 측면선호도가 높았지만 압력중심에서는 회전선호도의 영향이 없었고, 비복근에서는 회전선호도의 영향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