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근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7초

People Inside - 송복근 지회장(경기도지회)

  • 장성영
    • 월간양계
    • /
    • 제49권8호
    • /
    • pp.118-120
    • /
    • 2017
  • 지난 5월 경기도지회장 이취임식을 통해 송복근 신임 지회장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송복근 경기도지회장을 만나 지금까지의 활동과 앞으로 도지회 운영에 대해 들어보았다.

수직점프 동작시 근육길이와 수축속도 변화 (Muscle Length and Shortening Velocity Changes during the Different Types of Vertical Jumps)

  • 채원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1-172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각기 다른 수직 점프 동작 시 근육의 길이와 근육의 수축속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피험자의 운동학적 변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2대의 고감도 카메라를 (60 Hz, Panasonic AG455) 사용하여 점프 동작을 촬영하였다.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 중간광근, 대퇴이두근(단두), 내측과 외측 비복근의 길이와 근수축 속도는 Brand et al. (1982)에 의해 제시되어진 하지근 기시 정지점의 3차원 좌표값과 동작분석을 통한 하지 분절간의 회전 및 변환행렬을 사용하여 측정되어졌다. 일반적인 근육 길이와 수축속도의 변화 형태는 각기 다른 점프간에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상승기 초기에 대퇴사두근의 길이가 최대인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은 공중 동작이 발생하는 시점에 근의 길이가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육의 길이 변화 범위는 대퇴직근이 35.9에서 47.5 cm, 외측광근이 29.4에서 38.8 cm, 중간광근이 31.5에서 38.0 cm, 내측광근이 30.9에서 38.6 cm, 대퇴이두근이 21.3에서 39.1 cm, 외측비복근이 31.4에서 33.5 cm, 내측비복근이 30.5에서 33.2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SQ와 CMJ에서는 대퇴사두근의 최대 단축성 수축 속도와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의 최대 신장성 수축이 공중동작이 발생하기 바로 전에 이루어졌다. 대퇴사두근의 최대 신장성 수축과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의 최대 단축성 수축은 일반적으로 피험자가 착지하는 순간에 발생되어졌다. 그러나 HJ와 DJ에서는 대퇴사두근의 최대 신장성 추축과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의 최대 신장성 수축이 하강기 초반에 발생되어졌다.

Warming up 운동과 Tongue-stretching 운동 시 복근 활성도의 비교 (Abdominal Muscle Activity during Warm-up (Head to Toe) Exercise Compared to Tongue-stretching Exercise)

  • 김미선;황병용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35-542
    • /
    • 2010
  • 연구의 목적 : 건강한 20대 성인 남녀에게 복부 강화 운동의 하나인 warm-up (head to toe)와 tongue-stretching 운동 시 복근의 근 활성도를 비교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 : 본 연구는 12명의 건강한 20대 성인 남녀(남 5, 여 7)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6세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복근에 sEMG 도자를 부착하여 두 운동 적용 시 복부 근활성도에 대한 남녀의 차이와 개별 운동 시 각 근육간의 근활성도 차이를 SPSS 1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두 운동 적용 시 global 근육과 local 근육간의 비율을 1이라 가정하고 기여도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 운동을 적용 시 남녀의 차이는 없었다. 2) 두 운동 적용 시각 근육간 근활성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배속빗근(internal oblique)는 차이를 보였다. 3) 두 운동 적용 시global 근육과 local 근육간의 비율은 배곧은근(rectus abdominis)과 배속빗근과의 비율은 3으로 배속빗근이 배 곧은근의 근활성도 보다 컸음을 보였으며, 배바깥빗근(exernal oblique)과 배속빗근과의 비율은 약 1.5로 배속빗근의 활성도가 컸다. 연구의 결론 : 복부 강화 운동의 하나인 warm-up과 tongue-stretching 운동을 적용 시 복근의 활성도를 비교한 결과에서 보여주듯이 local 근육 강화 운동 시 두 운동의 효과를 향후 분석하여 요통환자와 같이 복부 강화가 필요한 환자의 프로그램에 적용되어져 할 것이다.

교합장치물이 두경부 자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 Interocclusal Appliance on Head and Neck Posture)

  • Eun-Ha Kim;Keum-Back Shin;Ik-Jun L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9권2호
    • /
    • pp.81-97
    • /
    • 1994
  • 두개하악장애는 환자의 신체적 소인, 관련조직의 구조적 변화, 정신적 스트레스 등의 복합적 요인에 의 발생하는 다인성 질환으로 최근 대두되는 원인중의 하나가 신체, 특히 두경부의 자세이상이다. 비정상적인 두경부자세는 하악의 위치변화를 수반하여 종종 두개하악장애를 야기시키게 되나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과학적 증거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는 두경부 자세가 교합장치물에 의해 변화되는지를 저작근의 근전도학적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21세에서 26세의 치과대학생으로 치아상실 및 교합간섭이 없고 두 개하악장애의 증후 및 경부운동제한을 가지지 않은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각도계를 사용하여 시상면상에서 인위적으로 유도한 세 가지의 두경부자세변화 (0$^{\circ}$, 30$^{\circ}$ 굴절, 45$^{\circ}$ 신전)에 따른 교합안정장치의 장착(1시 간) 전후 및 안정위와 근접촉위(초기치아접촉위)에서의 두경부 근육(측두근, 교근, 악이복근)의 근전도를 Bioelectric Microprocessor EM2ⓡ를 사용하여 측정한 후 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석,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합안정장치 장착전 하악 안정위 및 근접촉위에서 두부의 30$^{\circ}$굴절은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45$^{\circ}$신전은 교근 및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켰다.(p<0.05) 2. 교합안정장치 장착후 하악 안정위에서 두부의 30$^{\circ}$굴절은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45$^{\circ}$신전은 교근 및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켰으며, 하악 근접촉위에서 두부의 45$^{\circ}$신전은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켰다(p<0.05). 3. 교합안정장치 장착 전후 및 두부의 30$^{\circ}$굴절, 45$^{\circ}$신전에 따른 측두군 및 교근의 하악 근접촉위에서의 근활성도가 안정위에서의 근활성도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p<0.05).

  • PDF

S.O.T CATEGORY II BLOCKING이 복근지구력과 어깨 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CROOCCIPITAL TECHNIQUE CATEGORY II BLOCKING ON ABDOMINAL MUSCLE ENDURANCE AND SHOULDER PAIN)

  • 신원선;조일영;김가은;박순권;차경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551-558
    • /
    • 2012
  • 본 연구는 카이로프랙틱 기법 중 누운 자세에서 시술되어지는 S.O.T category II 골반 블록 중재가 골반의 불안정으로 인한 기울어짐을 회복시킴으로써 이에 따른 어깨통증을 줄이고 복근의 지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 실험을 위해 엉치엉덩관절의 불안정을 가지고 있으며 허리의 통증이 있는 총 50명의 참여자가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 25명씩 무작위 할당되었다. 실험군은 category II 블록 중재를 받았고, 대조군은 거짓블록 중재를 받았으며, 이들 두 집단을 통해 중재 전, 중재 후, 그리고 중재 2주 후에 복근지구력과 어깨통증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O.T category II 골반 블록 중재 후 실험집단에서 복근지구력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중재가 끝난 2주 후에도 유지 되었다. 또한 어깨통증의 경우에도 실험집단에서 통증의 감소를 보였으며 역시 중재가 끝난 2주 후에도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S.O.T category II 골반 블록 중재는 골반의 안정성을 유도하여 복근지구력을 증진시키고, 어깨통증을 감소시키며 중재 후에도 지속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 골반의 불안정성이 원인이 되는 어깨통증이나 복근지구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중재법으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방향센서를 이용한 복근운동 애플리케이션 (Abdominal Exercise Application using Direction Sensor)

  • 조재현;배혜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415-417
    • /
    • 2013
  • 기존 복근운동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은 윗몸일으키기에 한해 횟수를 세서 기록해 주는 앱들이 많이 개발 중이다. 윗몸일으키기가 대중화되어 있긴 하지만 자칫 복근이 아닌 허리힘으로 상체를 들어 올릴 때 부상의 위험이 크다. 또한 뒷머리를 손으로 당겨서 목이 과도하게 숙여지게 운동 할 때 목 디스크 유발에도 지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손은 귀 옆에 데고 허리는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게 허리 위 상체만 들어 올리는 크런치 운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방향 센서에 의한 횟수를 기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 PDF

운동부하시 흰쥐 호흡근의 당원 대사 (The Charateristics of Glycogen Metabolism of Diaphragm in Rats)

  • 남복현;김은정;이석강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46-52
    • /
    • 1997
  • 생리적 특성이 독특한 횡경막의 운동시 당원이 용양상과 운동 후 경구 투여한 당이 당원으로 재축적되는 과정을 적색비복근과 비교하여 횡경막의 생리적 특성의 일단을 규명하고자 시도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조군에서 횡경막의 당원농도는 적색비복근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운동군에서 운동부하 첫 1시간에 횡격막의 당원농도는 약 1/2로 감소하였고 그 후 지속되는 1시간동안에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적색비복근의 당원농도와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당원 감소속도를 분석한 결과 횡격막이 적색비복근보다 빠른 경향을 보였다. 횡격막의 당원 재축적량 및 재축적속도를 분석한 결과 운동부하군에서 최대축적량은 적색비복근보다 낮았으며 재축적속도는 대조군에서는 양근에서 비슷하였으나 운동부하군에서는 적색비복근이 빨랐다. 당투여에 의한 골격근의 당원축적은 주로 근원섬유사이에 분포함을 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횡격막은 운동부하시 당원의 소모는 비교적 빠른 경향이었으나 당투여에 의한 재축적은 느린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