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호자의 위치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5초

치매환자의 모니터링 서비스 모델 연구 (Monitoring Service Model of Dementia Patients)

  • 조영복;우성희;이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48-651
    • /
    • 2014
  • 이 논문에서는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 인한 노인성 치매 환자를 위한 헬스케어 서비스 연구에 대한 동향을 소개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사회복지정책이 미비한 상태이기 때문에 치매환자의 가출 및 실종 사건이 증가하고 있고 보호자에게 환자 보호를 위해 많은 노력을 요구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치매환자를 위한 모니터링 서비스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웨어러블 센서를 부착하고 환자의 이동성을 모니터링 함으로 보호자로 하여금 환자의 위치 추적이 가능한 모니터링 서스템을 통해 환자의 안전성을 제공한다.

  • PDF

매복된 중절치의 재식 (SURGICAL REPOSITIONING OF AN IMPACTED INCISOR IN MIXED DENTITION)

  • 최수미;이긍호;최영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87-692
    • /
    • 2005
  • 매복치는 인접치의 이동 및 치근흡수, 악궁의 공간상실, 치성낭종 형성, 부분맹출에 의한 감염, 전위맹출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매복치의 발육상태, 모양 매복된 위치나 각도에 따라 발치, 외과적 노출 및 교정적 견인, 재위치 및 치아이식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좌측 중절치의 맹출장애를 주소로 본과에 내원한 환아로, 내원 당시 상악 좌측 중절치는 치조골 내에서 정상적인 맹출 경로를 이탈하여 역위 매복되어 있었다. 역위된 정도를 고려했을 때 외과적 견인 및 노출을 이용한 교정적 처치를 수행하기보다는 재식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치아를 발거하여 치근 부위의 치낭이 건전함을 확인하고 정상적인 치조와 내로 재식한 후 resin-wire splint로 1주일간 고정하였다 치아의 생활력이 건전하고 치근형성이 미약하여 치수에 퍼한 처치는 하지 않았으며 그 후 일년 동안 주기적인 관찰을 시행하여 치근의 성장이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매복된 영구치의 매복된 위치나 각도가 정상 범주에서 지나치게 벗어나 예후가 불확실하더라도 무조건 발치하기보다는 환자와 보호자의 심리적인 면, 저작기능,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더욱 보존적인 시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환자에게 주입된 18F-FDG 의한 선량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ose Assessment by 18F-FDG injected into Patients)

  • 김창주;김장오;정근우;신지혜;이지은;전찬희;민병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67-475
    • /
    • 2020
  • 본 연구는 PET 검사 중 방사성의약품인 18F-FDG에 대한 선량을 평가하여 환자와 보호자의 방사선에 대한 불안감을 완화하고, 의료기관 인력 및 공간 확보 문제, 건강검진으로 인한 무분별한 검사 진행을 최소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선량평가는 방사선조직가중치 중 높은 조직 세 부위인 경부(갑상선), 흉부(심장), 하복부(생식선) 위치에 열형광선량계(TLD)와 전자개인선량계(EP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GM 계수기와 전리함을 이용하여 공간선량률과 소변에서의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선량계인 TLD는 경부에서 0.0425±0.0277 mSv, 흉부에서 0.0485±0.0386 mSv, 하복부에서 0.0485±0.0436 mSv 측정되었고 방사선 민감도에 따른 심부선량 차이는 거의 없었다. EPD는 경부 위치에서 직후 0.942±0.141 mSv/h, 120분 후 0.192±0.031 mSv/h로 측정되었다. 흉부 위치에서 직후 0.516±0.085 mSv/h, 120분 후 0.128±0.040 mSv/h로 측정되었다. 하복부 위치에서 직후 0.468±0.091 mSv/h, 120분 후 0.105±0.021 mSv/h로 측정되었다. GM 계수기에서 공간선량률은 직후 0.041±0.005 mSv/h, 120분 후 0.014±0.002 mSv/h로 측정되었다. 전리함을 이용한 소변 내 방사능은 60분 후 0.113±0.24 MBq/cc, 120분 후 0.063±0.13 MBq/cc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18F-FDG를 투여하고 PET 검사가 끝나는 2시간 후 선량 재평가를 하고 귀가 시점을 정하도록 해야 하며 보호자와의 접촉도 피해야 한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충분한 설명과 함께 피폭선량 예상 값을 제공하여 무분별한 검사를 지양해야 하도록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실측 실험한 데이터를 통해 환자와 가족들이 방사선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를 바라며, 방사선 종사자의 피폭관리 시스템과 제도적 개선을 통해 의료방사선 발전에 힘이 되리라 기대한다.

영상처리 기반 재활 환자의 헬스케어 개선을 위한 낙상예방 프로그램 개발 : 예비연구 (Development of Fall Prevention Program for Improvement of Healthcare in Rehabilitation Patients Based on Image Processing : A Preliminary Investigation)

  • 강소라;윤중대;유진원;나창호;허성진;김예순;문종훈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887-896
    • /
    • 2018
  • 본 예비연구는 낙상예방 프로그램이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중재 전, 인천에 위치한 I병원에 입원하여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 190명의 낙상발생빈도를 확인하였다. 낙상의 원인은 환자 보호자 및 치료사의 부주의, 치료사의 업무 부담의 가중, 침상의 높이, 보호자의 부재와 같은 치료실 환경의 문제로 나타났다. 저자들은 PDCA 모델을 통하여 문제점을 인식한 후 낙상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낙상예방 프로그램의 구성은 낙상예방교육 동영상을 제작하여 환자 및 보호자에게 교육하였고, 환경개선 및 치료사교육을 2개월 간 수행하였다. 중재 후, 낙상 발생률의 분석은 2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낙상발생률은 중재 전과 비교하여 통증치료실은 34.1~66.7%가 줄었으며, 운동/작업치료실은 21.3~40.8%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낙상예방 프로그램이 입원환자의 낙상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낙상예방 모델 중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위에서 발생한 선-편평세포암종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Stomach)

  • 조용권;안지영;홍성권;최민규;노재형;손태성;김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1호
    • /
    • pp.31-35
    • /
    • 2006
  • 배경: 위암은 조직학적으로 선암종이 가장 흔하며 선-편평세포암종은 전체 위암의 0.5%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선-편평세포암종의 발생기전 및 임상병리학적 특성에 대하여 명확히 알려진 것이 없으며 치료 방법 역시 명확히 정립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원에서 체험한 선-편평세포암종을 정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9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수술 받은 8,268명의 환자 중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선-편평세포암종으로 확진된 8명의 환자를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남자가 5명, 여자가 3명이었으며 중앙 연령은 49 ($41{\sim}69$)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중부가 3명, 하부가 5명이었고 크기는 평균 6.2 ($2.5{\sim}8cm$)였다. 병기는 UICC 분류상 II기가 5명, III기가 2명, IV기가 1명이었으며 조직 검사상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경우는 7명에서 관찰되었고 전이 림프절 개수는 평균 3.7 ($1{\sim}14$)개였다. IV기 환자 1명은 위절제술을 시행하지 못하고 위-공장우회술만 시행하였고 수술 후 5개월만에 사망하였다. 근치적 위절제술과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한 6명의 환자들의 중앙 생존 기간은 34 ($12{\sim}66$)개월이었으며 1명은 경과 관찰 중 손실되었고 2명은 수술 후 각각 30개월과 34개월에 재발로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4명은 재발의 증거 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결론: 위에서 발생하는 선-편평세포암종도 선암종과 마찬가지로 림프절 절제를 포함한 근치적 위절제술과 함께 술 후 보조 항암 화학 요법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X>$1,000{\mu}g$을 1개월 간격으로 $5{\sim}6$회 근육 주사하면 정상 혈중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사료된다. 실험동물모델의 신경연접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신경연접의 형태적 가소성을 이해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된다.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척도(r=-.341, p=0.036)는 보호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점수가 낮았다. 5) 사회적 관계 영역(영역 3)과 관련 있는 요인은 없었으나, 하부척도 중 성적활동 척도는 교육년수가 길수록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r=0.344, p=0.037). 6) 환경 영역(영역 4)은 교육년수가 길수록 점수가 높았지만(r=0.482, p=0.003), 환아의 나이가 많을수록 낮은 삶의 질 수준을 보고하였다(r=0.328, p=0.044). 한편 하부 척도 중에서는 신체적 안전 척도(r=-0.414, p=0.010), 거주환경 척도(r=-0.429, p=0.007), 새로운 정보나 기술의 취득 척도(r=-0.382, p=0.018), 의료서비스 및 사회보장서비스 척도(r=-0.351, p=0.031)가 환아의 나이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체적 안전척도는 보호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삶의 질이 낮음을 보고하였다(r=-403, p=0.012). 한편, 새로운 정보나 기술의 취득척도(r=0.406, p=0.013), 여가활동 척도(r=0.464, p=0.004), 교통 척도(r=0.363, p=0.027)은 교육연수가 길수록 높은 점수를 보고하였다. 결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아의 보호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삶의 질은 건강대조군에 비해 나쁘지 않았다. 그러나 환아의 나이가 많을수록, 보호자의 교육연수가 낮을수록 스스로 느끼는 삶의 질의정도가 낮았으므로 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 PDF

위치기반 영역 설정 방법 및 이탈 검출의 최적화 기법 (Location-based Area Setup Method and Optimization Technique for Deviation Detection)

  • 최재현;임양원;임한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9-28
    • /
    • 2014
  • 최근 IT산업의 발전은 우리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만들어주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GPS를 이용하여 개인의 위치를 검출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긴급구조기관 등에서 적극 활용하려 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이러한 방식은 임의의 반경 영역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해당 영역이 설정된 공간에 진입하거나 이탈하였을 경우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보호자나 관제기관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특정 길, 놀이동산과 산행 등 정형화되지 않은 공간 및 경로에 대해서는 기존의 반경 영역을 생성하는 방식을 사용할 경우 세부적인 영역 설정이 어려웠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기기나 웹에서도 세부적인 영역을 쉽게 설정하기 위해 기존 서비스에서 이용하는 반경 방식을 개선하여 반경과 반경 사이를 연결하여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하는 위치 기반 영역 설정 방법 및 이탈 검출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연산 과정에서 연산 결과를 비교하여 자원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실내위치기반 치매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mentia Patient Ca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door Location Using Bluetooth Beacon)

  • 권대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217-22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배회가능성이 있는 치매환자의 실종예방을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형식의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치매환자의 실내위치기반 모니터링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은 치매환자의 관리범위내 존재유무를 확인해 주며 치매환자가 비콘의 신호수신 설정거리를 이탈하면 즉, 지정된 관리구역을 벗어나면 비상메시지가 보호자와 관리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주요 특성은 비콘을 착용한 치매환자를 특정장소에 설치된 비콘 신호수신용 스마트 기기(AP)에서 신호를 감지하여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가역적 방법을 적용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실내위치기반 치매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요양병원, 재가요양시설 등에서 생활하는 배회가능성이 있는 치매환자의 실종예방에 기여하는 효과적 시스템으로 생각된다.

네트워크 CCTV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동한 이동체 추적 시스템 (Moving Object Tracing System using Network-connected CCTV and Smartphone)

  • 임승균;이상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19-52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CCTV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동한 이동체 추적 시스템을 소개한다. 긴급 상황 발생 시 신고자의 단말기는 GPS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중앙 서버로 전송한다. 중앙 서버는 신고자 위치를 위험지역으로 저장하고 신고자 촬영이 가능한 CCTV를 선택하여 추적촬영 명령을 한다. 동시에 보호자 및 유관기관에 신고자의 CCTV영상을 전송하여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게 한다. 신고자가 주변 및 목적지의 위험 여부를 알고 싶을 때 중앙 서버에서 위험지역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신고자 스스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동맥관 개존증 개에서 색전 코일의 중재적 시술 후 발생한 폐성 고혈압 (Pulmonary Hypertension in a Dog after Embolic Coil Placement for Interventional Occlusion of Patent Ductus Arteriosus)

  • 이바른;김지윤;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07-510
    • /
    • 2014
  • 8개월령 암컷 포메라니안 개가 심잡음과 심비대를 주호소로 내원하였다. 검사결과 좌-우단락 동맥관 개존증과 중등도의 심부전 (ISACHC II) 으로 진단되었다. 잔존 동맥관은 우측 대퇴동맥을 통한 $5mm{\times}3loops$ 코일 색전술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 2개월 후 환축은 현저한 저혈압과 심한 설사, 흉수가 차는 증상으로 다시 내원하였다. 검사 결과 심각한 폐성고혈압과 삼첨판 역류가 발견되었다. Sildenafil (3 mg/kg, PO, TID) 을 투여함으로써 임상증상은 조절되었으나, 코일빠짐과 보호자의 부적절한 투약으로 인해 환축은 폐사하였다. 부검 결과 폐성고혈압의 원인은 비정상적인 위치로 빠진 색전 코일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토이 품종에서 PDA의 치료를 위해 색전 코일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장착된 코일이 빠질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PDA의 크기와 형태에 대한 한층 더 세심한 평가가 필요하다.

안전성 강화를 위한 ESP32-CAM을 활용한 시각장애인용 스마트지팡이에 대한 연구 (Study on a Smart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utilizing ESP32-CAM for Enhanced Safety)

  • 홍두현;임종환;유준선;백승협;김재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379-138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의 설계와 개발에 대해 다루고 있다. 스마트 지팡이는 초음파 거리 센서, 피에조부조, 조도 센서, LED선, 블루투스 모듈, 카메라 모듈, 스위치, 배터리 등의 센서와 모듈을 내장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지팡이를 사용하는 동안 주변 환경을 카메라로 실시간 스트리밍할 수 있고 보호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스마트 지팡이는 초음파 거리 센서를 사용하여 앞에 있는 장애물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울려줍니다. 블루투스 모듈과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보호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려준다. 이러한 스마트 지팡이는 시각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이동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