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호영역 자료

Search Result 11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Diagnosis of Conflict Problem between the Marin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and Policy Implication for Marine Spatial Planning (해양환경보전과 이용·개발의 상충 분석과 해양공간계획에 대한 시사점)

  • Lee, Dae In;Tac, Dae Ho;Kim, Gui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9 no.3
    • /
    • pp.227-235
    • /
    • 2016
  • This paper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marine spatial planning (MSP)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ajor developmental projects which could make a contradiction based on the adequacy of the site selection and environmental impacts. The conflicting affairs between space utilization and management plan happen in the following ways: marine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sand mining, reclamation, construction of golf course in coastal area, thermal effluent and waste heat, erosion causing port development. The conflict of stakeholder continues caused by the accumulated environmental impact. For the reasons mentioned above, we found two th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comprehend the fact of developmental planning and MSP. Second, it is still unsatisfactory to connect the relevance of laws related to the spatial planning. For the reinforcement of marine environmental policy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consolidate the property of site selection and assessment of developmental scale. Especially, while the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is in progress based on site selection and property of scale, consistent diagnosis is needed in the following concerns: the fact of the marine spatial planning, the relevance between national developmental plan and regional developmental plan, fisheries regulation, marine protected animals. For the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SSD), MSP should have to be prepared based in a way of top-down including coastal and EEZ plan, relevance of ocean-use zoning and sector planning, 3-D spatial information. And also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have to be prepared through high-tech marine spatial information. In conclusion, consistent and relevant strategy for MSP should have to include the who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ritime affairs such as harbor, fishing port, fishing ground, coastal management, marine ecosystem generally.

Nursing Professor's inspection and Status of Patient's Records and Informed Consent for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 in Korea and Japan (한·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환자의 설명동의 및 기록관리와 지도실태)

  • Cho, Yooh-Yang;Kim, In-Hong;Yamamoto, Fujie;Yamasaki, Fujiko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1 no.1
    • /
    • pp.35-46
    • /
    • 2006
  • Objectives: In recently. the management and protection on individual information in patient's medical & nursing records have been very important, and that need a guide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using the patient's nursing records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to find and discuss the patient's informed consent, and status of education and management concerned to patient's nursing records. Methods: This study used a mail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September 24th to October 31th in 2002. The subject were 333 professors who are major in adult nursing, pediatric nursing, psychological nursing of 111 university of nursing department and nursing college. And then we received the survey mail from 103 professors that respondent rate was 30.9%.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showed 49.0% of university. 51.0% of college of nursing. 50.0% of the subjects practiced point the patient by oral approval in clinical practice. But when the decision of the patient was very difficult, 21.6% of the subjects take to informed consent from his or her families.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49.0% of the subjects were explain to patient about clinical practice and contents of the nursing student, only 7.8% of the subjects were explain to patient with nursing records. 52.0% of the subjects were took out records from the hospital, only 17.6% of the subjects had standard of the patient's informed consent and standard of handling practice records. 17.6%-92.2% of the subjects that educate and manage concern to patient's nursing records.

  • PDF

Predicting the Goshawk's habitat area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Case Study area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참매의 서식지 예측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 Cho, Hae-Jin;Kim, Dal-Ho;Shin, Man-Seok;Kang, Tehan;Lee, Myungw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9 no.3
    • /
    • pp.333-343
    • /
    • 2015
  • This research aims at identifying the goshawk's possible and replaceable breeding ground by using the MaxEnt prediction model which has so far been insufficiently used in Korea, and providing evidence to expand possible protection areas for the goshawk's breeding for the future. The field research identified 10 goshawk's nests, and 23 appearance points confirmed during the 3rd round of environmental research were used for analysis. 4 geomorphic, 3 environmental, 7 distance, and 9 weather factors were used as model variables. The final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non-parametric verification between appearance and non-appearance coordinates identified by random sampling. The final predictive model (MaxEnt) was structured using 10 factors related to breeding ground and 7 factors related to appearance area selected by statistics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actor that affected breeding point structure model the most was temperature seasonality, followed by distance from mixforest, density-class on the forest map and relief energy. The factor that affected appearance point structure model the most was temperature seasonality, followed by distance from rivers and ponds, distance from agricultural land and gradient. The nature of the goshawk's breeding environment and habit to breed inside forests were reflected in this modeling that targets breeding points. The northern central area which is about $189.5 km^2$(2.55 %) is expected to be suitable breeding ground. Large cities such as Cheongju and Chungju are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Chungcheongbuk-do whereas the northern part of Chungcheongbuk-do has evenly distributed forests and farmlands, which helps goshawks have a scope of influence and food source to breed. Appearance point modeling predicted an area of $3,071 km^2$(41.38 %) showing a wider ranging habitat than that of the breeding point modeling due to some limitations such as limited moving observation and non-consideration of seasonal changes. When targeting the breeding points, a specific predictive area can be deduced but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points of nests and it is impossible to reflect the goshawk's behavioral area. On the other hand, when targeting appearance points, a wider ranging area can be covered but it is less accurate compared to predictive breeding point since simple movements and constant use status are not reflected. However, with these results, the goshawk's habitat can be predicted with reasonable accurac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pply precise predictive breeding area data based on habitat modeling results when enforcing an environmental evaluation or establishing a development plan.

Studies on the ecological variations of rice plant under the different seasonal cultures -II. A study on the year variations and prediction of heading dates of paddy rice under the different seasonal cultures- (재배시기 이동에 의한 수도의 생태변이에 관한 연구 -II. 재배시기 이동에 의한 수도출수기의 년차간변이와 그 조기예측-)

  • Hyun-Ok Choi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
    • /
    • pp.41-48
    • /
    • 1965
  • This study was aimed at knowing the magnitude of year variation in rice heading dates under the different seasonal cultures, and to estimate the heading date in advance. Using six rice varieties such as Kwansan, Suwon#82, Suwon #144, Norin#17, Yukoo#132 and Paltal, the early, ordinary and late seasonal cultures had been carried out at Paddy Crop Division, Crop Experiment Station at Suwon for the six-year period 1959 to 1964. In addition the data of the standard rice cultures at the Provincial Offices of Rural Development for the 12-year period 1953 to 1954,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a relationship between variation of rice heading dates and some of meteorological data related to the locations and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Year variation of rice heading dates was as high as 14 to 21 days in the early seasonal culture and 7 to 14 days in the ordinary seasonal culture, while as low as one to seven days in the late seasonal culture which was the lowest among three cultures. The magnitude of variation depended greatly on variety, cultural season and location. 2.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as a clos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ccumulated average air temperature for 40 days from 31 days after seeding and number of days to heading in the early seasonal culture. Accordingly, it was considered possible to predict the rice heading date through calculation of the accumulated average air temperature for the above period and then the linear regression(Y=a+bx). On the other hand, an estimation of the heading date in the late seasonal culture requires for the further studies. In the ordinary seasonal cultu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ccumulated average air temperature and number of days to heading was obtained in the six-year experiments conducted at Suwon. There was a varietal difference in relationship between the accumulated average air temperature for 70 days from seeding and number of days to heading in the standard cultures at the provincial offices of rural development. Some of varieti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wo factors while the others didn'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 However, there was no regional difference in this relationship.

  • PDF

A Study on the Conservation State and Plans for Stone Cultural Properties in the Unjusa Temple, Korea (운주사 석조문화재의 보존상태와 보존방안에 대한 연구)

  • Sa-Duk, Kim;Chan-Hee, Lee;Seok-Won, Choi;Eun-Jeong, Shi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37
    • /
    • pp.285-307
    • /
    • 2004
  • Synthesize and examine petrological characteristic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 by weathering formation of rock and progress of weathering laying stress on stone cultural properties of Unjusa temple of Chonnam Hwasun county site in this research. Examine closely weathering element that influence mechanical, chemical, mineralogical and physical weathering of rocks that accomplish stone cultural properties and these do quantification, wish to utilize by a basic knowledge for conservation scientific research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by these result. Enforced component analysis of rock and mineralogical survey about 18 samples (pyroclastic tuff; 7, ash tuff; 4, granite ; 4, granitic gneiss; 3) all to search petrological characteristic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 by weathering of Unjusa temple precinct stone cultural properties and recorded deterioration degree about each stone cultural properties observing naked eye. Major rock that constitution Unjusa temple one great geological features has strike of N30-40W and dip of 10-20NE being pyroclastic tuff. This pyroclastic tuff is ranging very extensively laying center on Unjusa temple and stone cultural properties of precinct is modeled by this pyroclastic tuff. Stone cultural propertieses of present Unjusa temple precinct are accomplishing structural imbalance with serious crack, and because weathering of rock with serious biological pollution is gone fairly, rubble break away and weathering and deterioration phenomenon such as fall off of a particle of mineral are appearing extremely. Also, a piece of iron and cement mortar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everywhere are forming precipitate of reddish brown and light gray being oxidized. About these stone cultural properties, most stone cultural propertieses show SD(severe damage) to MD(moderate damage) as result that record Deterioration degree. X-ray diffraction analysis result samples of each rock are consisted of mineral of quartz, orthoclase,plagioclase, calcite, magnetite etc. Quartz and feldspar alterated extremely in a microscopic analysis, and biotite that show crystalline form of anhedral shows state that become chloritization that is secondary weathering mineral being weathered. Also, see that show iron precipitate of reddish brown to crack zone of tuff everywhere preview rock that weathering is gone deep. Tuffs that accomplish stone cultural properties of study area is illustrated to field of Subalkaline and Peraluminous, $SiO_2$(wt.%) extent of samples pyroclastic tuff 70.08-73.69, ash tuff extent of 70.26-78.42 show. In calculate Chemical Index of Alteration(CIA) and Weathering Potential Index(WPI) about major elements extent of CIA pyroclastic tuff 55.05-60.75, ash tuff 52.10-58.70, granite 49.49-51.06 granitic gneiss shows value of 53.25-67.14 and these have high value gneiss and tuffs. WPI previews that is see as thing which is illustrated being approximated in 0 lines and 0 lines low samples of tuffs and gneiss is receiving esaily weathering process as appear in CIA. As clay mineral of smectite, zeolite that is secondary weathering produce of rock as result that pick powdering of rock and clothing material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SEM). And roots of lichen and spore of hyphae that is weathering element are observed together. This rock deep organism being coating to add mechanical weathering process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do, and is assumed that change the clay mineral is gone fairly in stone cultural properties with these. As the weathering of rocks is under a serious condition, the damage by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rain, wind, trees and the ground is accelerated. As a counter-measure, the first necessary thing is to build the ground environment about protecting water invasion by making the drainage and check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second thing are building hardening and extirpation process that strengthens the rock, dealing biologically by reducing lichens, and sticking crevice part restoration using synthetic resin. Moreover, it is assumed to be desirable to build the protection facility that can block wind, sunlight, and rain which are the cause of the weathering, and that goes well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