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행로

검색결과 4,017건 처리시간 0.033초

보행경로 너비에 따른 노인의 시 · 공간적 보행 분석 (Analysis of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Gait in Elderly by Various Walking Pathways Width)

  • 손호희;김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44-45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과 정상 성인의 보행경로 너비에 따른 보행 시, 시 공간적 보행 변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낙상의 경험이 없는 건강한 노인 20명과 20대 성인 18명으로 하였으며, 3가지 다른 너비의 보행경로(평상시 보행(usual walking), 좁은 너비 보행(narrow base walking), 한줄 보행(centerline-guided walking)에서 보행을 실시하였다. 평상시 보행은 보행경로에 제한을 두지 않았고, 좁은 너비 보행은 각 대상자의 양측 ASIS 사이의 거리를 1/2로 나눈 너비를 보행경로로 설정하였으며, 한줄 보행은 보행경로 중앙에 한 줄을 표시하여 보행을 실시하였다. 보행을 실시하는 동안, GAITRite system을 이용하여 시 공간적 보행 변수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보행경로 너비에 따른 시 공간적 보행 변수 비교에서 20대 성인은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노인의 경우 보행속도, 분속수, 양 뒤꿈치 사이 기저면, 기능적 보행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노인은 20대 성인에 비해 보행경로의 너비가 좁아질수록 낙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보행변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노인의 낙상 예방 훈련을 위한 적절한 보행너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파킨슨 환자의 보행종료 (Gait Termination and Parkinsonism: A Review)

  • ;고만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3-59
    • /
    • 2003
  • 보행 종료(gait termination)는 인간의 보행개시(gait initiation)나 율동성 보행(rhythmical walking)에 비해 관심을 적게 받고 있다. 파킨슨 환자들이 보행종료와 방향전환 시 가지는 어려움은 이들 환자들이 보행 시 넘어지게 되는 노출 요인으로 보고되어져 왔다. 보행종료에 대한 기전의 이해는 효과적으로 걸음을 멈추지 못해 넘어지게 되는 위험요인을 가진 사람들에게 적용되어질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보행종료에 대한 최근문헌을 고찰하고 우리 실험실에서 진행되어온 파킨슨환자의 보행종료에 관한 일련의 실험들의 결과를 요약하였다. 본 연구는 율동적인 보행상태에서 완전한 멈춤으로의 전환에서 일어나는 동역학의 변화를 검사하기위해 시행되었다. 보행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따르는 다리(trailing limb; 보행종료시점에서 뒤에 위치하는 다리)의 유의한 가속력 감소가 나타나고 멈출 때 이끄는 다리(leading limb; 보행종료시점에서 앞에 위치한 다리)에서 유의한 감속력의 증가가 나타난다. 보행종료 시, 이끄는 다리의 뒤쪽에 질량중심(center of mass) 을 유지시키기 위해 하지 신전근의 활성도가 오래 지속되어져야 한다. 예측하지 못한 상황에서 보행종료 시, 보행 중이나 예측되어진 상황에서 멈출 때보다 이끄는 다리 아래에서 감속력이 빠르게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상자들을 보행속도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눌 때, 계획되지 않은 보행종료를 하는 동안 보행속도가 느린 군이 빠른 군보다 전방 가속력을 급속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보행속도가 느린 대상자들이 따르는 다리로 힘을 생성하기 보다는 주로 이끄는 다리에 의존하여 보행종료를 하는 것을 보여준다. 따르는 다리에서 발생되는 힘과 근육활성도의 조절을 측정하기 위하여, 파킨슨 환자와 연령에 의해 짝짓기된 정상 환자군에게 표적 조건(target condition)을 추가하였다. 파킨슨 환자군은 표적에 다리를 정확히 놓기 위해 몇 발자국 전부터 보행 속도를 줄였다. 파킨슨 환자들은 보행종료를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근육들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는데 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 PDF

보행신호 잔여시간 표시장치에 따른 보행속도 분석 (An Analysis of Pedestrians' Speed according to Pedestrian Countdown Signal Systems)

  • 장명순;임삼진;김경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3-53
    • /
    • 2006
  • 현재의 보행신호는 보행자 녹색신호가 일정시간을 경과하면 녹색점멸 신호로 바뀌게 되는데, 횡단보도를 지나는 보행자가 녹색점멸 신호의 잔여시간을 알 수 없어서 보행시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 2000년부터 보행신호 잔여시간 표시장치로 '역삼각형' 표시장치를 채택하여 설치 운영해 왔다. 이 보행신호 잔여시간을 도형이 아닌 '숫자'로 표시하는 방식이 새롭게 제안되어 시험운영 중인데,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잔여시간 표시장치에 대해 보행자의 보행속도를 비교한 것이다. 보행신호 잔여시간 표시장치에 따른 보행속도의 비교분석 결과 (1) 미설치시, 계수형 및 역삼각형 잔여시간 표시장치 설치시 평균보행속도는 각각 1.44, 1.39, 1.42m/sec로 분석되었으며 (2)미설치시, 계수형 및 역삼각형 잔여시간 표시장치 설치 시 보행자 보행속도 분포 차이 검정을 위해 Duncan's Multiple Range Test 결과 각각 유의수준 1.00으로 보행자 보행속도분포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3)미설치시 보행속도분포는 Erlang(0.117, 10)분포, 계수형 및 역삼각형 잔여시간 표시장치 설치시 보행자 보행속도분포는 각각 Weibull(1.17, 3.72)분포, Gamma(0.137, 8.18)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배경 분리를 이용한 보행자 검출 개선 (Improvement of Pedestrian Detection using Background Subtraction)

  • 이상훈;조남익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3-35
    • /
    • 2017
  • 최근 영상 내에서 보행자를 검출하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보행자 검출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영상 내에서 보행자들을 검출함으로써 보행자의 통행량이나 이동경로를 분석할 수 있고, 위험 지역이나 보안 지역에 진입하려는 보행자에게 경고를 줄 수도 있다. CCTV와 같이 고정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경우 배경 분리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데, 배경 분리 기술을 통해 영상 내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영역을 검출해 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배경 분리 결과를 이용하여 보행자 검출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한다. 영상 내에서 보행자를 검출 했을 때, 보행자 외에 다른 영역이 보행자로 검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행자 검출의 정확도가 낮아진다. 하지만 배경 분리 결과를 이용하여 전경 부분에서만 보행자가 검출되도록 하고 배경 부분에서는 보행자가 검출되지 않도록 한다면, 보행자가 아닌 영역이 보행자로 검출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실제 HDA Person Dataset에서 실험을 해본 결과, 정량적인 성능 향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바닥판 진동해석을 위한 보행하중의 모형화 (Modeling of Walking Loads for Floor Vibration Analysis)

  • 김기철;최균호;이동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73-188
    • /
    • 2002
  • 보행하중을 받는 바닥판 구조물의 진동해석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계측한 보행하중을 적용하거나 Bachmann의 보행하중식을 사용하게 된다. 다양한 매개변수의 영향을 받는 보행하중은 계측이 쉽지 않으며 Bachmann 보행하중식은 보행진동수가 2.OHz와 2.4Hz로 제한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보행진동수에 따른 보행하중을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보행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진동해석을 위해서 보행하중의 매개변수 분석과 다양한 보행진동수에 적용이 가능한 보행하중의 모형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로드셀이 장착된 계측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바닥판에 가해지는 보행하중을 직접 계측하고 매개변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퓨리에 변환을 이용하여 계측한 보행하중을 다양한 진동수를 가지는 조화하중으로 분해하였다. 분해과정을 거쳐 얻은 조화하중의 계수들을 보행진동수에 대한 일정한 함수관계로 유도하여 보행하중을 모형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보행하중식을 이용하면 다양한 보행진동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보행하중을 구조물의 진동해석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토지이용을 고려한 보행환경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Indicator of Walking Environment Considering Land Use Characteristics)

  • 김숙희;이규진;최기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931-938
    • /
    • 2014
  • 본 연구는 효율적인 보행로 관리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토지이용 특성이 반영된 보행로 유형에 따라 보행자가 인식하는 보행환경 만족도의 평가척도는 다를 것이라는 인식을 전제로, 보행로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신도시, 구도심, 상업지, 지하철역, 하천 공원에 대한 보행로별 보행환경 평가지표와 각 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보행환경 평가모형을 수원시 일부 보행로에 적용한 결과, 본 모형은 현상을 비교적 현실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자체의 보행환경 개선 우선순위 결정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행만족도에 따른 보행서비스수준 지표개선 - 서울시 저층부 용도를 대상으로 - (A Study of Improvement on Pedestrian Level of Service by Pedestrian Satisfaction - Focused on Lower Floor Building Use in Seoul -)

  • 문영기;김동준;한제현;강준모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6호
    • /
    • pp.979-99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보행서비스수준은 보행의 질과 환경을 평가하기에 변별력이 없다고 판단되어 보행만족도를 연계하여 변별력 있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을 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1,157개 지점으로 선정하였으며,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보행과 관련된 지표를 선정하였다. 첫째,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을 재분류한 결과 기존 A등급으로 치중되었던 결과와 달리 보행서비스수준이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었다. 둘째, 개선된 보행서비스 수준 중 B등급과 C등급에서 보행만족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향후 보행로 계획 시 적정 물리적 시설이 충족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군집유형별로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을 보면 각 등급의 보행교통류율이 다르게 측정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행로계획 시 보행서비스수준을 측정할 때 주변 시설의 종류에 따라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은 도시개발사업과 보행계획에 있어 보다 현실적이고 변별력 있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병원건물의 보행공간 접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destrian accessibility for the general hospital buildings)

  • 서경부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제34회 추계 학술발표회
    • /
    • pp.42-51
    • /
    • 1998
  • 안전한고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여 보행 교통을 활성화시킨다면, 자동차의 사용이 줄게 되고 자동차의 유해한 배출가스로 인한 공기 오염 및 소음 등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부의 미관 증대, 역사적 구역의 보존, 물리적인 도시 이미지 향상 등의 효과로 도심기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보행통행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안전하고 효율성 있는 보행동선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당수의 종합병원과 같은 공공성을 띤 건물들은 대부분의 보행자가 보행동선을 이용하여 건물에 접근하는데도 불구하고 차량을 중심으로 동선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량위주의 동선 체계는 보행 통행자로 하여금 차량통행으로의 전환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분석대상으로 차량과 보행자에게 동등하게 접근의 용이성을 제공해야 하는 광주시의 4대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보행자 집단에게 가해지는 저항이 구체적으로 얼마나 심각하며, 그 원인은 어떠한 물리적 조건에 의하여 발생하는지 알아 보았다. 보행저항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는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점의 수, 최단거리 선호도, 보행로 미확보율 등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나타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함께 모색하였다.

  • PDF

다족 로봇을 위한 효과적인 보행 패턴 분석 (Analysis on Effective Walking Pattern for Multi-Legged Robots)

  • 김병호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22-628
    • /
    • 2009
  • 다족로봇이 보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어떤 보행 패턴의 설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어떤 보행 패턴이 효과적인 다족 보행을 가능하게 할 것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네 개의 다리를 이용하는 4족 보행 로봇 모델을 고려하며, 보행 순간마다 지지판에 의해 형성되는 지시다각형의 중심경로를 기반으로 보행 밸런스를 분석한다. 또한, 다족 로봇의 보행 밸런스를 평가하기 위한 성능지수를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4족 로봇의 보행에서 지지다각형의 중심 경로와 보행 밸런스는 사용된 보행 패턴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보인다. 결과적으로, 보행 밸런스 지수와 생체모방 관점으로부터 4족 로봇의 보행을 위하여 유용한 보행 패턴을 제시한다.

보행 특성을 고려한 보행자 서비스수준 평가지표 개발: 홍익대학교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Development of Criteria for Determining Level of Service for Pedestrian Walkway Considering a Pedestrian Platoon: Focusing on the Hongik University Area)

  • 최성택;추상호;전나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1-206
    • /
    • 2016
  • 보행자 행태는 개인의 사회 경제적 환경과 신체적 특성으로 인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보행 지표는 다양한 표본을 통해 얻게 된 결과의 평균적인 값을 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개별 보행자의 보행 특성이 매우 다르다면 평균 값 또한 대표성을 갖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 영상촬영을 통해 보행자를 관찰한 결과, 보행로 상에 뒤섞인 군집(platoon)이 보행 흐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보행로 상에 군집이 많이 섞여 있을수록 보행 흐름은 더욱 느려지고 보행공간은 혼잡해진다. 보행류율과 보행점유공간 등의 지표는 특정 시간동안 해당 보행로를 이용한 보행자수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군집의 비율이 높은 지점과 낮은 지점에서 동일한 수의 보행자가 관측되었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보행 속도, 혼잡도 등은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관찰하여 보행 군집의 구성 비중이 높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별도의 보행자 서비스 수준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값의 보행류율을 보이는 두 개의 지점이라 해도 보행 군집의 영향에 의해 서비스 수준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