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라성게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산 개불, Urechis unicinctus (von Drasche)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Echiuroid Worm Urechis unicinctus(von Drasche) in Southern Korea)

  • 최상덕;김호진;이원교;곽은주;윤호섭;라성주;이인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9-174
    • /
    • 2000
  • 한국산 개불의 명확한 생식주기를 밝히고 종묘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1998년 9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주로 조직학적 방법에 의해 생식소의 발달양상과 산란시기를 조사하였다. 생식소중량지수(GSI)는 11월에 암, 수 각각 7.01, 6.24로 연중 최고 값을 도였으며,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2월에 암수 각각 0.52, 1.04로 연중 최소 값을 보였다. 그 후 GSI는 급격히 증가하여 3~4월에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5월부터 다시 감소하기 시작하여 8월까지 특이한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GSI는 10~ll월에 다시 증가하였다. GSI의 연중 변화를 종합해 볼 때 한국산 개불은 연 2회 산란한 것으로 판단된다. 개불의 난경 변화는 산란기인 12월에 평균난경은 96.16 ${\mu}$m였으며, 이후 급격히 감소하나 3월부터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4월에 평균난경 81.52${\mu}$m, 5월에 105.20~29.60${\mu}$m의 높은 변화를 보였다. 암컷의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91~2월, 6~9월), 성숙기(3~4월, 11월), 방출기(5월, 12월), 퇴화 및 휴지기(1월, 6월) 로 나눌 수 있고, 수컷의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1~2월, 6~9월), 성숙기(3~4월, 10~11월), 방출기(5월, 12월) 그리고 퇴화 및 휴지기(1월, 6월)로 나눌 수 있다. 개불의 난소에 있어 조직학적인 가장 큰 변화는 GSI가 가장 높은 11월과 3월에 주변인기의 난모세포가 관찰되었고, 생식소내 난모세포들의 성숙은 일괄적으로 일어난다. 정소는 정소내벽에서 분화.성숙되어 정소 내부로 떨어져 나오며 완숙시의 정소 조직은 초기의 정소와 비교하여 얇은 막으로만 이루어졌다.imer를 사용했을 경우 RAPD분석 결과 종간 및 종 내의 지역적 유전적 변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K16/17과 K20/21 primer를 이용한 경우 종 내의 지역별 유전적 변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K13 primer의 경우 유사도 (similarity)는 보라성게 종 내의 지역적 차이가 0.67-0.92, 말똥성게의 경우 종 내의 지역적 변이 폭이 0.60-0.73으로 나타났으며 보라성게와 말똥성게의 종간 유사도는 17-44%로 낮게 나타났다. 제주 연안에 있어 지역에 따른 보라성게와 말똥성게의 크기, GSI등의 변이는 유전적 차이보다는 수온과 먹이 등 과 같은 생태학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ngto contains relatively high amount of trace elements, P, S, Zr, Sr, Ba, Rb, and Ce including considerable amount of Li, V, Cr, Zn, Co, Ni, Cu, Y, Nb, La, Nd, Pb, Th in excess of 10 ppm. Relatively high amount of most trace elements were detected in the Hwangto. The major and minor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Hwangto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host rocks. However, their difference was in the similar range compared with the compositions of host rocks. electron acceptor triggers sensory transduction processes

  • PDF

보라성게 (Anthocidaris crassispina)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Purple Sea Urchin, Anthocidaris crassispina in Cheju Island)

  • 홍성완;정상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02-308
    • /
    • 1998
  • 1995년 8월부터 1996년 7월까지 제주도 남제주군 대포리 연안에서 채집한 보라성게의 연령형질 (생식판)로서 성장을 규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식판 (madreporite)에 나타나는 윤문은 2세에서 6세군까지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2. 각장 (test diameter : TD)과 생식판경 (radius : R)과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았다. TD= 22.58R-6.01 (r=0.960) 3. 월별 연변성장율 ($MGR\;:\;(R-r_n)/(r_n-r_{n-1})$)조사에서 추정한 윤문형성시기는 3월에서 5월 사이였다. 4. 각장조성의 월별 성장 경향은 12월에서 이듬해 3월 사이가 주 성장기였고, 4월에서 6월 사이는 성장의 휴지기, 그 외의 기간은 아주 완만한 성장을 하였다. 5. Bertalanffy식이 Gompertz식과 Logistic식보다 잔차 평방합이 적었고, 그 성장식은 다음과 같았다. $$L_t=46.65 (1-e^{-0.283(t+9.210)})$$, $$W_t=44.90 (1-e^{-0.283(t+9.210)})^3$$

  • PDF

통영연안에 서식하는 보라성게(Anthocidaris crassispina)와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위 내용물과 서식지 해조군락 (Stomach Contents of the Sea Urchins, Anthocidaris crassispina and Hemicentrotus pulcherrimu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Marine Algal Community along the Tongyeong Coast of Korea)

  • 김남길;장재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86-693
    • /
    • 2012
  • The seaweed community and stomach contents of the dominant herbivorous sea urchins Anthocidaris crassispina and Hemicentrotus pulcherrimus were examined from November 2008 to October 2009, in coastal areas of Tongyeong, Korea. Thirty-five seaweeds including two green, nine brown, and 24 red algae, were found over the study period. Seventeen seaweeds (two green, two brown, and 13 red) and two invertebrates were found in the stomachs of A. crassispina. In H. pulcherrimus, stomach contents were two green, one brown, 11 red seaweeds, and two invertebrates. The shell diameter of A. crassispina and H. pulcherrimus ranged from 22.3 to 62.3 mm and 15.3 to 40.1 mm, respectively. Total body weights ranged from 48.5 to 86.7 g for A. crassispina and from 7.7 to 25.9 g for H. pulcherrimus. The total weight of stomach contents were 5.1 to 25.8 g in A. crassispina and 1.7 to 11.8 g in H. pulcherrimus. The range of gonad weight was 3.6 to 17.0 g in A. crassispina and 0.8 to 4.0 g in H. pulcherrimus. The gonad index (GI) for A. crassispina peaked in July and reached a minimum in December, whereas the GI for H. pulcherrimus was highest in February, and lowest in May.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가 보라성게 (Anthocidaris crassispina)의 초기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on Early Development of Sea Urchin Anthocidaris crassispina)

  • 나오수;문상희;이치훈;박창범;김병호;진영석;허상우;감상규;이영돈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0권1호
    • /
    • pp.57-65
    • /
    • 2005
  • Effects of fiv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s) constituents (naphthalene, fluorine, fluoranthene, benzo(a)pyrene, pyrene) on fertilization and early development of sea urchin egg, sperm and fertilized egg were investigated. The eggs, sperm and fertilized eggs were exposed to several concentrations of PAHs (1, 10, 100, 1000 and 10000㎍/L). The rate of fertilization and hatching decreased when the eggs and sperm were exposed to aqueous solution of PAHs. Also, Exposure of fertilized eggs with each PAHs did decrease survival and hatching rate. Concentration-dependent toxic effects on the rate of fertilization, hatching, survival and abnormality in A. crassispina were observed following exposure to PAHs (1, 10, 100, 1000 and 10000㎍/L). These data show that PAHs exposure decreased in fertilization success of sea urchin egg and sperm and producted abnormal embryo. It is plausible to suggest that PAHs had the potential to significantly reduce coastal recruitment of sea urchin.

자극원에 따른 보라성게(Heliocodaris crassispina)의 이동패턴 분석 (The Behavioral Response of Purple Sea Urchins Heliocodaris crassispina to Food and an Electrical Stimulus)

  • 오태건;이정관;황학진;편용범;한인우;오우석;박근창;이경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24-533
    • /
    • 2019
  • Sea urchins are hugely destructive of marine forest ecosystem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behavioral response of purple sea Urchins Heliocodaris crassispina to food and an electrical stimulus and to investigate the attraction radius of these stimuli, with an ey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controlling sea urchin numbers. Ten purple sea urchins, housed in circular acrylic tank, were tested against various attractant stimuli. In addi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200 purple sea urchins in a large water tank to observe movement patterns and the attractiveness of various stimuli. In the smaller experiment, eight out of 10 sea urchins were attracted to food, and these attractive effects were maintained in all except one of the affected urchins. However, the attractant effects of the electrical stimulus were maintained in only three sea urchins. The results of the larger experiment indicated that differences in the attractant power of food and an electrical stimulus were 54%-78%, and approximately 5-15% of sea urchins were attracted by the electrical stimulus.

한국 제주 연안의 암반 형태 차이와 저서생물 군집구조 (Rock type difference and Benthic Community Structures in the coast of Jeju, Korea)

  • 김보연;고준철;최한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96-1008
    • /
    • 2016
  • 제주 연안 저서생물(해조류,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가 저서 기질 형태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신흥해역에서 2015년 2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조사되었다. 암반정점에서는 해조류 57종과 무척추동물 102종이 출현하였고, 몽돌정점에서는 해조류 42종과 무척추동물 67종이 관찰되어 암반기질에서 저서생물의 출현종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조류의 연평균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1,601.13g\;wet\;wt./m^2$으로 몽돌정점의 $448.85g\;wet\;wt./m^2$보다 약 4배 높았다. 감태는 암반정점에서 전체 생물량의 62.64% ($1,002.93g/m^2$)를 차지하는 우점종이었고, 몽돌정점에서는 넓은게발, 감태, 붉은뼈까막살, 자루바다표고, 갈래곰보가 우점하였다. 저서무척추동물의 개체수 및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각각 $106.9indivi./m^2$, $871.93g/m^2$이며, 몽돌정점에서는 $64.6indivi./m^2$, $984.28g/m^2$로 나타났다. 무척추동물의 생물량 우점종을 파악한 결과, 암반정점에서는 소라(36.40%), 바퀴고둥(19.18%), 보라성게(13.61%)였고, 몽돌정점에서는 거품돌산호(54.13%)와 그물코돌산호(24.28%)로 기질에 따른 우점종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제주도 연안 마을어장의 저서무척추동물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Invertebrates of Fishing grounds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 고준철;구준호;이승종;장대수;조성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9-246
    • /
    • 2011
  • 제주연안 8개 마을어장 주변해역에서 2008년 9월부터 10월까지 저서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중 총 166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고, 연체동물이 77종 (46.4%) 이였으며, 이 중 복족류가 25.3%로 가장 우점하였고, 절지동물 24종 (14.5%), 자포동물 18종 (10.8%), 해면동물 16종 (9.2%) 및 기타 동물은 33종 (17.7%) 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해역의 개체밀도와 생체량은 각각 6,905 개체/$m^2$, 113,100.7 gwwt/$m^2$로 연체동물 중 복족류가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우점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팽이고둥 (Omphalius pfeifferi), 바퀴고둥 (Astralium haematragum), 소라 (Turbo cornutus), 탑뿔고둥 (Ergalatax contraacta), 애기돌맛조개 (Lithophaga cura), 보라성게 (Anthocidaris crassispina), 분홍멍게 (Herdmania monus) 로 주로 복족류와 해초류에서 높은 우점율을 나타냈다. 군집유사도의 집괴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북부와 남부해역 및 서부해역의 2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정점별 종다양도 (H'), 균등도 (E') 및 풍부도 (R) 지수의 범위는 각각 1.59-2.95, 0.38-0.87, 3.3-10.4 로 종다양성 및 개체수 균일성이 가장 안정된 지역은 남부인 대포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북부에 위치한 월정에서 낮게 나타났다.

Calmodulin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Cloning and Expression Analysis

  • Hong, Gyeong-Eun;Kong, Hee Jeong;Nam, Bo-Hye;Kim, Young-Ok;Kim, Woo-Jin;Lee, Sang-Jun;Choi, Tae-Jin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34-237
    • /
    • 2007
  • Calmodulin은 $Ca^{2+}$ 결합단백질로서 생체 내에서 $Ca^{2+}$ 의존적 기작을 통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관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cDNA library로부터 Calmodulin cDNA를 분리 동정하였다. 염기 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한 결과, 넙치 Calmodulin cDNA는 782개의 nucleotides로 구성되어 있고, 4개의 잘 보존된 $Ca^{2+}$결합 motifs (EF-I, EF-II, EF-III, EF-IV)를 가지는 149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전사할 수 있는 open reading frame을 포함한다. 또한 번역된 아미노산 서열은 인간, 쥐, zebrafish, 개구리의 Calmodulin 아미노산 서열과 100% 동일성을 보이며 보라성게, 침팬지의 Calmodulin 아미노산 서열과 각각 97, 99%의 동일성을 보인다. 넙치 Calmodulin 전사체는 뇌와 장 조직에서 많은 양이 발현되었고, 신장, 아가미, 눈, 근육, 피부, 지느러미에서도 발현이 관찰되었다. 또한 넙치 Calmodulin 전사체는 수정 후 7일째의 발생 초기 단계 시료에서도 발현되어 수정 후 34일째까지 그 발현이 서서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넙치 Calmodulin은 넙치의 발생 초기 단계에서 필요한 단백질로 생각되며 아마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