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기활혈(補氣活血)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왕청임(王淸任)의 어혈논치사상(瘀血論治思想)에 관한 연구(硏究)

  • 이병직;윤창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67-287
    • /
    • 2007
  • 경과대왕청임적어혈논치사상적연구득출여하결론(經過對王淸任的瘀血論治思想的硏究得出如下結論): 왕청임중시기혈이론(王淸任重視氣血理論), 강조치병지요결재어명백기혈(강調治病之要訣在於明白氣血), 취효지관건재어기통혈활(取效之關鍵在於氣通血活), 확립료보기활혈화축어활혈적치법(確立了補氣活血和逐瘀活血的治法), 명확제시료여지상응적임상응용체계(明確題示了與之相應的臨床應用體系). 중시보기약여활혈약적응용(重視補氣藥與活血藥的應用), 창제료이십다종방제(創制了二十多種方制), 용어치료육십종기허증화오십종혈어증등(用於治療六十種氣虛證和五十種血瘀證等). 재기창제적이십다종방제중(在其創製的二十多種方劑中), 이혈부축어탕(以血府逐瘀湯) 통규활혈탕(通竅活血湯) 격하축어탕(膈下逐瘀湯) 소복축어탕(少腹逐瘀湯) 신통축어탕(身痛逐瘀湯) 해독활혈탕등최위중요(解毒活血湯等最爲重要), 재임상응용빈번(在臨床應用頻繁), 차치료적병증범위역비상광범(且治療的病證範圍亦非常廣泛). 관기약법(觀其藥法), 재보기활혈적방제중이다용황기1-2양(兩), 혹중용황기4양(兩)-8양위용약특점(兩爲用藥特點), 재축어활혈적방제중이희용선용도인(在逐瘀活血的方劑中以喜用善用桃仁) 홍화(紅花) 적작약적등활혈축어약위주요용약특점(赤芍藥的等活血逐瘀藥爲主要用藥特點). 재방제응용방면(在方劑應用方面), 십분강구약물적용량(十分講究藥物的用量), 장어통과변화약량이달도부동적치료목적(長於通過變化藥量而達到不同的治療目的).

  • PDF

평악곽씨정골전통약물적현대연구(平樂郭氏正骨傳統藥物的現代硏究) -평악곽씨(平樂郭氏) 정골(正骨)에 대한 전통약물의 현대적 연구-

  • 곽염행;두지겸;조경안;곽염금;이무음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9-227
    • /
    • 2001
  • 중국 낙양의 평악곽씨(平樂郭氏) 정골법은 중국의학의 골상과(骨傷科) 중에서 중요한 학술유파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 치료법에 있어서 독특하고 체계적인 시술법을 갖추고 있는데, 교정 수기법, 고정방법, 기능훈련, 약물치료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창상(創傷)에 대한 약물요법에서 "파(破) 화(和) 보(補)" 3단계로 분류된 약물사용 원칙을 제시하였는데, 즉 골정손상의 초기에는 기혈어체(氣血瘀滯)의 병리기전에 입각하여 약물은 활혈화어제(活血化瘀劑)를 주로 사용하고, 중반에는 기혈부화(氣血不和) 경락부통(經絡不通)의 기전으로 파악하고 주로 활혈통락(活血通絡)시키는 약물을 사용하며, 말기에는 구병(久病)으로 기형(氣血)이 휴손(虧損)되므로 보기혈(補氣血) 및 장근골(壯筋骨)의 약물을 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평악곽씨(平樂郭氏)의 正骨(정골)에 관한 약물사용 원칙을 토대로 선조의 처방과 경험방 및 후세의 통용방(協定方)을 근간으로 심은 평악곽씨(平樂郭氏)의 正骨(정골)에 대한 전통약물시리즈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처방들은 장기간의 임상활용에서 그 효과가 뛰어나고 안전성이 확보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근골통소환(筋骨痛消丸)은 활혈행기(活血行氣), 온경통락(溫經通絡), 소종지통(消腫止痛)의 효능이 있어 근골의 퇴행성 질환이나 만성 노손(勞損)으로 일어나는 종창(腫脹), 통증, 관절활동의 제한, 목 어깨 허리 다리 등의 통증, 발꿈치 통증, 골절 후 지체(肢體)의 종통(腫痛), 어혈 등에 활용한다. 활혈접골지통고(活血接骨止痛膏)는 접골속근(接骨續筋), 통락지통(通絡止痛)의 효능이 있어 골상(骨傷)을 입은 후 지체(肢體)의 종창(腫脹)이나 통증 또는 골절 등에 사용한다. 이 약은 크림제와 고약제 두가지가 있다. 평악내복접골교양(平樂內服接骨膠襄)은 활혈소종(活血消腫), 접골속근(接骨續筋)의 효능이 있어 각종 근육의 손상이나 골정상에 활용된다. 평낙전근단(平樂展筋丹)은 활혈화어(活血化瘀), 서근지통(舒筋止痛), 통리관절(通利關節), 등의 효능이 있어 타박상으로 인한 지체(肢體)의 종통(腫痛), 관절강직, 활동제한 및 골관절 질환과 풍습비통(風濕痺痛) 등을 치료한다. 전통적으로 외용(外用)에 사용되는 산제(散劑)는 마사지에 주로 활용된다. 임상에서 다양한 제형(劑型)으로 개발되어 분무형태로 쓰이는 근상정(筋傷酊)과 마사지 크림으로 사용되는 평악낙전근접마유제(平樂展筋接摩乳劑)가 있다. 소종활혈(消腫活血) 대포제(袋泡劑)는 산제(散劑)를 티팩 형식으로 사용하는 외용제형(外用劑型)이며, 서근활혈(舒筋活血), 소종지통(消腫止痛)의 효능이 있어 타박상 말기에 근육이 굳어지고, 어반이 형성되면서 통증이 나타나며, 종창(腫脹) 등이 생길 때 사용한다. 사용방법은 따뜻한 물에 담가 우려낸 다음 상처부위를 씨어주면 된다. 특별히 제작된 접골환(接骨丸)은 배보간신(培補肝腎), 익기건비(益氣健脾), 활혈통락(活血通絡), 강근건골(强筋健骨) 등의 작용이 있어 파박상이나 골절이 잘 치유되지 않고 오래 지속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평악곽씨(平樂郭氏)의 전통적인 정골(正骨)에 관한 약물들은 약리학적 실험을 거쳐 그 독성반응이나 부작용 및 임상효과를 관찰한 결과 통제학적으로 p<0.05-0.01로 나타나 98%의 치료효과를 보였으며, 독성 및 부작용이 없어 안정성이 인정되었으므로 긍정적인 치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