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관

검색결과 3,078건 처리시간 0.027초

보관방법을 달리한 자색양파 첨가 설기의 품질 특성 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 with Added Fresh or Frozen Red Onions)

  • 임석순;전미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39-245
    • /
    • 2012
  • 여러 가지 약리활성 성분을 지니고 있는 양파 품종 중 자색양파의 효율적인 이용 방안으로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자색양파설기의 개발을 위해 냉동보관 자색양파와 실온보관 자색양파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설기를 제조하고 자색양파설기의 최적 조건을 제시하기 위해 $25^{\circ}C$에서 저장하면서 색도 측정, pH 측정 및 기계적인 텍스쳐를 분석하였고, 아울러 소비자의 호에 맞는 자색양파설기의 맛과 질감을 알아보기 위해 관능평가도 수행하였다. 자색양파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명도 값은 실온보관 자색양파의 경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냉동보관 자색양파의 경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명도 값은 자색양파설기 제조당일부터 제조 2일 경과 후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지만 제조 3일 경과 후는 약간의 증가세를 보였다. 적색도(a값)는 자색양파를 첨가함으로써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전반적인 증가세를 보였지만 냉동 또는 실온 보관 자색양파 30%를 첨가한 설기는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황색도(b값)는 실온보관 자색양파의 첨가량이 늘수록 증가한 반면 냉동보관 자색양파의 첨가량이 늘면서 유의적인 감소세를 보였고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실온 또는 냉동 보관 자색양파 첨가 설기 모두 유의적인 증가세를 나타내었다. 실온 및 냉동 보관 자색양파를 20%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의 pH가 가장 높았으며 2일 경과 후 증가, 3일 이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은 전보의 팽창제 첨가에 따른 쑥설기 pH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기계적인 텍스쳐 분석결과, 전반적인 항목평가결과 자색양파를 첨가한 설기가 대조군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부착성은 냉동자색양파첨가 설기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저장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전반적인 항목평가에서 유의적인 증가세를 나타내었다. 관능적 품질 특성은 실온보관 자색양파 첨가량이 많을수록 색, 향, 질감,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적인 증가세를 나타내었고, 냉동보관 자색양파 첨가량이 늘수록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실온보관 자색양파 30% 첨가한 설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색감, 향미, 질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를 고려한 자색양파설기 제조 시 실온에서 보관한 자색양파를 30% 수준으로 첨가하는 것이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 건강떡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약리활성이 우수한 건강 기능성 음식으로 대중화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실리콘 인상재의 보관온도에 따른 특성변화 (The Property Change of Silicone Impression Materials with Change of Storage Temperature)

  • 오상환;문승균;김경남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59-464
    • /
    • 2010
  • 본 연구는 실리콘 고무인상재의 보관온도에 따른 작업 시간과 압축 시 변형율, 탄성회복율, 점조도에 관한 물리적 특성에 대해서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작업시간은 저온의 온도유지장치에서 보관한 인상재가 실온이나 고온에서 보관한 인 상재보다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고(P<0.05), 실온과 고온에서 보관한 인상재는 유의차 가 없었다. 2. 압축변형율은 저온 온도유지장치에서 보관한 인상재가 실온이나 고온에서 보관한 인 상재보다 유의하게 컸으며(P<0.05), 실온과 고온에서 보관한 인상재는 유의차가 없 었다. 3. 탄성회복율은 인상재를 보관한 각 저장온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P<0.05),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4. 점조도는 인상재를 보관한 각 저장온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P<0.05),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인체타액의 보관이 DNA 분리와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orage of Human Saliva on DNA Isolation and Stability)

  • 김용우;김영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1호
    • /
    • pp.1-16
    • /
    • 2006
  • 최근 진단분야에 있어서의 가장 획기적인 진보로는 향상된 진단 술식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들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면역 화학물질과 분자생물학적 시약의 활용도가 증가되고 이와 더불어 진단용 기구의 수준 향상으로 가능해진 미세 술식의 발달에 따른 결과이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임상검사용 검체 뿐만 아니라 DNA의 공급원으로서의 타액의 진단학적 가치를 고려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인체의 타액에서 genomic DNA를 분리하고 이를 혈액 및 협점막 swab에서 분리한 genomic DNA와 비교 검토해 봄으로써 타액 검체의 진단학적 활용도를 살펴보고, 타액 검체의 다양한 보관 과정이 genomic DNA의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행되었으며, 또한 분리된 genomic DNA의 안정도를 살펴보고자 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법을 이용하여 $\beta$-globin 유전자의 증폭을 시행하였다. 10명의 피검자(평균 나이: $29.9{\pm}9.8$ 세)를 대상으로 혈액, 비자극성, 자극성 전타액 및 협점막 swab을 채취한 후 이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였다. 여러 다양한 보관조건이 genomic DNA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20명의 피검자(평균 나이: $32.3{\pm}6.6$ 세)를 대상으로 자극성 전타액을 채취하여 실온, $4^{\circ}C$, $-20^{\circ}C$, $-70^{\circ}C$, 자연 건조 및 동결 건조 상태에서 1, 3, 5 개월 동안 보관한 후 genomic DNA를 분리, 조사하였으며, 분리된 genomic DNA의 안정도를 살펴보고자 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법을 이용하여 989-bp의 $\beta$-globin 유전자를 증폭한 후 전기영동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타액으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혈액의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타액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극성 전타액과 이를 동결 건조한 검체에서 분리한 genomic DNA의 순도는 혈액의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협점막 swab으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 의 순도는 타액의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2. 실온에서 보관한 타액 검체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1 개월 후부터 점차적으로 감소되었으며, 3 개월과 5개월 동안 보관한 타액 검체에서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각각 p<0.05, p<0.01). DNA의 순도 또한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3 개월과 5 개월 동안 보관한 타액 DNA의 순도는 신선한 타액과 1 개월 동안 보관된 타액 검체의 순도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3. 타액 검체를 $4^{\circ}C$$-20^{\circ}C$에서 보관한 후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3 개월의 보관 기간 동안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보관 기간 5 개월 후의 검체에서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4. 타액을 $-70^{\circ}C$에서 보관한 검체와 동결 건조한 후 보관한 검체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보관 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보관 후 5 개월 후의 검체에서는 DNA의 농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5. 타액을 자연 건조한 후 즉시 genomic DNA를 분리한 결과, 신선한 타액에 비하여 약 60%의 DNA를 얻을 수 있었다. 자연 건조한 후에 실온에서 보관한 타액 검체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 농도는 보관 2 주 만에 급격하게 감소되었다(p<0.05). 6. 중합효소 연쇄반응 방법을 이용한 $\beta$-globin 유전자의 증폭은 동결 건조한 후 보관한 타액의 경우 보관 기간 5 개월까지의 모든 검체에서 가능하였으며, 보관 기간 1 개월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20^{\circ}C$$-70^{\circ}C$에서 보관한 타액의 경우 모든 검체에서, $4^{\circ}C$에서 보관한 타액의 경우 일부분의 검체에서만 증폭이 가능하였고, 실온에서 보관한 타액과 자연 건조 후 실온에서 보관한 타액의 경우는 증폭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육용종계 종란의 보관온도에 따른 입란 전 저장기간이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fferent Holding Temperatures and Storage Time during the Pre-Incubation Period on the Hatchability of Hens Eggs in Broiler Bleeders)

  • 강보석;서옥석;나재천;김상호;김학규;장병귀;김태호;이상진;하정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9-94
    • /
    • 2002
  • 본 연구는 육용종계 종란의 보관조건에 따른 입란전 보관 기간이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산란 후 입란전 종란보관기간을 달리한 7개 처리, 즉 1일 보관 (T1)에서부터 7일 보관(T7)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처리당3개의 반복을 두어 반복당40개의 종란을 공시하였다. 본 연구는 종계의 주령이 40주령인 여름과 50주령인 가을에 실시하였다. 저장온도에 따른 입란전 종란의 저장기간동안 발육후 18일째의 입란대비 감량률, 수정률, 부화율 및 발육중배자 사망률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 종계의 주령이 40주령인 여름철에는 보관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부화율이 급격하게 하락하여 3일 이상 보관시에는 1~2일 보관보다 낮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5). 종계의 주령이 50주령인 가을철에는 보관기간에 따른 부화율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P<.05). 결론적으로 외기 환경온도가 높을 때(여름철, 25 $25^{\circ}C$이상) 3일 이상의 종란보관은 부화율에 큰 영향을 미치며, 1주일 이상 보관시 부화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13~$19^{\circ}C$의 온도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입증하였다.

저장미 도정과 포장에 따른 고미화 및 식미 변화 (Grain Aging and Sensory Changes influenced by Milling and Packaging in Rice Storage)

  • 이호진;김태훈;전우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66-270
    • /
    • 1991
  • 미곡의 장기보관에서 보관면적과 소요비용을 절약하려면 정조보관보다 현미 또는 백미로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나 미곡의 고미화와 식미 악화가 우려되어 본 연구에서는 20개월간 정부창고에서 보관된 벼품종들을 정조, 현미, 백미로 가공하고 각각 지대, PP대, PE대에 포장하여 수확 후 32개월째에 발아력, 지방산도, 식미를 검정하였다. 1. 발아율은 장기 보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밀양 2003보다 추청의 감소가 심하였다. 가공상태에 따라 현미로 제현하여 보관하면 발아율 감소가 현저하였고 포장재질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TTC검정도 유사한 경향을 보여 발아력의 간접검정법으로 이용될 수 있었다. 2. 지방산도는 정조<백미<현미 순으로 높아졌고 포장재료에 따라서는 PP대<지대<PE대 순으로 증가되었다. 특히 현미 보관은 지방산도가 KOH 30mg 이상에 달하여 고미화 특성을 보였고 이를 방지하려면 정조를 지대 또는 PP대에 보관하거나 백미는 지대, PP대, PE대에 보관하여 도 무난하였다. 3. 저장미곡의 식미는 도정보관에 따라 악화되었고 특히 현미보관에서 백미보관 보다 불량하였는데 호분층에 포함된 지방의 산패 때문이었다. 또 품종별로 지방산도가 증가함에 따라 식미는 불량하여 졌다.

  • PDF

다목적 용액을 사용하는 콘택트렌즈 관리체계에서 렌즈 보관용기의 미생물 오염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ntact lens cases in multi - purpose solution care systems)

  • 김상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5-99
    • /
    • 2000
  •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 80명 중 다목적 용액을 사용하는 렌즈 관리체계에서 렌즈 보관용기의 미생물 오염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중 72명(90%, 다목적용액 사용자 포함)은 화학소독을 6명(7%)은 과산화수소 소독을 그리고 2명(3%)은 열 소독을 실시하고 있었다. 다목적 용액을 사용하는 관리체계는 조사대상 중 59%이었다. 수거하여 조사한 총 80개의 렌즈 보관용기 중 68%(54개)에서 미생물 요염이 나타났다. 보관용기는 사용기간이 오래된 것일수록 오염률이 더 높았다. 다목적 용액을 사용하는 관리체계에서 오염된 31개(57%)의 보관용기 중 1종류의 균주가 검출된 경우가 4개(13%), 2종류의 균주가 검출된 경우가 15개(48%) 그리고 3종류 이상의 균주가 검출된 경우가 12개(39%)이었다. 오염된 렌즈 보관용기로부터 Pscudomonas. Scrratia. Bacillus. E. coil. Aspergillus 등이 분리 동정되었다. 다목적 용액 관리체계에서 소프트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미생물 오염률이 높기 때문에 렌즈를 보다 효과적이고 위생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주기적으로 자주 렌즈 보관용기를 교체하므로서 보관용기 내에서의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 PDF

장기간 냉각 보존을 위한 개 정자 희석액으로서 Glucose-BSA의 유효성 평가 (Evaluation of Glucose-BSA as Extender of Chilled Canine Spermatozoa for Long-term Storage)

  • 유일정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23-33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3주 동안 장기간 냉각상태로 보관된 개 정자의 기능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두 종류의 정자 희석액, Glucose-BSA(G-BSA), Dimitropoulos-II(BIMI)가 정자의 기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개 정액을 수지법에 의해 채취하여 원심분리한 후 정장은 제거하였다. 정자를 G-BSA나 DIMI으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를 $100\times10^6$ sperm/ml로 하였다. 희석된 정자를 정자 운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루지애나 주립 대학에서 뉴올리언즈 실험실까지 운송하였다. 정자 운송 시스템은 $20^{\circ}C$에서 $9^{\circ}C$까지 분당 $0.08^{\circ}C$ 냉각율로 설정하였다. 희석된 정자는 $4^{\circ}C$에서 3주간 보관하였다. 보관 1일부터, 매주 단위로 정자의 활력, 정자 원형질막 고유성(생존성), 정자 첨체의 고유성을 검사하였다. 또한 체외조건하에서의 정자 번식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zona binding assay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냉각 상태로 3주 동안 보관된 개 정자는 여전히 정자의 기능적 특성을 나타냈다. 냉각기간이 길어질수록 정자의 활력 및 생존성은 감소하였으며(P<0.01), 첨체의 고유성은 냉각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정자의 특성 중 활력이 다른 특성에 비해 냉각처리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G-BSA배지에 보관된 정자의 활력 및 생존성이 DIMI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1 주 동안 보관된 정자의 생존성의 비교시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첨체의 고유성은 1일 동안 DIMI에 보관된 정자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3주 동안 냉각상태로 보관된 개 정자는 여전히 난자의 투명대에 결합하는 능력을 보였으며, G-BSA에 보관된 정자의 경우 난자에 부착되는 평균 정자 수가 보관일수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희석액 종류에 따른 난자에 부착되는 평균 정자 수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정자의 활력 및 생존성과 난자의 투명대에 결합하는 정자 수와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활력 및 생존성이 높은 정자일수록 난자의 투명대에 많이 결합하여 정자의 잠재적 번식력이 증가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G-BSA나 DIMI의 희석액으로 희석된 후 $4^{\circ}C$에서 냉각 보관된 정자는 3주 동안 정자의 기능적 특성을 유지하였으며 냉각 보관 2주까지 좋은 성적의 정자 특성을 나타냈다. 개 정자 냉각 보존에 대안적인 희석액으로 G-BSA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연옥이 첨가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항아메바 효과 (Amoebicidal Effect of Nephrite-containing Contact Lens Storage Case)

  • 정재우;이종헌;박성희;유학선;김윤경;이지은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8권5호
    • /
    • pp.509-515
    • /
    • 2017
  • 목적: 연옥이 첨가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항아메바 효과를 일반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5% 연옥을 첨가하여 제작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일반보관용기에서 가시아메바 증식 정도를 비교하였고, 각각의 보관용기에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를 보관한 후 가시아메바의 부착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1% 및 5% 연옥수를 포함한 다목적관리용액에 콘택트렌즈를 보관한 후 가시아메바의 부착 정도를 측정하여 다목적관리용액 단독에 보관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결과: 일반용기에 비해 연옥이 포함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에서 가시아메바의 개체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2), 1, 2 및 3세대 렌즈를 보관했을 경우에도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가시아메바 수가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각각 p=0.001, p=0.001, 및 p<0.001). 1% 및 5% 연옥수를 포함한 다목적관리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다목적관리용액 단독에 비해 1세대 렌즈의 경우 부착된 가시아메바 개체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각각 p=0.03 및 p=0.004), 2 및 3세대 렌즈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각각 p=0.59 및 p=3.612와 p=0.450 및 p=0.462). 결론: 연옥이 포함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와 연옥수는 향후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에 의한 가시아메바 감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차세대 물질로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