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건교육확대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CHOOL HEALTH PROGRAMMES IN SOUTH AFRICA (남아공의 학교보건사업)

  • Greeff, Minri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1999.07a
    • /
    • pp.93-105
    • /
    • 1999
  • In recent decade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endency to emphasis the importance of preventative as opposed to the curative dimension of health care. More recently, the necessity of advocating for health promotion has been recognised. The concept health within the context of health promotion encompasses a comprehensive view of health or well-being that include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aspects.(omitted)

  • PDF

자판기 관련 식품위생법 및 시행규칙 개정령안 입법예고

  • Korea Vending Machine Manufacturers Association
    • Vending industry
    • /
    • v.7 no.1 s.19
    • /
    • pp.54-56
    • /
    • 2007
  • 보건복지부는 지난 1월 중순 식품위생법 및 시행규칙을 개정함에 있어 자판기 영업신고 및 위생교육에 관한 개정령안을 포함시켜 입법예고를 진행했다. 이번 입법예고에 따르면 동일 관할 구역에서 2대이상 설치하여 영업하는 식품자동판매기 영업신고시 일괄신고의 범위를 읍.면.동에서 시.군.구로 확대해 자판기를 대량 운영하는 OP업체들의 행정낭비와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했다. 아울러 자판기 영업자가 매년 받도록 되어 있던 위생교육을 2년마다 받도록 완화함으로써 위생교육에 대한 교육자의 불만과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게 했다. 이와 같은 식품위생법 및 시행규칙의 입법예고는 그간 본 협회의 지속적인 의견 개진과 건의가 받아들여진 결과로서 자판기 관련 운영자 준수사항에 대한 규제를 점차 업계 자율적으로 완화해 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하겠다. 본 협회에서는 위와 같은 입법예고 사항에 대해 찬성은 하되, 위생교육의 경우는 더욱 규제 완화를 희망하는 내용의 의견서를 보건복지부에 제출했다. 보건복지부는 일부 개정법률에 대한 의견을 취합 반영하여 최종 법률공포를 진행하게 된다.

  • PDF

THE STUDY OF CHANGES IN ORAL HEALTH CARE OF PRESCHOOLERS IN TAEBAEK CITY THROUGH ORAL HYGIENE EDUCATION (구강보건교육을 통한 태백시 미취학 아동들의 구강건강관리 변화에 대한 연구)

  • Moon, Sang-Jin;Park, Jae-Hong;Choi, Yeong-Chul;Choi, Su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6 no.1
    • /
    • pp.71-77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rovement in the dental health care of the children through oral hygiene education and TBI. In Taebaek public health care center, an oral hygiene education, TBI and fluoride gel application was conducted 2 times for about 631 preschool children living in Taebaek City. The ages of preschool children were from 4 to 7. To examine the changes, a questionnaire was written and distributed for the collecting the results after the education of the second half for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As a result, the children showe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ries through oral hygiene education and reduction of fright and fears for dental treatment. Many children learned how to brush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brushing. Children learned to be able to classify good food and bad food for teeth and showed the change in eating habits although in small part through the oral hygien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the oral hygiene education of the preschool children has effectiveness and it is in need for the expansion of oral hygiene education in homes, kindergartens and dental offices.

  • PDF

Subjective Oral Health Behaviors and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 With and Without Oral Health Education (보육교사의 구강보건교육경험유무에 따른 구강보건행태 및 인지도)

  • Jang, Kyeung-Ae;Seong, Mi-Kyu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9 no.3
    • /
    • pp.319-32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ce of Childcare Teacher about oral health education on oral health behaviors. For this, Questionnairs to be self-filled up about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were carried out to 267 childcare teachers who are working in nurseries in Geongnam province. The date was analys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obtained result were as follows. Among the respondents who are not under stress of oral health. 8.1% respondents had the oral health education and 7.7% others didn't have it. For toothbrushing methods, it was found that 25.3% used manual toothbrushing with experience in dental education(up and down toothbrushing monement) and 35.4% used semi automatic toothbrushing(rotational movement). 37.1% respondents had experiences in oral health education, 69.7% respondents were instructed in the oral health at public health center, and 61.6% respondents were instructed in the oral health a theory(toothbrushing guidance). Among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necessary, 83.4% of those have already had oral health education where as 73.8% respondents have not had the education. 67.7% of the respondents who want to participate in the oral health education is corresponding to those with experience in dental education, 66.1% respondents with no education feel the necessity of the oral health education.

  • PDF

A Study on Oral Health, Dental Care and Insurance Awareness in the Community During the COVID-19 Period (COVID-19 시기 지역사회 구강건강과 치과 치료 및 보험 인식에 관한 연구)

  • Son, Eun-Gyo;Park, Il-S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5
    • /
    • pp.643-651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oral health, dental treatment and insurance awareness of the community during the COVID-19 period from September 1 to October 29, 2021 for patients who visited a local dental clinic in Gangwon-do. For analysis, SPSS Statistics 24.0 program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oral health status, interest in oral health, and awareness of health insurance expansion affect dental treatment during the COVID-19 period. In addition, those who did not receive oral health education, those with a high school diploma or lower, and those with poor oral health showed positive results for dental treatment during the COVID-19.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publicity on oral health education, and to list the cost of infection control in health insurance and separate compensation materials. In future research,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hrough a variety of subjects and study the expansion of insurance in detail.

Preventive Intervention Approach to Health Education for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성인성 질환에 대한 보건교육에 있어서의 예방적 중재접근)

  • 김명호;한미란;추미호;오성희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3 no.1
    • /
    • pp.98-103
    • /
    • 1985
  • 근래에 이르러 예전의 좀 감정적인 용도로서의 성병(venereal disease)이라는 용어보다는 "성적으로" 전염되는 질환(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STDs)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STDs는 전염성 질환의 일단으로 그 주요한 전염경로가 성행위에 의한 것이다. 예전 용어 그 자체의 함축된 의미를 극소화시킬 필요성은 그렇다하더라도, 임질(gonorrhoea), 매독(syphilis), 비특이성(non-specific) 혹은 비임균성(non-gonococcal) 요도염 (urethritis), 연성하감(chancroid), 림포그래뉼로마 베네레움(lymphogranuloma venereum), 그래뉼로마 잉규나레(granuloma inguinale), 크라미디아 질환(chlamydial infection), 음부 혜르페스(genital herpes), 음부 사마귀(genital warts), 캔디다증(condidiasis), 트리코모나스(trichomoniasis), 마이코프라스마(mycoplasma))을 포함한 성병 (venereal disease)의 범위를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 B형 간염(hepatitis B), B형 연쇄상구균(B-streptococcus), 사이토메가로바이러스(cytomegalovirus)도 역시 성적 전염이 가능하다. 전염이 가능하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Oral Health Knowledge Level, Oral Health Education Request Level, and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GOHAI) of Some Elderly (일부 노인의 구강보건교육경험과 구강보건지식수준, 구강보건교육요구도 및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GOHAI)의 관련성)

  • Min, Hee-Hong;Jung, Su-Ji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2 no.1
    • /
    • pp.109-118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knowledge level, the oral health education request level, and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GOHAI) of the elderl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91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living in Chungbuk from January 6, 2020 to February 7, 2020, and for data analysis, χ2-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life as measured by GOHAI increased when they had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had a high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education request level, and had regular oral examinat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policie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by developing and continuously expanding opportunities for oral health education in various ways.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 (여성과 어린이 건강문제와 증진방안)

  • Park Jeong-Han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7b
    • /
    • pp.3-17
    • /
    • 2002
  • 국민건강은 국가발전의 기본조건이다. 국민건강은 건강한 어린이의 출산에서 비롯되고, 건강한 어린이의 출산을 위하여 여성이 건강해야 한다 따라서 여성과 어린이 건강보호와 증진을 위한 모자보건사업은 국가보건사업 중 최우선 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은 1960대부터 보건소를 통하여 가족계획, 산전관리, 안전분만유도, 예방접종을 중심으로 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와 전국민의료보험의 실현과 국민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산전관리 수진율과 시설분만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1990년대 후반에는 거의 100%에 도달하였고, 가족계획실천율도 1991년에 79.4%까지 증가하여 합계출산율이 1.6으로 감소하였고, 어린이 기본예방접종률도 90%이상이 되어 전염병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전통적인 모자보건사업 관련 지표들이 이렇게 향상되자 일선 보건요원에서부터 중앙정부의 정책결정권자에 이러기까지 모자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져 중앙부처의 모자보건업무 담당 부서도 축소되고, 모자보건 사업도 쇠퇴하였다. 그러나 어린이와 여성의 건강실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심각한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시설 분만율의 증가에 따라 제왕절개분만율이 40%대까지 급증하였고, 모유수유률은 10%대로 떨어졌다. 어린이의 체격은 커지고 있으나 체력은 떨어지고, 비만한 어린이가 급증하여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 유병률이 어린이들에게 증가하고, 사고에 의한 어린이 사망과 장애가 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의 흡연율과 음주률이 증가하고, 성적 성숙이 빨라지고 사회의 개방풍조로 성(性)활동 연령이 낮아지고 성활동이 증가하여 혼전임신과 성폭력이 증가하고 있다. 여성들은 일찍 단산하고, 폐경 연령은 높아지고, 평균수명은 길어져 중년기와 장년기 그리고 노년기가 길어져 각종 만성질환에 이환될 기회가 늘어났다. 이러한 시기의 중요 건강문제들은 뇌혈관질환, 폐암, 유방암, 골다공증, 뇨실금 등과 같이 해결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이렇게 어린이와 여성들에게 새로운 건강문제들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대응정책이 없었고, 따라서 새로운 모자보건사업이 개발되지 않았으며 일선 보건요원의 훈련도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건강실태를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하고, 보건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보건정보체계가 없는 실정이다. 1990년대 중반에 소수의 학자들이 어린이와 여성건강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하고, 모자보건사업 활성화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보건복지부가 '모자보건선도보건사업'이라는 이름으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간 23개 보건소에서 시범사업을 시행하였다. 이 시범사업에서는 한정된 자원으로 여성과 어린이 보건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보건사업의 개발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의 개발에 역점을 두어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시범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2002년에는 전국의 45개 보건소로 확대해나가고 있다. 모자보건선도보건사업에서는 임산부가 대상이었던 기존의 모자보건사업과는 달리 신생아, 영유아, 학동기 어린이, 청소년, 그리고 신혼부부에서부터 장년기 여성에 이르기까지 사업대상을 확대하고 생애주기에 따라 지역사회 건강문제해결을 목표로 한 보건사업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사업수행 과정에서 보건소는 지역내 대학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기술적 지원을 받고, 보건요원의 교육 훈련을 통해 사업기획 능력과 전문지식과 기술을 향상시켰고, 보건교육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를 구입하였고, 민간의료기관과 연계하여 보건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켰다. 모자보건 선도보건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취약계층 중심의 보건교육, 상담 및 지도, 고위험대상자 조기발견 및 민간기관 의뢰 및 주구관리, 질병 조기발견을 위한 검진 의뢰, 지역 보건통계 생산과 관리, 그리고 지역내 가용자원 안내 등이며,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민간의료기관에 의뢰 또는 검진비용을 지원하였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 민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함에 따라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하게 되었고,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치료, 사후관리를 포함한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고위험 및 건강의심 대상, 임부와 장년기 여성에 대해서는 건강검진서비스를 과감히 민간기관에 의뢰, 위탁하친 보건소는 상담자, 정보관리자로서의 역할로 전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업관리자의 양적 평가에 대한 고정관념과 질적 평가에 대한 인식부족, 기본 생정통계와 정보체계의 미비로 인한 부정확한 통계생산, 사업요원의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 그리고 인력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효율적인 사업확산과 조기 정착을 위해 중앙정부의 일관성 있는 정책과 재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보건정보체계확립, 그리고 공공보건기관과 민간의료기관간의 공식적인 협력체계확립이 필요하다. 사업추진 모니터링 및 평가, 조정을 위하여 중앙에 '모자보건 선도사업 기술지원단'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프로그램 운영이 잘되는 보건소를 특성화 보건소로 지원 육성하고, 사업요원의 업무 적정화를 위한 보건소 조직과 기존 보건사업체계의 평가와 재편이 필요하다. 보건사업요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훈련 시스템과 보건통계생산 관리를 위한 정보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모자보건사업관련 보건교육자료를 수집하고 개발하여 전국 보건소에 공급하는 중앙 보건교육자료 및 정보센터가 필요하다.

  • PDF

보건산업 종사자의 교육훈련 참여 애로요인에 대한 분석연구

  • Gwon, Gyeong-Seop;Lee, Dae-Hyeong;Park, Geun-Yeong;Choe, Hyeon-Ju;Kim, Ju-H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55-158
    • /
    • 2018
  • 교육훈련은 기업의 인적자본을 축적하고 혁신을 자극하여 공급측면을 확장한다. 또한 기업 경쟁력 강화에 따른 임금상승과 소비증대, 투자 확대 등 총수요 확장효과도 있다. 그러나 만성적인 현장의 인력 부족, 높은 비정규직 비율 등의 특성을 안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우 근로자에 대한 교육훈련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래신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는 보건산업분야 교육담당자 및 교육생을 대상으로 교육참여 애로사항을 조사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업종 및 기업규모와 관련 없이 가장 큰 애로요인은 교육에 참가할 시간부족이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병원분야가 제조업인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분야 보다 시간적 제약에 대한 지적이 많아 병원분야 인력부족 문제가 교육 참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둘째, 지방소재 기업일수록 지리적 접근성을 애로요인으로 지적하고 있어 지역 교육 및 기업 현장으로의 찾아가는 교육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셋째, 중소기업에서 교육정보 인지도를 문제로 지적했는데, 이는 교육 관련 조직이 미비한 중소기업일수록 교육정보 확보 및 사내전파가 낮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단기 다수교육과정 즉 카페테리아식 교육과정과 사이버과정을 통한 종사자들의 선택권 강화, 지역 및 기업 현장으로의 찾아가는 교육, 중소기업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정보 제공 및 사내 전파, 교육참여 우수기업과 종사자에 대한 표창 등의 유인체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Education Need of the Visit 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Public Health Facilities (일부 공공보건기관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 조사)

  • Kim, Young-Lak;Kim, Shin-Woel;Chung, Eun-Kyung;Choi, Jin-Su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7 no.1
    • /
    • pp.51-64
    • /
    • 2002
  •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visiting health service workers. The subjects were 144 visit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rea who responded the mail questionnai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July, 2001 using questionnaire composed of the education need, knowledge by subjective appraisal, and experience of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received at least one education within recent three years were 43(29.9%) at the central level, 57(39.6%) at the provincial level and 53(36.8%) at the district level. The satisfaction with education was higher at the central level than at the provincial and district level. 2. Knowledges by subjective appraisal on the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was relatively high. while that of 'rehabilitation' was low. 3. The knowledge by subjective appraisal of visiting health service was related with experience of education and license status. The knowledge was higher in registered nurses than in nurse aids. The curricula related to increased level of knowledge of visting health service workers were 'elderly health care', 'rehabilitation' and 'psychiatric-mental health nursing' educations at the central level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community health practioners' and 'psychiatric-mental health education' at the provincial level and 'elderly health care', 'rehabilitation' 'psychiatric-mental health' and 'acute diseases control' educations at the district level. 4. The respondents preferred elderly health management as the contents of education, officer group education as the method of education, province(30.4%) as the main body of education, exercise and practice as the form of education, 2-3 times per year as the frequency of education, and 3-5days as the period of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suggest that future education program should be planned to increae the knowledge level of visiting health service workers by reflecting their educational ne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