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조구사(變調構詞)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민남어사전(閩南語辭典) 《하문음신자전(廈門音新字典)》 중 문백이독(文白異讀)과 고대(古代) 중국어(中國語) 변조구사(變調構詞)의 음의관계(音義關係) 소고(小考) - 변조구사(變調構詞)의 음의관계(音義關係)와 일치되는 용례를 위주로

  • 염재웅
    • 중국학논총
    • /
    • 제68호
    • /
    • pp.1-28
    • /
    • 2020
  • 本論文的目的在於探討古代漢語變調構詞的音義關係在閩南語詞典《廈新典》的文白異讀當中如何傳承下來。本研究尤其關注古代漢語的變調構詞與《廈新典》文白異讀的音義關係之間擁有緊密聯繫的七個例子, 並把此七例分成兩類, 《廈新典》中的"讀"字, "孫(遜)"字保留了與變調構詞完全一致的音義關係, 此類例子也保留了與現代漢語完全一致的音義關係。《廈新典》中的"塞"字, "取(娶)"字, "厭"字, "喪"字, "勞"字表示與變調構詞緊密的音義對應關係, 但是我們也能發現部分文讀音或者白話音的音義關係中略有出入。從變調構詞的觀點把《廈新典》中文白異讀音義關係的錯誤做了比較, 查到了《廈新典》中有關文讀音音義關係釋義的錯誤有9例, 有關白話音音義關係的錯誤有3例, 前者比後者的錯誤多達4倍。另外, 《廈新典》中義項的錯誤發生次數爲9次, 《臺多音》中義項的錯誤發生次數爲3次。此統計數字反映了與上古漢語有密切關係的白話音層次與中古漢語時期以來屢次持續傳入閩方言層次的差異。我們認為這些錯誤與英國牧師甘爲霖編著《廈新典》的目的應該有密切關係。

이상은(李商隱) 시(詩) 구주(舊注) 중에 나타난 시어(詩語)의 음의관계(音義關係) 연구(硏究) (A Phonetic and Semantic Analysis on the Annotations of Li ShangYin (李商隱)'s Poetry)

  • 염재웅
    • 비교문화연구
    • /
    • 제52권
    • /
    • pp.341-369
    • /
    • 2018
  • 이상은(李商隱)은 만당(晩唐)시기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590여수의 시를 남겼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은(李商隱) 시(詩)에 대한 역대 학자들의 주석(注釋)을 통하여 시어(詩語) 속에 담긴 다양한 음의관계(音義關係)와 특징을 탐색했다. 그 결과 "시어(詩語)의 음의관계(音義關係)를 설명(說明)한 용례" 12개와 "시어(詩語)의 특징(特徵) 및 운율(韻律)을 설명(說明)한 용례" 5개의 핵심적인 용례를 찾아냈다. 특히 "시어(詩語)의 음의관계(音義關係)를 설명(說明)한 용례"를 분석해보니 이상은(李商隱) 시어(詩語)의 주석(注釋)과 고대(古代) 중국어의 음의관계가 일치하는 유형과 그렇지 않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유형에 대한 세부 분석을 위해서 시율(詩律)의 평측(平仄)을 적용했다.

호흡주기에 따른 방사선입체조형치료법의 개발 (Development of Conformal Radiotherapy with Respiratory Gate Device)

  • 추성실;조광환;이창걸;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41-52
    • /
    • 2002
  • 목적 : 호흡주기에 따른 위치변동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종양의 위치가 일정워치에 있을 때만 방사선을 치료하는 호흡 동기치료기구를 제작하고 일정한 호흡주기 상태에서 수행된 CT simulation과 3차원 입체조형치료계획에 따라 방사선을 치료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호흡유무에 따른 종양의 치료 마진(margin)을 측정하고 계획용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PTV)의 크기에 따른 선량체적표(dose volume histogram:DVH)와 종양억제확률(tumor control probability:NTCP), 건강조직손상확률(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NTCP) 및 선량 통계자료를 통하여 치료성과를 평가하고 선량증강 범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종양이 비교적 작고 전이가 없는(T1N0M0) 5명의 폐암환자를 선택하여 X-선 조준장치를 이용하여 횡격막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내부장기의 운동을 평가하였다. 호흡동기치료기구는 끌어당김 센서가 부착된 허리띠 모양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흉곽 또는 복부에 부착하여 호흡주기에 의한 흉곽의 크기변동에 따라 센서의 회로가 개폐되고 이것을 선형가속기의 조종간에 연결하는 간단한 기구로서 감도와 재현성이 높았다. 호흡을 배기한 후 일시적 호흡이 정지된 상태에서 Spiral-CT (PQ-5000)로 3차원 영상을 획득하고 Virtual CT-simulator (AcQ-SIM)에 의하여 종양의 위치와 주위 장기들을 확인 도시하였으며 3차원 치료계획장치(Pinnacle, ADAC Co.)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조형치료를 계획하였다. 치료계획의 평가는 호흡동기치료기구의 사용유무에 따른 PTV의 크기에 따라 최적 선량분포를 구사하였으며 각각의 DVH, TCP, NTCP 및 선량통계자료를 도출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 X-선 simulation에서 폐암환자의 횡격막 이동은 약 1 cm에서 2.5 cm로서 평균 1.5 cm로 측정되었고 자유호흡시 PTV는 CTV (clinical target volume)에 약 2 cm 마진을 주었으며 호흡동기치료기구를 사용하였을 때는 0.5 cm 마진이 적당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종양의 PTV는 연장 마진의 거의 자승비로 증가하였으며 TCP의 값은 마진 범위 $(0.5\~2.0\;cm)$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였고 NTCP의 값은 마진 크기에 따라 평균 $65\%$로 급속히 증가하였다. 결론 : 호흡주기에 따른 위치변동 감지센서를 이용한 호흡동기치료기구는 종양의 위치가 일정할 때만 방사선이 조사되는 간단하고 정확한 장치로서 3차원 입체조형치료 및 강도변조방사선치료에서 매우 유용한 장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호흡조절 방사선입체조형치료방법의 기술과 시술절차를 확립시키고 정량적인 선량평가를 위하여 DVH, TCP, NTCP 등의 정량분석과 종양의 투여 선량 증가량(dose escalation)을 예측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