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이종

검색결과 1,176건 처리시간 0.028초

ITS 서열에 의한 한국 왕대속 식물종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Phylogenic Study of Genus Phyllostachys (Phyllostachys) in Korea by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ITS))

  • 이송진;허만규;허홍욱;이병룡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81-1287
    • /
    • 2011
  • 왕대속은 벼과 또는 화본과에 속하는 다년생 목본성 초본이며 아시아의 인도와 중국에 많은 종이 주로 분포한다. 식물에서 속간 속내 계통관계 추론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 ITS 부위가 있다. 이 속에 속하는 우리나라 자생 식물 왕대 속내 네 식물종 간 계통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핵 게놈의 ITS 부위로 평가하였다. DNA 서열 배당은 많은 갭(gaps)을 가지고 있었다. 이 속 내 서열 변이는 일부 삽입과 결실이 발견되었고 속내 종간 변이는 자연도태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속의 오죽과 분죽은 세 계통도(MP, ML, and NJ)에서 모두 같은 분지군을 형성하여 가장 근연관계에 있었다. 기존의 형태학적 특성과 단순 반복 서열(ISSR)의 결과와 유사한 계통 관계를 나타내어 왕대속에서 ITS의 서열이 이들 분류군에 매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땅콩 종실의 크기와 자엽절단정도가 발아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Size and Cotyledon Removal on Germination and Yields in Peanuts)

  • 이정일;박희운;한의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5-251
    • /
    • 1985
  • 땅콩품종에 대한 입중의 변이를 조사하였으며, 동일품종에서의 종자크기에 따른 발아력, 생육 및 수량을 비교하는 한편 자엽을 인위적으로 절단, 조절했을 때의 생육과 수량에 대한 반응을 검토하였다. 1. 입중의 변이는 소립품종보다 대립종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2. Cold test에 의한 발아시험결과 종자가 작을수록 발아율이 낮았으며 포장출아율도 떨어졌다. 3. 종자크기에 따른 후기생육의 차이는 없었으나 소립품종의 경우는 종자가 큰 것을 파종했을 때 수량이 많았다. 4. 자엽의 일부를 절단하였을 때는 개화성기의 생육이 정상종자보다 저조했으나 협비대기이후에는 차이가 없었다. 5. 소립품종에서는 자엽절단이 수량을 감소시키나대립종에서는 정상립과 차이가 없었다.

  • PDF

지리산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식물화학적 변이 양상 - 분류학적, 생태학적 의미 - (Phytochemical variation of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and Quercus serrata Murray (Fagaceae) in Mt. Jiri, Korea - Their taxonomical and ecological implications -)

  • 박진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74-58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와 졸참나무(Q. serrata Murray) 두 종의 수직분포 양상을 관찰하고, 지리산 지역을 중심으로 두 종간의 교잡이입 및 유전자 전달 가능성을 식물화학적 분석을 통해 추론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수직분포는 위도에 따라 지역 간 차이가 난다. 중부지방에서는 신갈나무가 해발 100~200m의 낮은 고도에서부터 고재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나 남부지방의 경우 일반적으로 해발 300m 이하 저지대에서는 거의 분포하지 않으며, 졸참나무는 중부지방의 경우 저지대에서 주로 관찰되며 해발 500~700m이상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으나 남부지방의 경우 해발 1,000m이상에서도 관찰된다. 두 종은 분포대가 달라 신갈나무는 주로 높은 해발고도에서 졸참나무는 주로 낮은 해발고도에서 생육하나, 상당한 범위의 고도 구간에서 두 종은 혼생한다. 지리산 지역을 위주로 설악산, 소백산, 마니산 등에서 채집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잎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분석한 결과, 2종 37개체로부터 총 23종류의 서로 다른 화합물이 분리, 동정되었다. 이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flavonol인 kaempferol, quercetin, myricetin 및 isorhamnetin에 당이 결합된 flavonol glycoside이었으며, 4 종류의 acylated flavonoid compound가 동정되었다. 이들 중 kaempferol 3-O-glucoside, quercetin 3-O-glucoside와 quercetin 3-O-galactoside 및 이들의 acylated compounds가 주요 성분으로 두 종의 모든 개체에서 나타났다. 신갈나무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졸참나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diglycoside인 quercetin 3-O-arabinosylglucoside가 분포하며, acylated compound인 acylated kaempferol 3-O-glucoside, acylated quercetin 3-O-galactoside 및 acylated quercetin 3-O-glucoside가 다량 분포한다는 점에서 졸참나무의 flavonoid 조성과 구분된다. 졸참나무의 flavonoid 조성은 3개의 rhamnosyl flavonol compounds가 전체 졸참나무 개체에 걸쳐서 나타나며 또한 신갈나무에 비해 다량으로 나타나고, diglycoside인 kaempferol 3-O-rhamnosylglucoside를 함유하는 특징을 갖는다. 두 종 개체들의 flavonoid 조성은 고도에 따라 종내 개체 간 변이가 있었으며, 동소적으로 분포하는 두 종의 개체들은 대체로 상대 종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을 정량적으로 또는 정성적으로 닮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지리산 지역에서 두 종간에 교잡이입을 통한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고 있음을 강하게 암시한다. 이와 같은 상호 교배 및 교잡이입 가능성으로 볼 때, 형태적으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중간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물참나무는 두 종을 부모종으로 하는 교잡에 의해 생긴 잡종분류군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한림 심포지움 - 생물다양성정보화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지식정보인프라
    • /
    • 통권10호
    • /
    • pp.108-125
    • /
    • 2002
  • 한림 심포지움의 개최 목적은 국내의 일차 유전자원인 자연상태의 동물, 식물, 미생물의 현지내외 보전과 이차 유전자원인 수정란, 인위적 변이종, knockout mutant, 형질전환 생물 등의 보전을 포괄적이고, 체계적이며, 장기적으로 관장하기 위하여 관련 DB를 정보화, 네트워크화함으로써 생물자원의 산업적 이용을 촉진할 수 있는 마스터플랜을 세우고, 국내 생물자원의 발굴, 보존, 분양, 연구, 산업적 이용 등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생물다양성DB 및 네트워크 구축, 부처간 역할 분담과 협력체계 수립, 국가차원의 관련 정보의관리 및 이용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중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전략을 확립하기 위함이었다.

  • PDF

야생버섯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Extracts from Wild Mushrooms)

  • 박선희;김옥미;이갑득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728-732
    • /
    • 1999
  • 천연물질로부터 항돌연변이원성 물질 및 항암 물질 탐색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11종의 국내산 야생 버섯류로 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Ames test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농도에서 털이버섯(Lactarius piperatus), 노란다발독버섯(Naematolona fasciculare) 및 금빛시루뻔버섯(Innotus xeran- ticus)의 메탄올 추출물은 Salmi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 균주에서 추출물의 농도에 관계없이 간접변이원인 B(a)P에 대하여 40~80% 정도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직접변이원인 MNNG에 대해서는 60~80% 정도의 비교적 높은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온천수의 생리활성 검색

  • 문선영;김수현;최승필;이득식;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37.1-137
    • /
    • 2003
  • 예로부터 류마티스 및 습진과 같은 피부병 등에 치료 효과가 있어 민간요법으로 널리 이용하여 왔던 천연수 중 하나인 온천수에 대하여 성분 분석 및 각종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943m에서 취수된 경산 사이판 온천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성분을 분석한 결과 17종류의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그중 무기물이 11종이 분석이 되었고 다른 온천수와 비교하여 K이나 Na가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각종 발암성 물질에 대하여 경산 사이판 온천수의 돌연변이 억제활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Samonella typhimurium TA98을 이용하여 Ames test를 행하였다. 그 결과 직접변이원인 4NQO에서는 40%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간접변이원인 Trp-P-1과 B(a)P은 각각 52.4%, 43.1%의 비교적 낮은 억제활성을 보였다. 또한 경산 사이판 온천수의 항암활성 규명을 위해 인간 암세포주를 이용한 SRB assay를 행하였는데 폐암세포인 A549에서는 66%, 위암세포인 AGS에서 45.6%, 유방암세포인 MCF-7에서 37%, 자궁암세포인 HeLa에서는 47.5%, 그리고 간암세포인 Hep3B에서는 52.7%의 억제율을 보였다.

  • PDF

온일도를 시간단위로 한 쌀바구미 생명표 통계량 (Life Table Statistics of the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L.)(Coleoptera: Curculionidae) on the Degree-Day Scale)

  • 류문일;조기종;유춘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4-20
    • /
    • 1988
  • 쌀바구미 생명표 통계량을 정온 조건과 실온 조건에서 산출하였다. 온일도를 단위로 하였을 때 $20^{\circ}$~ $30^{\circ}$ 범위내 정온 조건에서의 통계량은 실온 조건에서의 통계량과 유사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온도간의 변이는 실온에서의 간 변이와 유사하였다. 이 결과는 온일도를 시간단위로 할 때 쌀바구미의 생화사가 표준화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쌀바구미는 $368pm$41.2DD에서 산란을 시작하여 $1391.0\pm$38.7DD에서 멈추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외적 자연회가졸 밀도 음가 기간과 평균세대 기간은 각각$ 0.0052\pm$0.0006/DD, $134.7\pm$15.0 DD 그리고 $715.2\pm$53.6 DD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 PDF

제주도에서 채집된 청베도라치과(Blenniidae) 갈기베도라치 Scartella emarginata (First Reliable Record of the Maned Blenny Scartella emarginata (Perciformes: Blenniidae) from Jeju Island, Korea)

  • 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5-128
    • /
    • 2009
  •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자치어만 기록된 청베도라치과 갈기베도라치(Scartella emarginata)의 성체 1개체와 유어 2개체가 제주도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기에 이들을 근거로 본 종의 형태적 특징을 상세하게 기재하였다. 갈기베도라치는 두부 정중선을 따라 부채살 모양의 피변이 있고, 눈의 상부와 비공에 분지된 1개의 피변이 있으며, 양턱에 견치가 없는 특징이 있다.

강원도 고성 연안에서 출현한 검은띠눈횟대 Nautichthys pribilovius의 유어 (Record of a Juvenile Eyeshade Sculfin, Nautichthys pribilovius from Goseong, Korea)

  • 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34-238
    • /
    • 2013
  • 강원도 고성 연안에서 채집된 삼세기과 검은띠눈횟대 유어 1개체(32.3 mm SL)를 국내 최초 유어 출현 기록으로 기재 보고한다. 본 종은 몸 전체가 미소한 융모형 비늘로 덮여 있는 점, 안와 상부에 삼각형의 융기연과 잘 발달된 피변이 있는 점, 후두부에 2개의 끝이 무딘 혹 모양의 돌기가 있는 점, 전새개골에 4개의 뭉툭한 가시가 있는 점, 그리고 눈의 하방에 전새개골의 하단까지 도달하는 흑색 띠가 있는 점 등이 특징이며, 일부 계측형질과 체색에서는 성장에 따른 변이가 관찰되었다.

자극성 섬유종에서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expression of mast cell and macrophage in irritation fibroma)

  • 한혜연;강남규;유미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74-180
    • /
    • 2013
  • 연구목적 : 자극성 섬유종은 만성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구강내 증식성 병변이다. 상처치유의 초기 과정에서는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가 섬유모세포의 이주, 증식, 아교질합성 등에 연관되어 있는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자극성 섬유종을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세분하고, 각각의 조직학적 아형에서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발현을 조사하여 자극성 섬유종의 발생 기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82예의 자극성 섬유종을 조직 소견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자극성 섬유종과 10예의 정상 구강점막에 톨루이딘 블루 염색과 CD 68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계화하여 자극성 섬유종의 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분포 정도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 통계 결과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분포는 자극성 섬유종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Spearman 상관계수는 0.693이었다. 결론 : 조직의 섬유화에 관여하는 비만 세포는 자극성 섬유종의 cellular type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대식 세포도 자극성 섬유종의 모든 아형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자극성 섬유종의 형성 과정에는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