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온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4초

Lycoris속(屬)의 종자발아(種子發芽) 특성(特性)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of Lycoris genera)

  • 박윤점;정연옥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3-171
    • /
    • 1996
  • Lycoris의 종자발아(種子發芽)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고자 온도(溫度), 채종시기(採種時期)와 파종시기(播種時期), 파종용토(播種用土)과 용토(用土)의 수분량(水分量) 및 광선(光線)의 유무(有無)가 종자발아(種子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백양꽃과 개상사화(想思花)는 90% 이상 결실(結實)하였고 종자성숙(種子成熟)은 $9{\sim}10$월 상순(上旬)으로 나타났는데 60% 이상의 발아율(發芽率)을 얻는데는 6개월이 소요되었다. 2. 발아적온(發芽適溫)은 $25^{\circ}C$로 나타났고 변온처리(變溫處理)는 $20,\;25^{\circ}C$에서 효과적(效果的)이었다. 3. 채종적기(採種適期)는 9월(月) 20일(日)경이었고 파종시기(播種時期)는 채종(採種) 즉시 파종(播種)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4. 파종용토(播種用土)은 사양토가 가장 좋았고 용토(用土)의 수분량(水分量)은 용토(用土) 400mg당 PF 1. 9가 가장 적당하였다. 4. 종자발아(種子發芽)는 암조건(暗條件)이 명조건(明條件)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천잠의 사육기술체계에 관한 연구 - 사육환경요인과 견질을 중심으로 - (Study on Technical System of Rearing Japanese Oak Silkworm, Antheraea Yamamai Cuerin-Meneville)

  • 김주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0-137
    • /
    • 1994
  • 천잠의 사육환경을 구명하기 위하여 사료자원, 기상환경 및 사육방법등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천잠의 실내사육에 있어 사육온도는 항온보다 변온이 좋은 편이며, 치잠기 25~26$^{\circ}C$, 장잠기 22~23$^{\circ}C$ 범위가, 사육습도는 치잠기 80~90%, 장잠기 60~70% 범위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천잠사육에 있어 광조기는 유충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아니하였다. 3. 귀잠시기는 빠른것이 늦은 것보다 유충시기에 단축되는 경향이 있으며 질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사료수종은 상수리나무가 밤나무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수보다 재배수가 사육성육이 더 좋았다. 5. 천잠을 옥외사육으로 전환하는 시기는 빠를수럭 작황이 불안정해 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학술자료 - 한국산(韓國産) 박쥐류(類)의 흡충류(吸蟲類)

  • 이재구;김현철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46권1호
    • /
    • pp.63-72
    • /
    • 2010
  • 지구상에 서식하고 있는 포유강(Class: Mammalia), 박쥐목(Order: Chiroptera)에 속하는 박쥐류는 1,000여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포유류 중에서 1/4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2/3는 곤충류를 포식하는 식충성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박쥐류는 관박쥐과(Family:Rhinolophidae) 2종, 애기박쥐과(Family: Vespertilionidae) 28종, 큰귀박쥐과(Family: Molossidae) 1종으로서 총 31종이며, 모두 식충성 동물이다. 흡충류라고 하는 것은 편형동물문에 속하는 기생성 동물의 한 군으로서, 항온동물의 장이나 그 밖에 조직에 기생하는 것은 모두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중간숙주를 필요로 하는 이생 흡충이다. 제1중간숙주는 고둥이지만 제2중간숙주는 여러 가지 변온동물로서 그 대부분은 생활사에 있어서 수서 생활을 하는 시기가 있는 것에 한정되지만 이는 제1중간숙주의 체내에서 형성된 꼬리유충이라고 하는 흡충류의 유생이 보통 물 속을 헤엄쳐 다니다가 제2중간숙주에 침입하게 된다. 박쥐류는 여러 가지 땅강아지나 개똥벌레를 포식하기 때문에 이들 유생이 물 속에서 흡충류의 피낭유충에 감염되었을 경우 박쥐류가 흡충류의 종숙주로서 적합하면 그 체내에서 피낭유충이 장에서 탈랑하여 드디어 성충으로 된다. 만일, 감염된 수서 곤충의 유생이 우화되면 그 유생 시대에 감염된 피낭유충이 그 숙주의 변태와는 상관없이 그 기생이 이어져 적당한 종숙주에게 섭취되기를 기다리게 된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박쥐류에 기생하는 흡충류에 관한 조사 연구는 일찌기 도쿄문리과 대학 동물학 연구실의 Ogata(1938)에 의하여 이루어진 이래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의 Park(1939a,b)과 후쿠오까대학 의학부의 Kifune et al.(1983, 1997)이 있을 뿐 우리나라 학자에 의한 연구 보고는 접할 수 없는 형편이다. 그럼으로, 우리나라 학자도 이에 관한 더욱 더 깊은 관심을 가져야할 것으로 생각하는 바 이에 지금까지 보고된 자료를 종합, 검토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반하의 재배환경에 따른 생육 및 수량 (Cultural Environments on Growth and Tuberlet Yield of Pinellia ternata(Thunb.) Breit)

  • 김영진;박문수;박호기;김선;김태수;장영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40-245
    • /
    • 1995
  • 기내에서 직접 대량 생산하여 생산된 반하 소괴경을 인공재배할 수 있는 온도, 일장 및 생장조절제 반응 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반하 생육에 알맞은 온도 조건은 항온보다는 변온에서 좋았다. 2. 일장 조건은 6시간/일 단일 조건에서 괴경, 물질생산 및 자구생산에 유리하였다. 3. 반하괴경의 수량은 2.4-D 0. 1ppm, Kinetin 10ppm 및 gibberellin 50ppm에서 양호 하였다. 4. 반하의 자구 형성은 2. 4-D 10ppm 과 gibberellin 10ppm에서 좋았다. 5. 콜히친 침지처리는 반하의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나 자구의 형성에는 콜히친 0. 05%에서 48시간 침지처리 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6. 콜히친 적하처리에서는 콜히친 0. 1%에서 1일 1회 적하처리할 때 괴경건물 생산량이 가장 높았고 자구형성은 콜히친 0.05%에서 매일 1회씩 5일간 적하처리할 때 가장 좋았다.

  • PDF

사육온도 및 광조시간이 끝동매미충의 발육과 산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Day-Length Conditions on the Growth and Fecundity of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 송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87-191
    • /
    • 1978
  • 본 실험은 끝동매미충의 온도와 일장조건에 따른 발육도 및 증식능력을 조사하여 실내 대양사육에 적합한 온도와 일장의 범위를 밝히고 나아가 온도와 발육속도와의 함수관계를 유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교적 고온조건인 $33^{\circ}C$$35^{\circ}C$에서 약충의 발육이 빠르a 우화율이 높았으나 변온처리($28^{\circ}C$$319{\circ}C$ 각 12시간)에서는 발육이 지연되었다. 2. 성충의 산란력은 고온$(35^{\circ}C)$)에서 약충기를 거친 성충은 산란수가 매우 적었으나 $29^{\circ}C$에서 우화한 성충은 고온$(33^{\circ}C)$에서 많은 산란을 하였다. 3. $29^{\circ}C$에서의 일장은 약충의 발육 및 우화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4. 약충의 발육속도는 $29^{\circ}C$까지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빨라졌으나 고온$(33-35^{\circ}C)$에서는 증가율이 둔화되는 결과를 얻었다. 5. 이상의 결과로 적합한 사육조건은 약충기에 $27-29^{\circ}C$, 성충기에 $33^{\circ}C$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온도 , 광 및 Gibberellic Acid 처리가 참꽃나무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mperature, light and gibberellic acid on seed germination of Rhododendron weyrichii Max.)

  • 황환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1-46
    • /
    • 1995
  • 조경용(造景用) 및 분재용(栽用) 화목(花木)으로 개발가치가 매우 높은 참꽃나무의 종자발아특성(種子發芽特性)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항온조건(恒溫條件)에서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20^{\circ}C$이었고 $25^{\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발아가 심하게 억제되었다. 한편 $15^{\circ}C$에서는 초기발아노(初期發芽努)는 저조하였지만 최종발아율은 $20^{\circ}C$에서와 거의 비슷하였다. 2. 야간온도(夜間溫度)를 $15^{\circ}C$로 고정한 변온처리(變溫處理)를 통하여 $25^{\circ}C$$30^{\circ}C$의 고온처리구(高溫處理區)에서 항온처리에 비하여 발아율이 현저하게 높아겼다. 3. 황색(黃色) 및 적색광(赤色光)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유의성(有意性)있게 발아율이 증가하였고, 녹색광(綠色光)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발아율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또한 암처리구(暗處理區)에서는 전혀 발아하지 못하여 참꽃나무 종자는 절대적(絶對的) 광발아성(光發芽性) 종자(種子)임이 확인되었다. 4. 암조건(暗條件)에서도 $50{\sim}100ppm$ 농도(濃度)의 GA처리에 의하여 발아(發芽)가 가능하여 GA의 광대체효과(光對替效果)가 확인되었다.

  • PDF

혼합냉매의 환상 유동 증발열전달 해석 (Analysis of Convective Boiling Heat Transfer for Refrigerant Mixtures in Annular Horizontal Flow)

  • 신지영;김민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0권2호
    • /
    • pp.720-729
    • /
    • 1996
  • An analysis of convective boiling heat transfer for refrigerant mixtures is performed for an annular flow to investigate the degradation of the heat transfer rate. Annular flow is selected in this study because a great portion of the evaporator in the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s known to be in the annular flow regime. Mass transfer effect due to composition difference between liquid and vapor is included in this analysis,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driving forces for the mass transfer at the interface. Due to the concentration gradient at the interface the mass transfer is interfered, so is the evaporative heat transfer at the interface. The mass transfer resistance makes the interface temperature slightly higher and, as a result,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s decrease compared with those without mass transfer effects. The degradatioin of the heat transfer rate reaches its maximum at a certain composition. The composition difference between vapor core and vapor at the interface has a direct effect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vapor core and the interface and the degradation of the heat transfer rate. Correction factor $C_{F}$ for the mixture effects is added to the correlation for pure substances and the flow boiling heat transfer coefficients can be calculated using the modified equation.n.

포지(圃地)에 있어서 들메나무의 종자발아(種字發芽) 및 묘목생육밀도(苗木生育密度)에 관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Density of Fraxinus mandshruica in Nursery)

  • 정성호;김종원;이근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9-11
    • /
    • 1984
  • 우리나라 중부(中部) 산간지방(山間地方) 고산지대(高山地帶)에 분포(分布)하고 있는 들메나무 천연림(天然林)에서 종자(種子)를 채취(採取)하여 3가지 방법(方法)으로 발아촉진(發芽促進) 처리(處理)를 하여 묘상(苗床)에 파종(播種), 발아율(發芽率)을 비교(比較)하고, 생육밀도(生育密度)를 다르게 조절(調節)하여 육묘후(育苗後) 묘목(苗木)의 생장(生長)을 비교(比較)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들메나무의 1-0 묘(苗)의 경우(境遇) 양묘시업(養苗施業) 기준(基準) 본수(本數)는 $1m^2$당(當) 80본(本)을 생립(生立)시켜 육묘(育苗)하는 것이 적정(適正)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2) 들메나무 종자(種子)의 발아촉진(發芽促進) 처리(處理)에 따른 3 방법중(方法中) 당년(當年)의 발아율(發芽率)은 항온습윤저장(恒温濕潤貯藏) 19.9%, 변온급여저장(變温給與貯藏) 2.3%, 노천매장(露天埋藏) 0.4 %로 나타났다. 3) 들메나무의 전(全) 시험(試驗) 묘목중(苗木中) 8.1%에 해당(該當)하는 묘목(苗木)은 2차(次) 상장생장(上長生長)을 하였다.

  • PDF

국제종자검정협회(ISTA) 변온조건에서 비탈면 복원용 주요 초화류의 발아율 및 발아속도 (Germination Percentage and Speed under International Seed Testing Association Conditions of Main Herbaceous Plants Used on the Slope)

  • 박진아;심상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7-56
    • /
    • 2018
  • Research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pattern of 14 herbaceous plant entries used on the road slope during 30 days. An alternative germination condition for 14 herbaceous plant entries required by International Seed Testing Association(ISTA) was applied in the experiment, consisting of 8-hr light at $25^{\circ}C$ and 16-hr dark at $15^{\circ}C$.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first germination rate(0.3%~40.7%)and in the final germination rate(7.7%~93.3%). Days to the first germination(2~8days), days to the 30% germination(2~6days) and days to the peak germination(6~18days) were different among 14 herbaceous plant entries in the study. From this result, we could find out higher final germination rate of 14 herbaceous plant entries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forage crops and cool-season turfgrasses; Second, herbeceous flowers; Third, wild plants. We could also divide germination rate among 14 herbaceous plant entries as 6 groups(I;very high, II;high, III;medium high, IV;medium low, V;low, VI;very low) based on the final germination rate and divide germination speed as 5 groups(A;very fast, B;fast, C;normal, D;slow, E;very slow)based on days to the peak germination. Considering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pattern of 14 herbaceous plant entries Medicago sativa, Lolium perenne, Festuca arundinacea and Cosmos sulphureus were regard as dominating species while Lespedeza cuneata, Silene armeria, Lotus corniculatus var.japonicus, Coreopsis tinctoria and Centaurea cyanus as competitive species following dominating species. However, Chrysanthemum burbankii, Pennisetum alopecuroides, Chrysanthemum boreale.,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Arundinella hirta were not almost expected to emerge.

BA살포후 주야 온도처리가 동양란 '철골소심'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y and Night Temperatures on Flowering after Spraying Benzyladenine (BA) in Cymbidium ensifolium 'Tekkotsusosin')

  • 이영란;김재영;김병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6호
    • /
    • pp.755-757
    • /
    • 1999
  • 본 연구는 동양란 '철골소심'의 개화증진을 위하여 BA처리후 적정한 관리온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개화율은 주야간의 기온이 $30/25^{\circ}C$을 유지했을 때 90%, $25/20^{\circ}C$와 대조구에서 50%로 나타났으며 $20/15^{\circ}C$처리에서는 전혀 개화가 되지 않았다. 기형화율은 $25/20^{\circ}C$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30/25^{\circ}C$에서는 4%, 대조구에서는 9%로 나타났다. $30/25^{\circ}C$에서 화경장, 화경수 등이 증가하였고 화아품질이 향상되었다. BA 살포 후 철골소심의 개화 유도를 위한 한계 기온은 $20^{\circ}C$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