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변동시점

Search Result 30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cision of Sample Size on Successive Occasions (계속조사에서의 표본크기 결정)

  • Park, Hyeonah;Na, Seongryo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7 no.4
    • /
    • pp.513-521
    • /
    • 2014
  • If the target error of an estimator at the present time is greater tha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CV) of the estimator at the previous time, sample size at this point should be decreased. Various papers have researched sample size determination methods using the CV of an estimator at the previous time, variation of population size and target error of the estimator at this time in sampling on successive occasions. We research a new sample size determination method additionally using change of population CV. We compare the proposed method with existing ones in various simulation settings.

Development of Reference Epoch Adjustment Model for Correction of GPS Precise Point Positioning Results (GPS 정밀단독측위 성과의 보정을 위한 기준시점 조정모델 개발)

  • Sung, Woo-Jin;Yun, Hong-Sik;Hwang, Jin-Sang;Cho, Jae-M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3
    • /
    • pp.249-258
    • /
    • 2012
  • In this study, the epoch adjustment model was developed to correct GPS precise point positioning result to be suitable for the current geodetic datum of Korea which is tied at past epoch statically. The model is based on the formula describing crustal movements, and the formula is composed of several parameters. To determine the parameters, the data gathered at 14 permanent GPS stations for 10 years, from 2000 to 2011, were processed using GIPSY-OASIS II.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permanent GPS stations with an error range of 16mm and the position of check points with an error range of 12mm by appling the model to GPS precise point positioning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more precise model could be calculated by using GPS data of more permanent GPS stations.

Dynamic Glide Path using Retirement Target Date and Forecast Volatility (은퇴 시점과 예측 변동성을 고려한 동적 Glide Path)

  • Kim, Sun Woo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2
    • /
    • pp.82-89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Glide Path that dynamically adjusts the risky asset inclusion ratio of the Target Date Fund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market's forecast volatility as well as the time of investor retirement, and to compare the investment performance with the traditional Target Date Fund. Forecasts of market volatility utilize historical volatility, time series model GARCH volatility, and the volatility index VKOSPI. The investment performance of the new dynamic Glide Path, which considers stock market volatility has been shown to be excellent during the analysis period from 2003 to 2020. In all three volatility prediction models, Sharpe Ratio, an investment performance indicator, is improved with higher returns and lower risks than traditional static Glide Path, which considers only retirement date.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the potential for the utilization of the suggested Glide Path in the Target Date Fund management industry as well as retirees.

한국증권시장에서의 매매제도와 주가변동

  • Jang, Yu-Cheol;Im, Kwang-Eop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1
    • /
    • pp.263-297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일괄매매와 접속매매에서의 주가변동의 행태를 이론적으로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종합주가지수를 이용하여 일중 주가지수수익률분산을 구하여 두 제도를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정보거래자와 무정보거래자가 증권시장에 참여한다는 전제하에 일괄매매와 접속매매의 주가변동성을 유도하고, 양제도에서의 주가변동성을 이론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시점간 정보 거래자비율이나 혹은 거래자수가 일정할 경우, 접속매매의 가격변동성이 일괄매매의 가격변동성 보다 큰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매 시점마다 정보거래자비율과 거래자수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일괄매매의 주가변동성이 접속매매의 주가변동성 보다 더 큰 경우도 발생하지만, 시점1의 거래자비율이 $20%{\sim}80%$ 사이에서 변동할 경우에는 역시 접속매매가 일괄매매보다 주가변동성이 더 클 가능성은 크게 높아진다. 이 같은 이론연구를 바탕으로 노이즈제거전 10분간격 주가지수수익률분산을 살펴본 결과, 9시 41분이 가장 크고 폐장동시호가가 가장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또한 전장에서는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후장에서는 폭 넓은 U자 형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동시호가의 주가지수수익률분산은 개장동시호가가 가장 크고, 후장개장동시호가가 그 다음이며, 가장작은 것은 폐장동시호가인 것으로 분석된다. 폐장동시호가와 후장개장동시호가의 주가지수수익률분산이 대부분의 접속매매보다는 작으나, 노이즈제거후 주가지수수익률분산은 전장개장동시호가가 노이즈제거전과 마찬가지로 가장 컸지만, 폐장동시호가는 전장접속매매와 후장개시동시호가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전장개장동시호가의 주가지수수익률분산이 높은 것은 전일 15시부터 당일 9시 31분까지를 대상으로 주가지수수익률이 계산되어진 것과 긴 비거래시간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폐장동시호가의 주가지수수익률분산이 접속매매 보다 큰 것은 본 연구모형에서 말하는 정보분산이 시점간에 같지 않고 폐장동시호가의 정보분산이 큰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매매제도가 주가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가 미진하고, 이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 적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매매제도에 따른 주가변동성의 행태 뿐만 아니라 정보변동의 분산, 정보거래자의 정보해석노이즈, 무정보거래자의 유동성노이즈 등이 주가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줌으로써 증권시장의 효율성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Inter-temporal Reallocation of Fiscal Expenditure in Korea (재정지출의 시점 간 재원배분 조정에 따른 경기조절 효과성에 관한 연구)

  • Kim, SeongTae;Hur, Seok-Kyu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5 no.2
    • /
    • pp.71-105
    • /
    • 2013
  • Now that fiscal soundness is increasingly important influenced by the euro area fiscal crisis, early budget execution has been under the spotlight as a tool for economy control, other than typical expansionary method, such as supplementary budget. Basically, early budget execution is a fiscal policy instrument that reponses to economic fluctuations through modifying the inter-temporal allocation of fiscal expenditure within budget, without affecting fiscal soundnes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how effective the intert-temporal reallocation of fiscal expenditure is in economy control. Using Korea's Consolidated Fiscal data, the size of inter-temporal reallocation of fiscal expenditure is defined as changes of fiscal expenditure for one year excluding seasonal factors and used to explain real economic growth rate, a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 shows that the macroeconomic effect of the inter-temporal reallocation turns out meaningful in general, though some policy time lag exists. Meanwhile, a simulation using macroeconomic model finds that overall effect on economic growth is not large because increase in fiscal expenditure allocation at a certain point of time is canceled by the opposite direction within the same fiscal year. However, the inter-temporal reallocation is found to reduce volatility of key macroeconomic variables so as to contribute to partially stabilizing macroeconomy. In particular, such effect of economic stabilization seems to be highly apparent at the time of financial crisis, but not very noticeable in normal economic cycle.

  • PDF

Estimation of KOSPI200 Index option volatilit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이기종 머신러닝기법을 활용한 KOSPI200 옵션변동성 예측)

  • Shin, Sohee;Oh, Hayoung;Kim, Jang 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10
    • /
    • pp.1423-1431
    • /
    • 2022
  • Volatility is one of the variables that the Black-Scholes model requires for option pricing. It is an unknown variable at the present time, however, since the option price can be observed in the market, implied volatility can be derived from the price of an option at any given point in time and can represent the market's expectation of future volatility. Although volatility in the Black-Scholes model is constant, when calculating implied volatility, it is common to observe a volatility smile which shows that the implied volatility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rike prices. We implement supervised learning to target implied volatility by adding V-KOSPI to ease volatility smile. We examine the estimation performance of KOSPI200 index options' implied volatility using variou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uch as Linear Regression, Tree, Support Vector Machine, KNN and Deep Neural Network. The training accuracy was the highest(99.9%) in Decision Tree model and test accuracy was the highest(96.9%) in Random Forest model.

A Study on the Water Level Change Characteristics and Overtopping Patterns by the Wind Field Variation during Passage of the Typhoon (태풍 통과시 풍역변화에 따른 수위변동특성 및 호안 월류 패턴에 관한 기초적 연구)

  • LEE GYONG-SEON;KIM HONG-JIN;YOON HAN-SAM;KANG YooN-Koo;RYU CHEO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11a
    • /
    • pp.127-132
    • /
    • 2004
  • 본 연구는 2003 년 9월 내습한 태풍 매미로 인해 마산 진해 용원 지역을 포함하는 가덕수도 인근 해역의 태풍 매미의 풍역변화 특성과 개방형 및 폐쇄성 해역 등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호안 월류 패턴을 고찰하고 이를 모식화하였다. 태풍 매미 통과시 진해만의 경우는 풍향이 E-ESE 인 시점이 파랑에너지가1 충분히 발달하여 입사할 조건에 해당되고 마산만의 경우는 풍향이 SE-S인 시점이며, 부산신항 인근 해역은 S-SSW의 풍향이 유세한 시점을 중심으로 태풍파랑을 산정하여야 구조물에 미치는 정확한 영향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상 파랑의 내습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안정정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태풍 통과시 천해역의 풍역변화에 따른 수위변동 및 파랑장 영향을 해석하고 입사파랑에 의한 구조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의 연구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 PDF

Analysis on the shift characteristic of the rainfall (강우 자료의 변동 특성 분석)

  • Oh, Je-Seung;Kim, Chi-Young;K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02-160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61개 지점의 강우자료를 사용하여 게릴라성 호우 및 국지성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시작한 1998년을 기준으로 강우의 변동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우선, 지속시간별 초과 강우의 발생 횟수를 산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각 지점의 연도별 10분, 1시간, 1일 최대 강우량을 산정하여 변동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WMO에서 2000년도에 제시한 경향성 및 변동성 분석 기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지속시간별 초과 횟수의 분석에서는 임의의 초과 시간 기준에 대해 모든 지속시간에서의 변동성이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각각의 지속시간에 대해 일정 규모이상의 강우가 발생하는 횟수가 과거에 비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최대 강우량을 사용한 분석에서도 이러한 변동성이 확인 되었다. 기간이 짧은 10분 최대 강우량에서만 변동성을 가진 지점은 3개 지점 이었지만, 1시간 및 일 최대 강우량 값은 61개 지점 중 30개 지점에서의 변동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를 통하여 대규모 강우의 발생 횟수 및 단기간 강우량이 98년을 시점으로 한 변동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patio-Temporal Variability Analysis of Precipitation Data Through Circular Statistics (순환통계에 의한 강수량의 시공간적 변동성 분석)

  • Lee, Jeong-Ju;Kwon, Hyun-Han;Hwang, Kyu-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420-1424
    • /
    • 2010
  • 강수량의 계절성은 수자원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수문요소로서 계절성의 변동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미래 수자원관리 및 정책 수립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강수량의 계절성을 평가하는데 유리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계절 변동성의 정량적인 해석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순환통계치 분석은 시간을 각도로 변환하여 이용함으로써 미세한 시간적인 변화양상의 정량적인 해석이 가능한 방법이다. 강수량의 주기특성과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변화 양상을 평가하기 위해서, 우선 전국의 58개 강우관측소를 선별하고 각 관측소의 일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관측소별 연최대치계열(Annual maxima series)과 발생일자, 월최대강수계열(Monthly maxima series)과 발생일자를 추출하였다. 각 자료의 발생일자는 순환통계분석을 위해 해당 time scale을 한 주기로 하는 방향각 데이터로 변환하였으며, 변환된 시간속성 데이터의 통계특성치를 산정하여 발생시기에 대한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월최대강수량의 발생 시기는 자료 계열 연주기의 변동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분석결과 남해안지역이 6월말에서 7월초이고, 북쪽으로 올라감에 따라 조금씩 발생시기가 늦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극치강수량의 발생 경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일최대강수량의 시공간적 변동성은 월최대강수량보다 크게 분석되었으며, 이는 일최대강수량의 경우 지형학적인 영향에 크게 좌우되며, 우리나라의 여름철 극치강수량이 태풍 발생빈도 및 경로와 연관성을 갖는다는 일반적인 사실을 반영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월최대강수량 및 일최대강수량 발생시기의 이동평균을 통해 발생시기의 변동을 분석한 결과, 서울과 강릉지방은 최대강수량의 발생시점이 늦어지고 있으며 반대로 목포와 부산지방은 최대강수량의 발생시점이 앞당겨지고 있었다. 이는 몬순시스템의 거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ake and Use of Leading Indicator for Short-term Forecasting Employment Fluctuations (취업자 변동 단기예측을 위한 고용선행지수 작성과 활용)

  • Park, Myungsoo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7 no.1
    • /
    • pp.87-116
    • /
    • 2014
  • Forecasting of short-term employment fluctuations provides a useful tool for policy makers in risk managing the labor market. Following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composite leading indicator for macro economy, the paper develops the employment leading indicator(ELI) for the purpose of short-term forecasting non-farm payroll employment in private sectors. ELI focuses on early detecting the point of time and the speed in phase change of employment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