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광성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1초

산개성단 NGC 1039(M34) 영역의 변광성 (VARIABLE STARS IN THE REGION OF THE OPEN CLUSTER NGC 1039 (M34))

  • 전영범;박윤호;이상민;이의렬;김동현;장혜은;조성윤
    • 천문학논총
    • /
    • 제30권3호
    • /
    • pp.821-832
    • /
    • 2015
  • NGC 1039 영역의 변광성 탐사로부터 7개의 ${\delta}$ Scuti형 변광성, 2개의 ${\gamma}$ Doradus형 변광성, 14개의 식쌍성 및 5개의 장지기형 불규칙 변광성을 찾았다. 이 중에서 3개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새로 발견한 것이다. 이들 중 ${\delta}$ Scuti형 변광성 4개와 ${\gamma}$ Doradus형 변광성 2개 및 장주기형 불규칙 변광성 1개는 성단구성원일 가능성이 크다. 14개의 식쌍성 중에서 12개는 주기와 변광진폭 등을 구하였으며, 나머지 2개는 22일 관측 자료 중 하루치에서만 식 현상이 나타나서 EA형 식쌍성으로 보인다. B, V등급의 변광진폭을 같이 구한 식쌍성의 변광진폭비 $A_V/A_B$는 0.92이며, ${\delta}$ Scuti형 변광성의 결과를 이용한 0.75와 뚜렷이 구분된다. 5개의 장주기형 불규칙 변광성은 하나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주기가 너무 길었고, 또한 주기성인지 알 수 없어서 밝기 변화만으로 변광성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찾은 변광성은 V등급이 10.84등급부터 16.30등급까지 분포하며, V등급의 변광진폭이 0.5등급 이상이면 16.3등급까지도 변광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산개성단 NGC 6871을 중심으로 한 Cyg OB3 성협 영역의 변광성 I: δ Scuti 형 변광성 (VARIABLE STARS IN THE REGION OF CYG OB3 ASSOCIATION CENTERED ON THE OPEN CLUSTER NGC 6871 I: δ SCUTI TYPE STARS)

  • 전영범;이의렬;박윤호;김동현;장혜은;조성윤
    • 천문학논총
    • /
    • 제27권5호
    • /
    • pp.399-409
    • /
    • 2012
  • NGC 6871을 중심으로 시계열 관측한 Cyg OB3 성협영역에서 모두 15개의 단주기 변광성을 찾았다. 이들은 모두 국부나선팔에 속한 ${\delta}$ Scuti 형 변광성으로 보인다. 그림 5의 영연령주계열 상에서 밝은쪽에 속한 V1-V4는 분광형이 모두 A, F 형으로서 Cyg OB3 성협보다 먼 거리에 있는 ${\beta}$ Cephei 형 변광성이라기 보다는 국부나선팔의 앞쪽에 놓인 ${\delta}$ Scuti 형 변광성이었다. 15개의 ${\delta}$ Scuti 형 변광성 중에는 2개(V1과 V3)는 GCVS에 ${\delta}$ Scuti 형 변광성으로 분류되어 이미 알려진 변광성이고, 나머지는 모두 새로 발견한 것이다. 새로 발견한 변광성 중에는 한 개의 이중모드 ${\delta}$ Scuti 형 변광성(V3)과 2개의 HADS 변광성(V13과 V14)이 포함되었다. 시계열 관측과는 별도로 표준화 관측을 수행하여 관측 영역의 색-등급도를 얻었는데 그림 6에서 Massey etal.(1995)의 결과와 잘 맞았다.

남반구 구상성단의 변광성 탐사 연구

  • 전영범
    • 천문학회보
    • /
    • 제36권2호
    • /
    • pp.123-123
    • /
    • 2011
  • Kepler 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한 RR Lyr 변광성의 경우 절반 이상이 Blazkho 효과를 보이며, Period-doubling 등 새로운 사실이 알려졌다. KMTNet 망원경을 이용한 24시간 연속된 BVRI 다파장 관측은 구상성단 내의 많은 RR Lyr 변광성에서 이러한 현상을 밝히고, 중원소 함량, 주기변화 등 물리량을 얻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구상성단에서 많이 관측되는 SX Phe 변광성과 같은 단주기 변광성의 체계적인 탐사 등에도 유용할 것이다.

  • PDF

A Comparison between Infrared and Visible Light Curves of Short Period Variables

  • Lim, Jihye;Sohn, Jungjoo
    • 천문학회보
    • /
    • 제40권2호
    • /
    • pp.58.1-58.1
    • /
    • 2015
  • 단주기 변광성들의 적외선 광도곡선이 가시광선 광도 곡선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주기가 하루 이내로 짧은 다양한 유형의 변광성을 대상으로 보현산 천문대의 1.8m 반사망원경과 적외선검출기(KASINICS)를 이용한 J($1.25{\mu}m$), H($1.64{\mu}m$), K($2.15{\mu}m$)필터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 대상은 맥동변광성으로 분류되는 BO Lyn외 2개 대상, 격변변광성으로 분류되는 RX And외 3개 대상, 그리고 식변광성으로 분류되는 V1007 Cas외 1개 대상이다. IRAF를 이용한 전처리 및 구경 측광을 실시하여 각 필터별 적외선 광도곡선을 얻었다. 이를 통해 현재 각 분류 대상별 주기분석과 여러 해 동안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각 대상들의 장주기에서의 변광 요인 유무도 확인하여 가시광선 광도곡선과의 비교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격변변광성의 경우 가시광 광도 곡선이 주로 강착원반의 더 뜨거운 내부고리와 대기에 의한 것인 반면 적외선 광도 곡선은 동반성과 차가운 강착원반에 의한 것이라 여겨지며, 맥동변광성과 식변광성의 경우도 가시광선과 적외선이 서로 다른 깊이를 보게 될 것이므로 파장대별 최대 밝기 위치와 광도 윤곽에서의 차이가 기대된다.

  • PDF

영상차감법을 이용한 산개성단 M11의 변광성 검출

  • 이충욱;구재림;김승리;김동진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9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8권2호
    • /
    • pp.24.3-24.3
    • /
    • 2009
  •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 중인 외계행성 탐색 시스템은 우리은하 중심부 $4^{\circ}\times4^{\circ}$ 영역을 10분 간격으로 시계열 관측하여 지구형 외계행성을 검출하는 시스템으로써, 대용량의 관측자료를 처리하기 위하여 영상차감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최적화 방법을 이용하여 기준영상과 관측영상사이의 점퍼짐함수 변화를 나타내는 커널을 구하고, 이를 적용하여 만든 합성영상과 관측영상을 서로 차감한 잔차영상에서 밝아지거나 어두워진 변광성을 찾아 내어 이들에 대한 구경측광 또는 점퍼짐함수 측광과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성단 및 은하중심부와 같이 별들이 밀집된 관측영역에 영상차감법을 이용하면 배경별들은 모두 제거되고 변광성만 남게 되므로 잔차영상의 분석을 통하여 변광성 검출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구재림 등 (2007)에 의하여 수행된 산개성단 M11의 시계열관측 영상에 이 방법을 적용하여 얻은 새로운 결과와 기존 연구결과를 서로 비교하고, 변광성의 검출 효율과 측광 정밀도에 대하여 논의한다.

  • PDF

소형망원경을 이용한 산개성단 NGC 129 영역의 변광성 탐사 (A Search for New Variable Stars in the Open Cluster NGC 129 using a Small Telescope)

  • 이은정;전영범;이호;박홍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7-104
    • /
    • 2007
  • 소형망원경을 이용하여 산개성단 내 단주기 미세 변광성을 체계적으로 탐사하기 위한 보현산 천문대 측광 모니터링 프로그램 Short Period Variability Survey(SPVS)의 일환으로, 젊은 산개성단 NGC 129의 $90'{\times}60'$ 영역에 대한 V필터 시계열 측광 관측을 수행하였다. 성단의 관측은 보현산 천문대 155mm 소형 굴절 망원경과 $3K{\times}2K$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2004년 10월 12일부터 2005년 11월 3일까지 총 11일간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전체 2400장의 V 필터시계열 CCD 영상자료 및 성단의 색-등급도를 얻었다. 시계열 자료의 기기등급을 표준등급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앙상블정규화 기법(ensemble normalization technique)을 사용하였다. 측광 후 총 9537개별의 시간에 따른 광도변화를 조사한결과 총 66개의 새로운 변광성을 발견 하였다. 새롭게 찾아낸 변광성들은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분석과 위상 맞추기 방법(phase-matching technique)을 이용하여 변광 주기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변광성의 주기 및 진폭 변화, 색-등급도 상에서의 변광성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변광 유형을 조사한 결과 9개의 SPB형 변광성과 9개의 ${\delta}$ Scuti형 변광성, 29개의 식변광성, 17개의 장주기 변광성과 기타 2개의 변광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산개성단에서의 변광성 탐사 연구에 소형망원경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은하벌지에서 발견된 OGLE 변광성의 분류 (CLASSIFICATION OF OGLE VARIABLES IN GALACTIC BULGE)

  • 강영운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4권2호
    • /
    • pp.207-215
    • /
    • 1997
  • 우리 은하 안에서 암흑물질을 찾는 OGLE 프로젝트가 바데의 창에서 발견한 변광성 중에서 미 분류로 분류한 기타변광성들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기타변광성의 진화상태, 광도곡선의 형태, 그리고 공전주기에 따른 광도변화의 폭 등을 조사하였다. 기타변광성을 제외한 것들은 대부분 주 계열을 떠나 준거 성 혹은 거성에 속하고, 광도변화의 폭은 주기가 30일 이하에서는 급격히 감소하고, 주기가 30일 이상에서는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도곡선의 형태를 태양 근방의 RS CVn 형 별들의 광도곡선과 비교한 결과 OGLE 기타변광성을 RS CVn 형 별들로 분류하였다.

  • PDF

Photometric Research in BOAO: Variable Stars in Star Clusters

  • Jeon, Young-Beom
    • 천문학회보
    • /
    • 제41권1호
    • /
    • pp.60.4-61
    • /
    • 2016
  • 보현산천문대의 기후 환경을 고려할 때 표준화 관측에 의한 측광연구는 정밀한 표준계 변환에 어려움이 많다. 하지만 변광성 연구와 관련한 측광 관측 연구는 많은 실적을 이루었다. 변광성 관측 연구는 상대적인 밝기 변화만 고려하면 되기 때문에 대기변화 또는 시상 변화 등에 비교적 덜 민감하여 분광관측과 더불어 보현산천문대에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는 좋은 주제이다. 지난 20년간 보현산천문대의 망원경을 이용한 성단내 변광성 탐사에 대하여 측광관측 연구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과 가능성에 대해 발표한다.

  • PDF

산개성단 NGC 6871을 중심으로 한 Cyg OB3 성협 영역의 변광성 II (VARIABLE STARS IN THE REGION OF CYG OB3 ASSOCIATION CENTERED ON THE OPEN CLUSTER NGC 6871 II)

  • 전영범;박윤호;이의렬;김동현;장혜은;조성윤
    • 천문학논총
    • /
    • 제28권3호
    • /
    • pp.83-93
    • /
    • 2013
  • NGC 6871을 중심으로 한 Cyg OB3 성협 영역에 대한 변광성 탐사로부터 Paper I에 이어 27개의 식쌍성과 19개의 장주기형 불규칙 변광성을 찾았다. 이 중에서 5개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새로 발견한 것이다. 27개의 식쌍성 중에서 20개는 주기와 변광진폭 등을 구하였으며, 나머지 7개는 모두 EA형 식쌍성으로 보이지만 관측자료의 부족으로 주기를 결정하지는 못하였다. 주기를 구한 20개의 식쌍성 중에서 주극소의 깊이를 확실하게 구하지 못한 V27를 제외한 V와 B등급의 변광진폭비 $A_V/A_B$가 0.88로서 Paper I의 ${\delta}$ Scuti형 변광성의 결과를 이용한 0.72와 뚜렷이 구분된다. EW형 식쌍성 만을 이용할 경우 변광진폭비는 0.92로 더 뚜렷이 구분되었다. 19개의 장주기형 불규칙 변광성은 주기가 너무 길고, 또한 비주기성 변광성으로 보이므로 주기를 얻지는 못하고, 밝기 변화만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찾은 변광성은 V등급이 9.05등급부터 16.47등급까지 분포하며, 변광진폭이 클 경우 16.5등급까지도 변광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