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벤트계통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스마트 무인기 연료시스템 설계 (Fuel System Design for Smart UAV)

  • 이창호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5년도 제2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57-463
    • /
    • 2005
  • 터보샤프트 엔진을 장착한 스마트무인기의 연료시스템을 설계하였다. 개념설계 단계의 설계방법을 기초로 하여 비행체의 상세설계가 진행되면서 기체구조설계로부터 도출된 탱크 배치와 구성설계를 하였다. 또한 연료시스템의 상세설계에 필요한 비행체 및 엔진의 데이터를 도출하여 연료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인 연료공급계통, 연료탱크 벤트계통, 그리고 급유계통의 상세 설계를 수행하였다.

  • PDF

미농무성 NTEP(Nat'l Turfgrass Evaluation Program) 자료를 이용한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품종의 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Cultivars Using NTEP Data)

  • 장덕환;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
    • /
    • 2007
  • 미농무성 NTEP의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기후에 적합한 creeping bentgrass 품종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벤트그래스 품종들 중에서 'L-93' 품종이 전체 평균 잔디품종 평가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특히 발아세 및 여름철의 피복율이 가장 높게 나왔다. 질감의 경우엔 'Penn A-1'과 'Penn A-2'가 높게 나왔지만 겨울철 내한성이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상당히 낮게 나왔다. 대취의 축적량은 잎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Penncross'를 비롯하여 'Pennlinks', 'Crenshaw', 'L-93' 품종들은 적은 반면, 잎 밀도가 높은 'Penn A'와 'Penn G' 계통의 품종들이 많았다. 이끼의 침입에 대한 저항성 정도는 'Penn A' 계통이 높았고 'Penncross' 품종은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이런 경향을 보인 것은 잎의 밀도와 시각적 잔디품질, 대취 축적량, 이끼 저항성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회색 설부병에 저항성을 보인 것은 'Penn A' 계통의 품종들이었으며 브라운팻취 내병성은 'Penncross'와 'Penn A' 계통이 높았다. 피시움병에서는 'Penncross', 'Pennlinks'가 높게 나왔다. 달라 스팟의 경우 'L-93'이 가장 높게 나와서 이 병에 대한 강한 저항성을 보였으나 피시움병에 대한 내병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각 골프코스에서는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Penncross' 그린의 관리방식과 달리 골프코스에 식재된 bentgrass의 품종에 잔디관리 방식을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잔디에서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을 이용한 검거세미나방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the Black Cutworm, Agrotis ipsilon (Lepidoptera: Noctuidae) with the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Strain (Rhabditida: Steinernematidae) in Turfgrasses)

  • 이동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1호
    • /
    • pp.58-64
    • /
    • 2015
  • 검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 (Hufnagel))은 골프장의 잔디를 비롯한 많은 경제작물에 주요해충의 하나이다.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ScG)은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것으로 시설재배 해충을 비롯한 토양서식 해충 방제에 유용한 생물적 방제인자로 우리나라에서 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검거세미나방에 대한 ScG의 병원성을 실험실과 온실, 포장에서 검정하였다. 검거세미나방 인공사료 배지에서 3령충을 대상으로 63마리 감염태 유충(Ijs)을 접종한 결과 3일후에 90%이상의 치사율을 보였다. 검거세미나방 령기와 잔디 초종별에 따른 ScG의 병원성은 검거세미나방 2령충에 비하여 4령충에서 높았고 (90.0% 대 81.2% 치사율, $2,000Ijs\;pot^{-1}$), 검거세미나방 3령충에 대한 초종별 병원성은 크리핑벤트그라스(Agrostis palustris)에서가 들잔디(Zoysia japonica)에 비해서 높았다(96.7% 대 52.5% 치사율, $100,000Ijs\;m^{-2}$). 크리핑벤트그라스 포장에서는 $m^2$당 100,000 Ijs ScG처리 시 검거세미나방 4령충에 대한 보정사충율은 79.9%였다. 따라서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 ScG는 골프장 잔디에서 검거세미나방의 생물적방제 인자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형 기동헬기 내폭발성 만족을 위한 연료 벤트 시스템 설계개선 (Design Improvement of Vent System for Korean Utility Helicopter's Anti-Explosion Fuel Tank)

  • 김정훈;김창영;장중진;이말영;심대성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6-81
    • /
    • 2014
  • 군용 헬리콥터는 적 지역에 침투 시 저공비행 및 침투비행으로 인해 적의 소형화기에 노출되면서, 피탄에 의한 항공기의 폭발 유발 가능성이 높다. 최근 군요구도에 있어서 피탄에 의한 폭발 환경에 대해서 생존성 확보를 위한 내탄 성능을 요구한다. 국내 최초의 군용 헬리콥터인 한국형기동헬기의 연료계통 요구도에도 적의 피탄에 대한 내폭발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요구도 충족을 위해 국내 최초로 탑재형 불활성 가스발생장치(OBIGGS)를 적용하였다. 개발단계에서 미흡하게 설계된 내폭발성과 연관된 Vent System을 개선하여 내폭발성 성능을 재평가하고 설계에 적합함을 입증하였다.

잔디 엽병을 유발하는 잠재인자로서의 남조류(Blue-Green algae)에 대한 관찰보고 (Blue-green algae as a Potential agent Causing Turf Leaf Disease)

  • 박대섭;이형석;홍범석;최병만;전재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1-170
    • /
    • 2008
  • 본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 보고된 바 없는 조류에 의한 잔디 병 발생 가능성에 대한 연구로, 2008년 7월 경기지역 골프장내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식재된 티잉그라운드에서 흑갈색 얼룩 반점병을 일으킨 잎조직이 발견되면서 조류에 의한 잔디 병 발생 요인과 대책을 조사하였다. 1.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흑갈색 반점 염조직으로부터 다수의 남조류(blue-green algae)가 관찰되었고, 흑갈색 반점이 형성 부위의 엽몸, 엽귀, 그리고 엽집에서 남조류가 다수 발견되었으며, 이병조직 이외의 개체내 건전부위와 줄기에서도 남조류 파편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남조류는 Oscillatoria 계통이 많았다. 2. 잔디밭에서 남조류는 토양 내 뿌리나 지제부에서 관찰되는데, 이번 관찰시에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흑갈색 얼룩반점 병반부위인 상단 엽조직에서 남조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이병조직 주위의 건전한 부위에서도 작은 파편형태의 남조류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현재까지 식물조직 내 남조류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없지만 조직 내에서 남조류의 이동 가능성도 있다. 3. 흑갈색 얼룩반점이 형성된 켄터키 블루그래스 뿐만 아니라 황화현상이 발생한 벤트그래스 퍼팅그린의 잔디 잎에서도 남조류가 관찰되었으므로, 향후 초종에 따른 조류의 영향에 대한 세부연구가 수행되어져 야 할 것이다. 4. 약제처리로 조류 억제와 흑갈색 얼룩 반점 경감효과를 가져왔는데 프로피코나졸이 가장 우수하였고 이프로디온과 아족시스트로 빈 순으로 조류 억제가 관찰되었다. 6. 특히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 조류 방제가 어렵고 적절한 조류억제제를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조류에 대한 일반적 관리에 머무르기보다는 더 적극적인 방제 방안 및 사전 예방 관리를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6. 끝으로 향후 조류의 잔디 조직 내 이동 및 감염 경로를 규명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