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베트남 이주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4초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구강관리능력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of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Oral Management Ability of Vietnam Marriage Migrant Women)

  • 임재란;한양금;김한홍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09-119
    • /
    • 2017
  •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구강관리행태와 구강관리능력과 관련있는 변수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편의 추출된 D광역시의 베트남교민회, C도 보건소의 협조를 얻어 베트남어로 번역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조사와 구강검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85부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6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실시하였다. 구강관리능력과 관련 있는 변수는 국내 거주기간, 칫솔질 횟수, 구강보건교육경험과 자아존중감과 구강관리능력 사이의 경로계수는 -0.624(p<0.001)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구강보건지식, 인식 및 생활습관이 가족의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므로 관리, 교육 및 구강 질병 발생 시 치료로 연계되는 체계적 프로그램과 사회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이혼한 베트남이주여성의 결혼경험 및 부부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rriage Experience and Sexual Relationship of Divorc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 고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01-414
    • /
    • 2019
  • 본 연구는 이혼을 경험한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결혼과 이혼에 따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히기 위한 질적 연구로서 결혼이주여성의 가족해체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5년~12년의 결혼생활을 한 후 이혼한지 2년 미만인 6명의 베트남여성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 수집과 자료 분석은 Colaizzi(1978)가 제시한 과학적 현상학에 따라야 하는 6가지의 구체적 단계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구성된 의미 203개에서 74개의 주제를 도출하여 23개의 주제군으로 확정하였으며 이를 다시 7개의 범주인 결혼 전 베트남에서의 생활, 결혼하게 된 동기, 결혼한 방법 및 과정, 결혼생활의 좋았던 경험, 결혼생활에서 힘들었던 경험, 이혼하게 된 원인, 이혼 후의 변화된 생활로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결혼생활에서 성관계가 주요갈등요인으로 제시되었으며, 부부의 성문제가 가정의 해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다문화 가족 해체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결혼이주 베트남여성의 부부친밀감, 배우자지지, 성적자율성과 임파워먼트 관계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Marital intimacy, spousal support, sexual autonomy and empowerment on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in Korea)

  • 문지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03-309
    • /
    • 2019
  • 본 연구는 결혼이주 베트남여성을 대상으로 부부친밀감, 배우자지지, 성적자율성 및 임파워먼트를 측정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5월부터 9월까지 한국남성배우자와 살고 있는 베트남 여성 1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ANOVA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부부친밀감은 $3.17{\pm}0.69$, 배우자지지 $3.45{\pm}0.94$, 성적자율성 $3.70{\pm}0.83$, 임파워먼트는 $3.41{\pm}0.57$이었고, 부부친밀감, 배우자지지와 성적 자율성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고(p<.001), 임파워먼트는 배우자지지와 성적자율성 간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p<.005).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 베트남여성들의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한국여성과 국제결혼 이주 베트남 여성의 결혼만족도 비교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of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Korean Women and Vietnamese Immigrant Women in an Interracial Marriage)

  • 이복희;이잠숙;안현숙;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4권4호
    • /
    • pp.115-13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국여성들의 결혼만족도와 베트남여성들의 결혼만족도를 비교하여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안 책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결혼 1년 ~ 5년차 한국여성과 국제결혼 이민자여성 중 베트남여성이며, 2008년 4월 01일 ~ 4월 30일까지 약 30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한국여성과 베트남 여성 각각 150부씩 총 300부를 전국 이민자 여성을 교육하는 상담 교육기관과 국내 국제 결혼정보회사에 협조공문과 함께 우편으로 배포하여 회수하는 방식을 택하였고, 베트남 여성에 대한 자료수집과정에서 베트남 여성의 한글 이해 문제가 제기되어 본 연구는 결혼만족도에 관한 질문지를 베트남어로 번역하여 동시에 사용하였다.

  • PDF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발화속도와 쉼 (Speech Rate and Pauses in the Speech of 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황지성;이숙향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3-72
    • /
    • 2012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베트남과 필리핀 이주여성의 발화속도와 쉼 특성에 대한 음향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이주여성 대상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주여성은 한국여성에 비해 느린 발화속도, 긴 쉼 지속시간과 높은 쉼 빈도를 나타냈다. 베트남집단보다 상대적으로 한국 거주기간이 긴 필리핀집단은 한국집단에 보다 가까운 특성을 보였다. 이주여성의 발화속도가 느리게 나타난 것은 조음속도가 느리고 거의 어절마다 쉼을 두고 읽는 습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완전모유수유 실천기간 및 관련요인 (The duration of exclusive breastfeeding practice and its related factors of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 구상미;김태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72-1683
    • /
    • 2012
  • 본 연구는 결혼이주 베트남 여성들의 완전모유수유 실천 기간 및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이들의 모유수유실천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전, 충남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 베트남 여성 중 생후 6개월 이상 5세 이하의 자녀를 둔 12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면접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t-검정, ANOVA 및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 베트남여성의 완전모유수유 실천기간은 평균 15.9주 이었다. 둘째, 생후 6개월간 아기의 월령이 증가됨에 따라 완전모유수유 실천율은 감소하고, 분유수유와 혼합수유가 증가하였다. 셋째, 완전모유수유실천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형태, 모유수유 교육유무였으며,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30.8% 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모유수유 교육유무가 완전모유수유 실천에 중요한 예측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결혼이주 베트남 여성의 완전모유수유 실천기간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베트남(Vietnam)에 거주하는 베트남인의 주거 및 주생활 특성:재한(在韓) 베트남인 이주 노동자의 주거 계획을 위한 기초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Housing Plans between Vietnamese in Korea and Vietnam for Vietnamese Migrant Workers in Korea)

  • 이영심;최정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7호
    • /
    • pp.13-3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e of housing and domestic living conditions of Vietnamese individuals in Vietnam and Korea. Using ethnographic methodologies, It was examined examined 22 Vietnamese households in Korea in relation to their usage of domestic space and also conducted the same investigation on 20 Vietnamese households in Vietnam.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established; 1) The majority of households in both countries preferred that the kitchen was close to the dining room and living room while a kitchen door was not deemed as necessary. 2) In Korea, washing machines are used in the bathroom space, while in Vietnam they are used outside or in a specially designated space. 3) The most uncomfortable aspect of home life in Korea was having the bathroom and toilet in the same space while in Vietnam they are separately spaced. It is recommended that house plans with separate bathroom and toilet area be made available for Vietnamese migrants. 4) Chairs were used in the sleeping area for eating, especially if guests were present, but the floor space was also used for eating. 5) Tile is a typical floor material in Vietnam while vinyl is popular in Korea. However, migrant workers were comfortable with both materials. 6) All 20 households didn't have any heating system in Vietnam but most migrants preferred a modified Ondol in Korea. 7) Most migrants took their shoes off while inside the house in Vietnam and Korea. Furthermore, the majority of households didn’t have any designated shoes space at the entrance to the house in Vietnam and most were satisfied with the same situation in korea. 8) Most households in Vietnam and Korea preferred to decorate their living room with various things or as a place of worship to their ancestors. The direction of house was an important element when deciding to buy or building houses in both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