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버추얼 아이돌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게임 캐릭터 기반 버추얼 아이돌의 파타피직스 연구 -K/DA를 중심으로 (Analysis on Pataphysics of Virtual Idol based on Game Character -Focus on K/DA)

  • 김초영;한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69-78
    • /
    • 2020
  • K/DA는 게임 캐릭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K-pop 버추얼 아이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DA를 중심으로 버추얼 아이돌의 생성과정과 특징, 존재론적 의미를 파타피직스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K/DA는 게임 캐릭터와 아이돌 걸그룹의 캐릭터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생성됐다. 이때 가상의 아이돌 캐릭터와 실제의 여성 아이돌이 결합해 독자적 정체성을 구축한다. 이후 모션 캡처를 통해 가상화된 인물의 신체를 체화하고, 증강현실을 통해 무대에서 퍼포먼스를 구축한다. 그 결과 K/DA는 가상과 현실을 가로지르는 동시에, 둘 중 어디에도 귀속되지 않는 파타피지컬 주체가 된다. 이처럼 K/DA는 가상/현실, 정보/물질, 기계/인간을 구분했던 이분법적 체계를 극복하고, 향후 디지털 주체가 위치할 제3의 지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국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의 버추얼 아이돌 '플레이브'의 인기 요인: 캐릭터 리얼리즘, 2D 웹툰 디자인, 실시간 소통의 영향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opularity of Virtual Idol 'PLAVE' in the South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The Impact of Character Realism, 2D Webtoon Design, and Real-Time Communication)

  • 박미지;김승인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3호
    • /
    • pp.139-146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버추얼 아이돌 '플레이브(PLAVE)'의 인기 요인을 분석해 향후 국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등장할 버추얼 아이돌 제작 및 콘텐츠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버추얼 아이돌의 성공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플레이브'의 인기 요인에 대해 세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고, 2024년 5월 7일부터 5월 20일까지 총 14일간 가설 검정을 위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73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고, 그중 성실하지 않은 응답을 제외한 총 67개의 응답을 회귀분석했다. P-value 값이 유의 수준 0.05를 넘지 않을 때 가설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였고, 세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플레이브'의 인기 요인은 첫째, 캐릭터 리얼리즘, 둘째, 2D 웹툰 디자인, 셋째, 실시간 소통이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엔터테인먼트 산업 종사자들에게 전략적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버추얼 아이돌 산업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다.

Wishbowl: 버추얼 밴드 아이돌 Verse'day 뮤직비디오 및 몰입형 인터랙티브 공연 제작 사례 연구 (Wishbowl: Production Case Study of Music Video and Immersive Interactive Concert of Virtual Band Idol Verse'day)

  • 이세빈;김경진;김다예;이정진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23-41
    • /
    • 2024
  • 최근 가상 아바타를 이용하여 가창과 안무를 표현하는 다양한 가상 아바타 음악 콘텐츠가 제작되고 있으며, 가상 아티스트들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오프라인에서도 가상 아바타 콘서트를 하는 사례도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가상 아바타가 악기를 연주하는 밴드 콘텐츠의 제작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전면의 대형 스크린을 사용하는 오프라인 가상 아바타 콘서트는 가상 현실 특유의 환상적인 연출과 높은 자유도를 활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제한점에 영감을 얻어, 가상 밴드 아이돌 Verse'day의 가상 아바타 밴드 콘텐츠 제작과 몰입형 인터랙티브 공연 제작 사례를 소개한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모션 캡쳐 시스템과 실시간 엔진을 활용해 밴드 연주 애니메이션과 뮤직비디오를 제작한 과정을 소개한다. 이어서, 오프라인 콘서트에서 프로젝션 매핑과 실시간 상호작용 응원봉을 사용해 몰입형 인터랙티브 가상 아바타 공연을 제작한 사례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제작 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가상 아바타 음악 콘텐츠 제작을 위한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우리는 본 제작 사례가 향후 다양한 가상 아바타 음악 콘텐츠 제작과, 몰입형 인터랙티브 오프라인 가상 아바타 콘서트 제작에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버추얼 아이돌에 대한 유튜브 시청자 특성과 반응 분석 (Analysis of YouTube Viewers' Characteristics and Responses to Virtual Idols)

  • 강정윤;신춘성;정희용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3-118
    • /
    • 2024
  • Due to the advancement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virtual idols are widely used in industrial and cultural content industri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utilize virtual idols' social perceptions because they are not properly understood. Therefore, this paper collected and analyzed YouTube comments to identify differences about social percep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virtual idols and general idols. The dataset was constructed by crawling comments from music videos with more than 10 million views of virtual idols and more than 10,000 comments. Keyword frequency and TF-IDF values were derived from the collected dataset, and the connection centrality CONCOR cluster was analyzed with a semantic network using the UCINET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virtual idols frequently used keywords such as "person," "quality," "character," "reality," "animation," while reactions and perceptions were derived from general id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while general idols are mainly evaluated with their appearance and cultural factors, social perceptions of virtual idols' values are mixed with evaluations of cultural factors such as "song," "voice," and "choreography," focusing on technical factors such as "people," "quality," "character," and "animation." However, keywords such as "song," "voice," "choreography," and "music" are included in the top 30 like regular idols and appear in the same cluster, suggesting that virtual idols are gradually shifting away from minority tastes to mainstream cultu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expansion of the industry and cultural content industry of virtual idols by grasping the social perception of virtual id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