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백화 현상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4초

금속광체상에 나타나는 식물에 관한 생리생태학적 연구 -2. 석회암지대의 백화현상-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of the Vegetation on Ore Deposits -2. Incidence of Lime-chlorosis in the Vegetation of Korea-)

  • Chang, Nam Kee;Chang Soo M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4권1_2호
    • /
    • pp.25-32
    • /
    • 1981
  • 본 연구는 1975~77년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석회암지대의 식피에서 나타나는 식물의 백화현성을 조사하였으며 석회질토양과 식물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원주 I, II지역, 영월 I, II지역, 제천, 단양 및 삼척의 석회질 토양에서 발하고 있는 식피에서 60종의 식물이 백화현상을 나타내었으나 가지나 잎에서 부분적으로 일어나는것이 보통이였다. 농작물인 고추도 백화현상이 심하게 일어나고 있었다. 그러나 김의털을 비롯한 수종의 식물은 전조사지역에 걸쳐 전혀 백화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석회질토양, 백화엽 및 정상엽에 함유되어 있는 중요무기양분의 분석결과를 비교연구한 결과, 석회질토양액의 알카리성 때문에 P와 Fe의 부용으로 야기되는 염석회식물들의 결핍증상으로 이들 석회암지대에서 나타나는 식물의 백화현상을 생각할 수 있다.

  • PDF

무절석회조로부터 해조류의 포자 부착 및 발아 억제 물질 탐색

  • 김미정;홍용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97-198
    • /
    • 2001
  • 일반적으로 해조류가 번무하고 있던 암초지대에서 무엇인가의 원인으로 해조류가 고사ㆍ소멸하고, 그 공간을 석회조류로 불리는 여러 종류의 산호말류 (coralline algae)이 점유하여 암반이 백색 또는 황색, 분홍색을 나타내는 현상을 ‘백화현상’ 이 라고 한다. 현재 추측되는 백화현상의 원인으로는 해양생태계 내에서의 환경변화 - 대기중 이산화탄소의 증가, 지구 온난화에 의한 수온상승, 그리고 연안역의 오염 -와 군집의 동태와 생물학적 작용-엽상형 해조류와 무절석회조류간의 경쟁과 성게를 포함한 초식동물의 초식작용, 질소, 인등의 결핍이 불러오는 빈(貧)영양화 - 에 의해 일어난다고 추측된다 (analysis.cheju.ac.kr.). (중략)

  • PDF

전(塼)의 백화현상 규명 및 제거방안 연구 - 수원화성 백화현상을 중심으로 - (Investigation and Removal Method of Efflorescence Phenomenon of Traditional Bricks - Focusing on the Efflorescence of Hwaseong Fortress in Suwon -)

  • 정광용;차현석
    • 건축역사연구
    • /
    • 제22권6호
    • /
    • pp.59-66
    • /
    • 2013
  • This study progressed an investigation on the cause of the efflorescence phenomenon of bricks in Suwon Hwaseong Fortress, which is designa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by using diverse scientific analyses. The samples were taken in Hwaseong and analyzed using XRD and SEM-EDS for the material identification of efflorescence. We observed under a polarizing microscope and measured absorption factors for the basic investigation for traditional bricks. As a result of material identification, soluble salt($Na_2SO_4$, $KNO_3$) and insoluble salt($CaCO_3$) were detected.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etween original bricks and repaired bricks under the polarizing microscope. However, in terms of the water absorption rate, bricks which were used for repair nowadays showed low water absorption rate(1%). In conclusion, soluble salt and insoluble salt appeared due to an effect of an air pollution and joint mortar. Soluble salt was removed in the rainy season, but insoluble salt was not removed. As a result of the efficiency and safety tests for chemicals removing efflorescence, chemical E is likely to be the suitable chemicals for the efflorescence phenomenon of traditional bricks in Suwon Hwaseong Fortress. In the future, consideration whether the use of lime is available or not should be studied through comprehensive researches including repair work, construction work and the environment factor with lime. Also, physical, chemical identifications of repairing bricks will be required.

탈산처리시 기록물 표면에 발생하는 MgO 입자의 백화현상 규명 (Verification of Occurring White Fine Particles of MgO on the Surface of Archival Materials During Deacidification Process)

  • 한신호;이상규;신현창;김호진
    • 공업화학
    • /
    • 제25권4호
    • /
    • pp.374-379
    • /
    • 2014
  • 기록물 보존을 위한 탈산처리 완료 후 탈산제 성분인 MgO 입자가 기록물 표면에 미세 입자 형태로 남아있는 일명 백화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 MgO 미세입자에 의한 백화현상은 MgO 입자가 분산되어 종이의 섬유질에 흡착함으로써 탈산효과를 나타내야 하나, MgO 입자의 농도와 입자크기가 적합하지 않을 경우 분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종이표면에 과량 흡착됨으로써 흰색인 MgO 미세입자로 입혀지는 현상이다. 이는 작업환경의 저해를 가져오고 또한 탈산처리 시 작업자 건강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원인 규명 및 대책은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백화현상의 원인 규명 및 향후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되는 탈산제의 물성분석과 탈산제의 주요성분인 MgO 입자 크기 및 함량 변화에 따른 탈산 실험을 수행하였다. 탈산 실험은 산성지와 백상지를 사용하였으며, 탈산처리 후 SEM 기기분석으로 MgO 입자의 산성지 및 백상지의 지류 표면 흡착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MgO 입자크기가 847 nm 크기로 유지되는 경우 실험한 두 종류의 지류 모두에서 백화현상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MgO 입자크기가 백화현상의 주요 원인이다.

충전 시스템과 가교 시스템이 금속염 형성에 의한 EPDM 복합체의 백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iller and Cure Systems on Whitening of EPDM Composites by Formation of Metal Salt)

  • 정혜승;최성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7권3호
    • /
    • pp.210-215
    • /
    • 2012
  • 무기첨가제의 조성이 다른 EPDM 복합체를 준비하여 $90^{\circ}C$ 공기와 수돗물에서 각각 7일간 노화시켜 백화현상을 관찰하였다. 공기 중에서 노화시킨 시험편들은 모두 백화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수돗물에서 노화시킨 시험편들 중 스테아린산이 함유된 시험편들은 백화가 심하게 발생하였다. 무기첨가제의 조성에 따른 백화 현상의 차이는 없었다. 백화 물질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GC/MS), 영상 분석(image analysis),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법(EDX), 감쇠 전반사-후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ATR-FTI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백화 물질은 스테아린산의 금속염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스테아린산의 금속염은 수돗물에 존재하는 금속 이온과 시험편 내에 존재하는 스테아린산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서울 홍지문 오간수문의 암석기재적 분석과 손상도 평가 및 보존처리 (Conservation Treatment, Deterioration Assessment and Petrography of the Hongjimun Ogansumun (Five-arched Floodgates) in Seoul)

  • 이명성;김지영;이찬희;김영택;한병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4
    • /
    • 2013
  • 홍지문 오간수문은 홍지문에 부속된 홍예 수문이다. 이들의 주요 구성암석은 흑운모화강암, 홍장석화강암, 화강섬록암으로서 서울 인근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와 암석기재적 특징이 매우 유사하다. 오간수문에 나타난 손상현상은 주로 백색, 흑색 및 황색 변색이며 백화현상이 가장 심각하다. 5기의 홍예 수문에서 공통적으로 측벽의 변색이 천장보다 심하고, 천장에서는 종유석이 성장하고 있다. 오염물 분석 결과, 백화현상을 야기하는 물질은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 방해석으로 판명되었다. 보존처리는 오간수문 전면에 대한 건식세정과 표면에 피각되어 있는 백화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고압세척 및 백화제거제 등을 사용하였다. 현재는 일차적인 보존처리가 완료되어 양호한 상태를 보이고 있으나 향후 오간수문의 훼손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수문 상부에 배수로를 확보하여 수분의 이동과 배출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방염액이 도포된 단청처리목재의 내후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Weather Resistance of Painted Wood treated by Flame retardant Solution)

  • 차정민;김인범;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08-411
    • /
    • 2011
  • 본 연구는 목조 문화재나 전통사찰 등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는 단청처리된 목재에 대해 방염액을 사용하여 방염처리를 진행하였을 때 발생될 수 있는 백화현상를 단청목제가 적용 될 수 있는 외부환경과 일반적인 내부환경에 위치시켜 발생여부를 확인하여 보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6가지 종류의 단청색상에서 햇빛이나 눈비 등에 의한 영향, 습도 등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단청 색상에서는 다소 습도가 높았던 실내 환경에서는 방염액이 많이 도포되어진 부분에서 백화현상이 일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단청의 색상을 구성하는 성분 차이에 의해 백화현상이 발생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세라믹소지에 생성되는 석회에 의한 백화현상분석 (Analysis of Ca-rich efflorescence in ceramic bodies)

  • 이기강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27-131
    • /
    • 2006
  • 세라믹소지에 발생하는 온도별 백화생성기구를 백화를 형성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을 분석하여 규명하였다. 백화가 발생된 세라믹 소지의 표면을 SEM과 EDS 분석을 하여 백화의 주 성분은 Ca와 S임을 확인하였다. 세라믹소지를 pH 7과 pH 10에서 각기 습식혼합 하였으며, 이때 여과된 액을 ICP와 IC 분석을 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 농도분석을 하였다. pH 7에서 제조된 세라믹 소지의 Ca 이온농도는 pH 10에서 제조된 세라믹소지의 Ca 이온농도의 8배 값을 보였으며, pH 10에서 제조된 세라믹소지는 $1100^{\circ}C$ 이상으로 소결된 소지에서도 백화가 발견되지 않았다.

목조문화재 단청에 방염제가 미치는 영향평가 (Impact Assessment of Flame Retardant on Wooden Building with Dancheong)

  • 김환주;이한형;이화수;정용재;한규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2호
    • /
    • pp.56-69
    • /
    • 2016
  • 우리나라는 목조문화재의 화재예방을 위해 1973년부터 현재까지 방염처리가 실시되고 있으나, 검정기준이 제시되었음에도 일부 단청에서 백화현상 및 변색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방염제 약제의 안정성 문제, 단청 제작방법, 과거 도포되었던 약제의 잔류, 그리고 건물 입지환경 등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평가와 원인규명은 수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사시료 제작 및 공간적 시간적 환경조건을 설정하여 방염제가 단청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단청 의사시편 제작은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에 명시된 제작방법,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방법, 그리고 전통기법에 준하는 방법의 세 가지로 제작방법에 차이를 두어 실시하였다. 의사시편은 환경조건의 차이를 위해 해안과 내륙으로 지역을 구분하고, 각 환경조건에 따라 양지와 습지로 장소를 나누어 설치하였다. 방염제 도포 후 12개월간 경년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정밀촬영 및 주기적인 관찰을 통해 변화양상을 파악하였다. 경년변화 조사결과 백화, 변색, 용해, 박락 등 다양한 변화가 발생되었으며, 그 중 백화현상이 가장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작방법별 영향 분석결과, 세 가지 제작방법에서 모두 백화현상 발생하였는데, 이는 각 제작방법의 채색재료에 모두 칼슘(Ca)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방염제의 인(P)계 성분과 반응하여 백화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조건별 영향 분석결과, 해안지역에서 내륙지역보다 백화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고, 양지에서 전통 제작방법의 백화정도가 감소되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습도변화와 제작방법별 교착제의 차이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인(P)계 성분이 포함된 방염제 사용시 단청에 호분 등 칼슘성분이 사용되었는지의 여부를 우선 파악해야 하며, 그 외 단청 시공에 앞서서 장소 조건 및 단청 시공 조건 등에 대한 다양한 사전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