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백복령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4초

카르스트 지형의 연구 (Shinkhole을 중심으로)

  • 유재신
    • 동굴
    • /
    • 제7권8호
    • /
    • pp.11-18
    • /
    • 1982
  • 우리나라에는 Cambro-Ordovician기의 조선누층군에 속하는 석회암지층이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소규모나마 이들 지역에 Shinkhole terrain이 발달하므로 본 논문은 고도가 상이한 3개지역에서 발달하는 Sinkhole terrain을 비교하여 그 특성을 구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지역은 강원도지역중 Sinkhole terrain이 비교적 잘 발달되고 고도가 상이한 3개지역을 선정하였다. 즉 100m 이하의 삭박면인 북평-삼척 지역과 300-600m 삭박면의 정선군 회동리와 600-900m 삭박면의 정선군 백복령일대이다. (중략)

  • PDF

Polychlorinated biphenyls 중독 해독제의 개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Detoxicating Agents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Toxicity)

  • 정기화;장판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1-56
    • /
    • 1987
  • PCBs 투여로 중독된 rat에 대한 천문동, 황정, 백복령, 인삼, 오가피 등의 ethanol 추출물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약추출물의 병용투여로 PCBs 중독으로 감소된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간장중량의 현저한 회복효과는 볼 수 없었다. 2. 생약추출물을 병용투여함으로써 PCBs 중독으로 감소된 RBC, WBC, Hgb 및 Het의 값이 상승하였으며 특히 백복령과 인삼 추출물의 경우 회복효과가 컸다. 3. PCBs로 증가된 혈청중 cholesterol치와 total lipids가 생약추출물을 투여함으로써 감소되었다. 4. PCBs 투여로 증가된 혈청중 GOT, GPT 및 ALP의 활성도 생약추출물의 투여로 정상치에 가깝게 감소되었다.

  • PDF

미백과 항산화에 미치는 백복령, 감초, 유백피 추출 혼합물의 영향 (Whitening and Antioxidant Effects of a Mixture of Poria cocas, Glycyrrhiza uralensis, and Ulmus macrocarpa Extracts)

  • 권은정;박혜정;남향;이수경;홍수경;김문무;이경록;홍일;이도경;오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063-1069
    • /
    • 2014
  • 활성산소는 피부손상을 일으키는 지질, 단백질, DNA의 산화를 유발시킨다. 더욱이활성산소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를 생성하는 멜라닌생성과정을 촉진시킨다. 수많은 생약재중에서, 백복령, 감초, 유백피는 각각 parchymic acid, glabridin 및 flavonoid 를 함유하고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성 미백화장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B16F1 세포에서 백복령, 감초, 유백피 혼합추출물(PGUE)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PGUE는 높은 환원력 뿐만 아니라 DPPH radical 및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효과 뿐만 아니라 PGUE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arbutin과 비교하여 melanogenesis와 관련 있는 tyrosinase 효소활성을 크게 감소 시켰다. 더욱이 PGUE는 살아있는 melanome세포에서 melanin합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PGUE는 superoxide dismutase-1 (SOD-1)및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킨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PGUE가 피부에 대한 항산화효과 및 미백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어, 기능성 미백화장품의 개발을 위한 유효한 성분으로 이용되어 질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백복령(白茯笭), White Poria cocos, 중(中)의 지방산(脂肪酸)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atty acids in the White Poria cocos)

  • 문순구;박상신;민태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3
    • /
    • 1987
  • 한국산 백복령을 chloroform-methanol(2 : 1, v/v) 혼합용매로 추출한 다음, 비누화 및 메델에스테르화 한 후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얻은 총24개의 Peak 중, caprylic acid($C_{8:0}$), undecanoic acld($C_{11:0}$) lauric acid($C_{12:0}$) , dodecenoic acid($C_{12:1}$) 및 Palmitic acid($C_{16:0}$)의 5 개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그중 주성분인 $C_{8:0}$$C_{12:1}$은, 시료 g당 $6.657{\mu}g$$10.176{\mu}g$ 이었다.

  • PDF

유전성 비만 마우스에 대한 항비산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Hangbisan, Sulfur-based Oriental Medicine, Lowers the Blood Cholesterol Level of ob/ob Obese Mice)

  • 채명희;노진구;전덕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7-31
    • /
    • 2007
  • 한약에서 사용하는 유황은 인체에서 열을 발생하는 물질로서 분류되어 있다. 차전자(車前子), 창출(蒼朮), 백복령, 천궁(川芎) 등은 비만을 치료하는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황을 주성분으로 하고 차전자(車前子), 창출(蒼朮), 백복령, 천궁 등의 한약재를 혼합한 항비산을 제조하였다. 항비산을 10%(w/w) 함유한 식이를 C57BL/6J ob/ob mice에 12주 동안 투여하고 체중, 간 조직 및 혈액 지질 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유황이 주로 함유된 항비산을 섭취하는 동안 실험동물의 건강상태는 양호하였다. 항비산을 일반 식이와 병행 공급시 cellulose가 갖는 정도의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냈고, 혈중 총 콜레스테롤이 감소하여 혈중 지질 조성을 개선시키는 작용이 있었다. 또한 실험동물의 간 기능에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항비산의 임상실험 및 지질 조성 개선 효과에 대한 기전연구가 필요하지만 항비산은 비만인의 체중감량 및 지질 조성 개선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백복령가루를 첨가한 다식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Rice Dasik by the Addition of Baekbokryung Powder)

  • 채경연;최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
    • /
    • 2011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amount of Baekbokryung powder to add to lutinous rice flour in the preparation of Dasik. As the Baekbokryung powder level in the formulation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s of samples increased (10.97~12.19%), Land b-values decreased, and the a-value increased. According to the mechanical evaluation results, har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Baekbokryung powder and springiness decreased. Cohesiveness, gumminess and adhesivenes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Baekbokryung powder. Chewiness was highest in the 0% Baekbokryung powder sample. From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the 6% sample received high color, nutty taste, bitterness, softness, chewiness, afte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In conclusion, based on its sensory and mechanical qualities, the optimal Dasik formulation consisted of 6% Baekbokryung powder added to glutinous rice flour.

백복령 가루 첨가량과 저장기간에 따른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uk added with Poria cocos Wolf Powder during Storage)

  • 장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18-32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uk containing 0, 3, 5, 7 and 9% Poria cocos Wolf powder during the storage at 2$0^{\circ}C$ by measuring water content, color value,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By increasing the amount of Poria cocos Wolf powder, water content of Seolgidduk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storage. Hunter color L value of Seolgidduk decreased, and a and b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by increasing the amount of Poria cocos Wolf powder. The cohesiveness of Seolgidduk decreased but ad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increasing the amount of Poria cocos Wolf powder. 3% Poria cocos Wolf added Seolgidduk was the highest in color, odor, taste, softness, moistness and overall preference from the sensory evaluation.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3% Poria cocos Wolf added Seolgidduk showed the best quality through sensory and texture analysis.

  • PDF

오미약성이론을 활용한 황련, 승마, 백복령 및 복합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Coptis japonica, White Poria cocos,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and a Mixture of Their Extracts on Skin Based on The Oriental Medicine OMiYakSung Theory)

  • 유화선;오성화;이정노;김희택;하헌용;김용민;박성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7-85
    • /
    • 2019
  • 오미약성 이론은 다섯가지 맛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맛을 포함하는 다양한 허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론은 인간의 질병을 예방하고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데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미약성 이론에 근거한 단일 추출물 및 혼합 추출물의 효능 차이와 성분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다. 황련, 승마 및 백복령 세가지 약초를 선택하였고 단일 추출물 및 혼합 추출물의 약리학적 효능을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혼합추출물은 단일추출물과 비교하여 400 ug/mL 농도에서 우수한 세포 이동 효과를 보였다. 또한 혼합추출물은 수지상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을 강화시켰으며 DPPH assay 및 HPLC-ABTS assay를 통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한의학적 이론을 접목하여 화장품 및 의약품 분야에 응용 가능한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였다.

나복자, 의이인, 백복령, 다엽, 차전자피로 구성된 혼합분말제(HP)와 진피, 산사, 옥미수, 양총피로 구성된 혼합열수추출물(HE)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마우스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Herbal Mixture Powder and Water Extracts in Mice Fed a High Fat Diet)

  • 연제동;최윤희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1-144
    • /
    • 2015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ti-obesity effects of mixed-Powder(Raphani Semen, Coicis Semen, Poria, Plantaginis Testa & Theae folium)(HP) & mixed water extract(Citri Pericarpium, Crataegi Fructus, Maydis Stigma, Allium Skin) (HE) in mice fed a high-fat diet. Method : 50 Female ICR mice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Normal group (Ve), high-fat diet group (Po), Po+HP(0.6g/kg) group(HP), Po+HE(1g/kg) group(HE), Po+(HP+HE) group(HPE), Po+(HP+HE)*2 group(DHPE). For 8 weeks, these groups were fed their respective diets. Body weight, liver weight and weights of adipose tissues, GOT/GPT index changes & Blood Glucose index changes were measured respectively. Lipid profiles in serum were analyzed by kit of blood. Results : Groups HP, HE, HPE, DHPE had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liver weight, adipose tissue weights and GOT/GPT index, blood glucose index compared to the Po group. Also, serum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en compared to the Po group. Group G1 had significantly increased high density lipoprotein levels. Conclusion : Mixed powder (HP) & mixed water extract (HE) show anti-obesity effects in mice fed a high-fat diet.

소양인(少陽人) 처방 중 적(赤) ${\cdot}$ 백복령 구별의 필요성 여부(與否) 고찰 (An Evaluation of the Necessity to Distinguish Red Poria from White Poria in Soyangin Prescription)

  • 강태곤;박성식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8-49
    • /
    • 2007
  • 1. Objectives This Study is to find efficacy of Red Poria and White Poria used for Soyangin Prescriptions in Lee Je-Ma's writings. 2. Methods We analysed Soyangin Prescription with Poria in ${\ulcorner}$Dongyi Suse Bowon Chobonkwon(東醫壽世保元 草本卷)${\lrcorner}$ , ${\ulcorner}$Dongyi Suse Bowon Gabobon(東醫壽世保元 甲牛本)${\lrcorner}$ , ${\ulcorner}$Dongyi Suse Bowon Sinchukbon(東醫壽世保元 辛丑本)${\lrcorner}$ and ${\ulcorner}$Dongyi Sasang Sinpyun(東醫四象新編)${\lrcorner}$ based on the efficacy of Poria written in ${\ulcorner}$DongMugo YakSungGa(東武遺藁 藥性歌)${\lrcorner}$ . 3. Results and Conclusions 1) Red Poria and White Poria seems to be different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 Poria in Soyangin Prescription had used from the traditional medical point at the beginning, in ${\ulcorner}$Dongyi Suse Bowon Chobonkwon(東醫壽世保元草本卷)${\lrcorner}$ , but its usage was changing until ${\ulcorner}$Dongyi Suse Bowon Sinchukbon(東醫壽世保元辛丑本)${\lrcorner}$ as the poi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3. It is necessary to use Poria in Soyangin Prescription as the essence of Soyangin's life because it effects on the whole body without any distinction from body's upper part with lower part and body's exterior part with interior pa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