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백라이트

Search Result 393,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Direct type backlight unit optical system design that use LED source of light (LED 광원을 이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광학계 설계)

  • Song, Young-Ki;Yang, Seung-Soo;Oh, Young-Sik;Kim, Seo-Yoon;Lee, Jung-Yea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6a
    • /
    • pp.459-460
    • /
    • 2006
  • RGB 3색 LED를 이용 백라이트에서는 백색 광원을 구현을 위해서는 혼색을 위한 충분한 공간 또는 광학계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GB 3색 LED의 컬러 혼색을 위해 광학 설계를 진행을 하였고, 이 광학계는 광경로 변경을 통해 BLU 내부 공간에서 각각의 3색 LED가 충분한 혼색 구간을 확보하여 백색을 구현하게 된다. 최근 적용하고 있는 Side emitting 방식 LED가 아닌 Top view type의 power LED를 이용하여 32인치급 TV LCD 백라이트를 제작하여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 PDF

Dual Backlight Unit Incorporating a Single Light Source Integrated with a Beam Splitting Reflector (광분할 반사경이 집적된 단일 광원 기반의 통합형 듀얼 백라이트 유닛)

  • Park, Chan-Kyu;Lee, Hak-Soon;Lee, Sang-Shi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9 no.2
    • /
    • pp.122-126
    • /
    • 2008
  • Dual backlight unit incorporating a single light source integrated with a beam splitting reflector was demonstrated, providing a surface light beam for both the keypad and the display section simultaneously. The reflector was realized by aligning a groove substrate with a matching cover, and a light guiding module comprising a stack of light guide panels and prism/diffuser sheets wa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reflector. A light emanating from the light source-placed in the middle of the substrate-undergoes a series of reflections through the reflector to reach the input of the light guiding module. Then it is transformed into a surface light beam, which is used to irradiate the keypad and display sections simultaneously. As for the accomplished dual surface light sources, the measured average luminance and the spatial luminance uniformity were respectively about $420\;cd/m^2$ and 69% for the keypad section, and $640\;cd/m^2$ and 79% for the display section.

Generation of the Staurolite Based on a Relation Between Illite-Muscovite Transition: A Study on the Shale of the Baekunsa Formation, Buyeo (일라이트-백운모 전이과정과 십자석 생성과의 관계: 부여지역 백운사층 셰일에 대한 연구)

  • Choi, Seung Hyun;Mun, Hyang Ran;Lee, Young Boo;Lee, Jung Hoo;Yu, Jangho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1
    • /
    • pp.55-64
    • /
    • 2013
  • The generation of staurolite from the mixed-phase muscovite and the metamorphic environment of shales in the Baekunsa formation, Hongsan, Buyeo, were studied using electron probe micro analysis (EPMA). The average chemical composition of mica-type mineral is $(K_{1.11}Na_{0.26}Ca_{0.04})(Al_{3.93}Fe_{0.21}Mg_{0.07})(Si_{6.08}Al_{1.92})O_{20}(OH)_4$, and shows a characteristics of the so-called illite with a low content of interlayer cations and Fe, Mg in octahedral sites. The mica-type mineral shows a typical chemical composition of the mixed-phase among muscovite, pyrophyllite, and chlorite (mixed-phase muscovite, $Mu_{70.5}Py_{23.5}Ch_{6.0}$). The staurolite, in general, occurs with the mixed-phase muscovites, pyrophyllites, and aluminosilicates in the rock. We consider that staurolite can be formed by a reaction involving pyrophyllite such as pyrophyllite+chloritoid. The chloritoid is formed by a reaction between pyrophyllite and chlorite and is supposed to be used up in the process of staurolite formation. As a result, the mixed-phase muscovite, formed during the transition of illite to muscovite,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generation of the staurolite. Considering that the reaction occurs at the temperature higher than $300^{\circ}C$ and pyrophyllites transform into aluminosilicates at $350^{\circ}C$, the shale in the Baekunsa formation can be considered to have been experienced a metamorphic temperature between $300{\sim}350^{\circ}C$.

Comparison of Anti-rust Effect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elite Film and (세라이트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의 방청효과 및 기계적 물성 비교)

  • Chung, Yong-Chan;Suh, Soo-Yul;Chun, Byoung-Chul
    • Clean Technology
    • /
    • v.13 no.2
    • /
    • pp.127-133
    • /
    • 2007
  • Celite with enormous pore space inside can hold small molecules and can be well blended with polyethylene (PE) to make a Celite-PE film. Two types of Celite-PE film were prepared, one with Celite surface-treated with surfactant to reduce the hydrophilicity and another with plain Celite. The anti-rust chemical such as dicyclohexylamine, dicyclohexylamine nitrite, or diisopropylamine was allowed to permeate into celite pore in the film, and slowly evaporated to protect the packaged steel material from the rust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chemical concentration in the different packaging film bags was analyzed by a gas chromatography for a month, and the anti-rust effect on iron labware was compared for a six month period. The Celite film was superior to PE film in anti-rust effect and the long-term anti-rust chemical evaporation.

  • PDF

Characteristics of high Luminescenc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고휘도 외부 전극 램프의 특성)

  • Yoon, Man-Soon;Lee, Kyeong-Seon;Heo, Seong-Moo;Ur, Soo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34-34
    • /
    • 2007
  • 최근, LCD-TV의 대형화가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대형 BLU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백라이트의 직경을 대구경 화하고, 또한 고화질을 이루기 위하여 휘도특성을 개선시켜야 한다. 통상적으로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고압방전은 환경이 증가할수록 휘도가 저하하는 특성을 나타내므로 대화면 LCD-TV를 개발하는데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LCD-TV 백라이트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CCFL은 병렬로 구동할 수 없어 다수의 트랜스포머가 필요하여 전체적인 BLU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어 병렬구동이 가능한 EEFL을 백라이트로 사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나 CCFL에 비하여 휘도가 낮아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휘도의 병력구동이 가능한 새로운 EEFL을 개발하였으며, 그 특성을 분석한 결과 기존 EEFL에 비하여 40%이상의 광효율을 증가시키고, 대구경에서 CCFL보다 2배 기존의 EEFL에 비하여 3배 이상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병렬구동이 가능한 고휘도 외부전극램프를 개발하였다.

  • PDF

A LED Drive Circuit of LCD BLU Using Protection Circuit (보호회로를 이용한 LCD 백라이트 유닛용 LED 구동회로)

  • Park, Yu-Cheol;Kim, Hoon;Kim, Hee-Jun;Chae, Gyun;Kang, Eui-B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c
    • /
    • pp.125-127
    • /
    • 2008
  • 기존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백라이트 유닛은 LED에 과전류가 흐르면 소자의 파손이 발생하고 무부하시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보호회로가 필요하였다. 그래서 본 논문은 보호회로를 이용한 LCD 백라이트 유닛용의 LED 구동회로를 제안한다. 제안된 보호회로는 2가지로 첫 번째 보호회로는 무부하시 소비전력을 줄이는 보호회로 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무부하시 피드백 제어부 IC(Integrated Circuit)의 전원전압 $V_{cc}$를 UVLO(Under Voltage Lock Out)전압 이하로 강하시켰다. 그래서 무부하시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었다. 두번째 보호회로는 과전류시 보호회로 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과전류시 SCR이 온 되어 피드백 제어부 IC의 전원전압 $V_{cc}$를 UVLO전압 이하로 강하시켰다. 따라서 과전류시 LED 동회로 소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DDC-Based Control of Display Systems for Low-Power Consumption (저소비 전력을 위한 DDC기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

  • 임현식;이인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673-675
    • /
    • 2004
  •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가장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력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하여 이미지 제어, 주파수 제어 등이 있지만 가장 효과적인 것은 LCD 패널부와 백라이트(backlight)를 제어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DDC(Display Data Channel)를 이용하여 패널과 백 라이트 전압 레벨을 조절하여 저전력을 구현하였다. 호스트(PC)에서 동작하는 응용프로그램의 작성과 호스트의 영령을 받아 처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하였다. 데스크탑 컴퓨터와 15, 17인치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에서 소비 전력을 측정하였으며, 2-86%정도의 소비 전력을 줄이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 PDF

Basaltic Andesite-Siltstone Peperite in the Gyehwari Formation (Cretaceous) (백악기 계화리층 내 현무암질 안산암-실트암 페퍼라이트)

  • Noh, Beyong-Seob;Park, Jae-Moon;Kim, Seung-Bum;Ryang, Woo-H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0 no.1
    • /
    • pp.33-39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occurr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saltic andesite-siltstone peperite in the lower part of the Gyehwari Formation (Cretaceous), Buan-gun, Jeonbuk province, SW Korea. The peperite is associated with tabular basaltic andesite body, concordantly intercalated with red siltstone and silty sandstone interbeds of floodplain facies. Development of the peperite along the upper margin of the andesite and its textural transition from a dispersed blocky type inward into a closely packed type collectively indicate an intrusive origin (?sill) of the andesite. Magma intrusion and subsequent peperite formation suggest an active syndepositional volcanism since the early stage of evolution of the Gyehwa Basin. The andesite is dated at Late Cretaceous (Santonian) by K-Ar whole-rock radiometric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