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백드래프트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Eddy Dissipation Concept 연소모델을 적용한 백드래프트 대와동모사 연구 (Large Eddy Simulation of Backdraft Using the Eddy Dissipation Concept Combustion Model)

  • 하수임;오창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48-5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Eddy Dissipation Concept (EDC) 1-step 연소모델을 이용하여 백드래프트에 대한 대와동모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기존 연구와는 달리 EDC 1-step의 유한화학반응에서 활성화에너지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백드래프트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였다. EDC 1-step 연소모델을 이용한 예측결과는 Mixing-Controlled Fast Chemistry(MCFC) 연소모델의 예측결과와 비교 검토되었다. 얻어진 결과에서는 백드래프트 발생 시점을 제외하면 EDC 1-step과 MCFC 결과들은 매우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고, 실험에서 얻어진 최고 압력값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수준에서 예측하는 것은 알 수 있었다. 그러나 EDC 1-step 연소모델도 MCFC와 마찬가지로 백드래프트 전개과정의 첫 번째 압력 피크에 대해서는 예측하지 못하는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백드래프트 현상의 LES를 위한 EDC 모델의 연소 화학반응기구 적합성 연구 (A Study of the Suitability of Combustion Chemistry in the EDC Model for the LES of Backdraft)

  • 디네쉬 마일사미;오창보;한용식;도규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35-42
    • /
    • 2017
  • 구획실 내부의 고온 메탄연료에서 발생하는 백드래프트 현상에 대해 FDS v6를 이용한 LES를 수행하였다. EDC 연소모델을 적용하였고 여기 필요한 화학반응기구에 대해서는 5가지를 검토하여 백드래프트에 대한 예측성능을 검토하였다. 구획실 내, 외부의 온도, 연료, 속도 및 압력분포에 대한 수치계산 결과고찰과 실험에서 얻어진 압력변화와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FDS v6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EDC 연소모델을 적용하면 LES 기법을 이용하여 백드래프트에 대한 수치계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결합되는 화학반응기구에 따라서 백드래프트에 대한 예측성능이 큰 차이를 보였다. FDS에서 EDC 연소모델을 적용하여 백드래프트에 대한 LES를 수행할 경우에는 연료특성에 맞는 화학반응기구의 적합성을 우선 검토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개구부의 기하학적 형상이 구획실의 연료-공기 혼합특성 및 백드래프트 거동에 미치는 영향 (Geometric Effects of Compartment Opening on Fuel-Air Mixing and Backdraft Behavior)

  • 하수임;오창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30-38
    • /
    • 2019
  • 메탄 연료성분이 가득 찬 축소 구획실을 대상으로 개구부에서 유입된 공기와 내부 연료의 혼합특성과 백드래프트 발생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대와동모사를 수행하였다. 통상의 문 형태(Door)와 가로 형태의 문이 벽면 상단($Slot_U$), 중단($Slot_M$) 및 하단($Slot_L$)에 있는 구획실의 4가지 개구부 조건들에 대해서 검토를 수행하였다. 점화원이 없을 경우 구획실 내부로 유입되는 산소의 양과 외부로 유출되는 연료의 양은 Door > $Slot_U$ ~ $Slot_M$ > $Slot_L$의 순서로 크지만 $Slot_U$의 경우가 구획실 내부에서 연료와 산소가 전체적으로 가장 잘 혼합되었고 $Slot_L$의 경우에는 연료와 산소가 층을 이루어 혼합이 가장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획실 내 산소량과 연료량으로 정의되는 총괄당량비는 구획실에서 발생하는 백드래프트의 강도와 잘 연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백드래프트 발생 시의 구획실 내부의 최고 압력은 혼합이 가장 잘 이루어진 $Slot_U$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lot_L$의 경우에는 압력상승이 낮아 백드래프트가 발생하지 않았다. 백드래프트 발생 시 Door와 $Slot_M$ 조건에서의 최고 압력값은 $Slot_U$ 다음 순서로 나타났으며, 각 조건들의 최고압력은 백드래프트 발생순간까지의 총 열발생량과 잘 연관되어 설명될 수 있었다.

40GbE PHY 표준화 이더넷 백플레인 기술 (Backplane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for 40GbE PHY)

  • 양충열;고제수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4권1호
    • /
    • pp.43-49
    • /
    • 2009
  • 최근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다양한 IP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하면서 10G 이더넷 서비스가 폭넓게 이용되고 있으나, 이도 가까운 시기에 트래픽의 한계에 이를 것에 대비하여 보다 큰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는 40G급 이더넷 기술에 관한 표준화 드래프트 1.0 규격이 이더넷은 IEEE 802.3ba에 의해 2008년 9월 완성되었으며 2009년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표준화 기술이 어떻게 채택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40G 표준화 이더넷 백플레인 기술 및 등화기 구현방안에 대하여 기술한다.

FDS를 이용한 구획실 백드래프트 현상의 수치적 재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umerical Reproducibility for the Backdraft Phenomena in a Compartment using the FDS)

  • 박지웅;오창보;최병일;한용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10
    • /
    • 2013
  • A numerical reproducibility of the backdraft phenomena in a compartment was investigated.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two combustion models, the mixture fraction and finite chemistry models, were tested for the backdraft phenomena using the FDS code developed by the NIST. The mixture fraction model could not predict the flame propagation in a fuel-air mixture as well as the backdraft phenomena. However, the finite chemistry model predicted the flame propagation in the mixture inside a tube reasonably. In addition, the finite chemistry model predicted well the backdraft phenomena in a compartment qualitatively. The flame propagation inside the compartment, fuel and oxygen distribution and explosive fire ball behavior were well simulated with the finite chemistry model. It showed that the FDS adopted with the finite chemistry model can be an effective simulation tool for the investigation of backdraft in a compartment.

화재진압대원의 개인보호장구 지급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ply and Perception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 for Fire Fighters)

  • Choi, Jaehyeong;Kim, Woojae;Kang, Shinwook;Kim, Junggo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381-38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화재진압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화재진압대원들의 개인보호장구 보급실태와 성능 품질에 관한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보유기준에 적합하게 지급받았다고 응답하였으나 12%의 응답자는 부족한 장비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장비의 성능 만족도 조사에서도 대부분 만족하고 있으나, 안전장갑의 경우 불만족 의견이 50%가 넘게 나타났다. 전체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내용연수에 의해 결정되는 현재의 지급기준을 사용시간 또는 빈도에 따른 교체주기로 개선이 시급히 필요하며, 이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새로운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점화원 위치 및 점화시간 변화에 따른 백드래프트 거동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f the Backdraft Behavior with the Variation of the Ignition Location and Time)

  • 고민욱;오창보;한용식;도규형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8
    • /
    • 2016
  • The behavior of backdraft in the compartment with different ignition locations and times was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Fire Dynamics Simulator (FDS) v5.5.3 with a model-free simulation option was used in the numerical simulation of backdraft. The ignition source was located near the inside wall, at the compartment center and near the window opening, respectively. The ignition was started at the instance when the fresh air reached the ignition location or when a sufficient time passed compare to the instance of the arriving of the fresh air to the ignition location. As a result, for the ignition source was located near the inside wall, a strong fire ball was observed at once and the result was similar to the previous experimental result. For the ignition source wa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mpartment, a strong fire ball was occurred and two strong fire balls were observed consecutively for the ignition time was delayed. For the ignition source was located near the window opening and longer time was given for the ignition compare the duration of the fresh air arriving to the ignition location, the rapid temperature variation was not observed because there was no flame. However, for the ignition was started at the instance when the fresh air reached the ignition location, the ignition could be initiated and a intensive fire ball was observed. The pressure measured at the upper inside part of the window opening provided a similar trend with the previous experimental result of compartment backdraft.

화재진압대원의 화재현장 위험도 및 돌발화염 인식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Fire Risk and Flash Flame Concerning the Firefighter)

  • Choi, Jae-hyeong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29-53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화재현장에서 소방관들이 느끼는 위험성과 돌발화염에 대한 인식에 관하여 조사하고 연령, 경력 및 계급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화재현장에서 느끼는 위험성은 계급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화재현장에서의 돌발화염 노출 가능성에 대해서는 70% 이상의 응답자가 노출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하였으나 연령, 경력, 직급에 따른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만약 화재현장에서 돌발화염을 겪게 될 경우의 위기대처 능력에 관한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연령, 경력, 직급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향후 돌발화염의 모의 훈련 등의 강화가 보다 절실히 요구되며, 돌발화염에 따른 표준작전절차의 개선이나 화재진압교육의 보완을 통해 인명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들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