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출량 개선

Search Result 44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stimation of Air Pollutant Emissions for Development of Atmospheric Environment Model in Kwangyang-Bay (광양만권 대기환경 모델개발을 위한 배출량 산정)

  • 김인기;정일현;김종오;김수정;유지영;이상득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151-152
    • /
    • 2000
  • 광양만권역은 석유화학산업과 제철공업등 대규모 공단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 탄화수소류에 의한 오존 농도가 증가되고 있으며, 산성비 등의 2차 오염생성물질에 의한 광역지역의 대기오염 현상도 이들의 물질들이 깊이 관여하고 있다. 따라서, 광양만권의 대기질 개선을 위해서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원 및 배출량 분포를 정확하고 세밀한 파악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양만권의 광화학 옥시단트(Ox) 예측모델의 개발에 사용될 오염물질 배출량을 고정발생량 및 이동발생량으로 구분하 산출하였다. (중략)

  • PDF

환경규제(環境規制)에 따른 한국(韓國) 제조업(製造業)의 구조변화(構造變化) - 산업(産業) 공해(公害)의 요인(要因)과 환경규제(環境規制)의 효과(效果) 분석(分析) -

  • Jeong, Hyeon-Sik;Kim, Yu-Bae;Lee, Hae-Ch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4 no.2
    • /
    • pp.307-344
    • /
    • 1995
  • 이 논문은 산업공해의 발생 요인을 규명하는 부분과 여기서 규명된 요인에 따라 배출량을 규제하고 그 규제효과를 추정하는 두 가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환경(環境) 산업연관(産業聯關) 분석(分析) 모형(模型)을 이용하여 우리 나라의 산업(産業) 공해(公害) 배출(排出) 요인(要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 얻은 잠정적 결론은 첫째, 우리 나라는 지난 10년간 에너지 절약적(節約的)인 기술개발(技術開發)등 에너지의 효율성과 생산기술(生産技術)(투입구조(投入構造))의 개선 등 생산기술측면에서는 대기오염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구조적 변화가 있었던 반면에, 수출입(輸出入) 구조(構造)등 수요 측면에서는 그 배출량을 증가시키는 구조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구조적 요인은 공해 배출량을 증가시키지 않은 반면 경제 성장에 따른 생산 규모의 확대로 총 배출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산업공해의 배출량을 감축시키기 위한 한 가지 정책수단(政策手段)으로 우리는 일정 율의 탄산까스 배출량(排出量)을 규제하기 위해 필요한 공해 제거 비용을 계산하고 배출 단위 제거비용을 Pigou적 공해조세(公害租稅)로 제시함으로서 일정 배출량 감축 효과를 가지는 공해세를 계산하고자 시도하였다. 이 같은 배출 규제(規制)에 의한 물가상승(物價上昇)의 파급정도(波及程度)는 각 산업의 공해제거(公害除去)를 위한 중간투입물(中間投入物) 수요(需要)와 규제대상(規制對象) 산업(産業)과의 산업연관(産業聯關) 정도(程度)에 따라 상이하다. 배출량(排出量)이 큰 6대(大) 공해산업(公害産業)에 대한 규제(規制)는 자기(自己) 가격상승율(價格上昇率)이외에 산업연관효과(産業聯關效果)의 차이 때문에 산업별로 다른 물가 파급효과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보였다. 특히 석유와 석탄 등의 에너지에 대한 탄산까스 배출 규제는 규제 산업의 자기 가격을 매우 높은 율로 상승시키며, 각각 화학, 고무, 섬유, 의복 제품과 1 차금속, 전력 가스, 조립금속, 시멘트 등에 높은 물가 파급효과를 나타내므로서 이산화탄소의 배출 규제 내지 탄소세의 부과가 몇 몇 산업의 가격 경쟁력에 집중적인 영향을 줄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2050 Carbon-neutrality scenario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domestic building sector (2050년 국내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탄소중립 시나리오 연구)

  • Jiwoo Choi;Hakgeun Jeong;Hyungj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96-396
    • /
    • 2023
  • 기후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현재 많은 국가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다양한 부문의 배출 절감 계획을 내세웠다. 현재 건물 부문에서는 2050년의 목표배출량을 6.2 백만톤 CO2eq으로 설정하고 관련 정책적 수단을 검토 중이지만 달성 방안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물 부문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산정 모델을 개발하여,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의 건물 부문 탄소중립 가능성을 검토한 통합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향후 정책 및 기술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탄소배출량 산정모델은 연면적 예측 및 사용 에너지의 원단위 환산, 탄소배출계수 등을 고려해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4가지 탄소배출 시나리오를 분석하였다. 먼저 현재 정책 기반 탄소 배출 시나리오는 탄소중립에 이르지 못하여 더 강화된 시나리오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신규 건물을 대상으로 한 제로 에너지화 제도 기반 시나리오는 전체 탄소배출량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하며, 기존 건물 대상의 그린 리모델링 제도 기반 시나리오에서는 10년 이상 건물에 50% 이상의 높은 에너지 효율 개선을 시행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전기화 시나리오에서는 화석연료와 전력의 탄소배출계수를 비교하여 적절한 에너지 전환 시점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건물 부문에서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신축 건물의 에너지 자립율 100%, 에너지 전환 계획과 연동한 건물의 전기화, 그리고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효율 개선 기준을 47% 이상 달성하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는 도전적인 온실가스 감축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탄소중립 가능성을 제시하여 실질적인 감축정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stimation of Biogenic VOCs Emiss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Kangwon Province by using BEIS-2 (BEIS-2를 이용한 수도권 및 강원지역의 Biogenic VOCs 배출량 추정)

  • 조규탁;장영기;김조천;김동영;조억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71-72
    • /
    • 2001
  • 지난 20여년동안 정부에서 다양한 대기오염관리 정책을 시행한 결과 먼지, 이산화황 등의 오염도는 상당히 감소하였으나, 오존의 경우에는 아직도 오염도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오존오염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구물질인 질소산화물과 VOCs에 대한 배출현황이 파악되어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배출분야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VOCs의 경우, 외국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인위적인 배출원 뿐만 아니라 식생에 의해서도 많은 양이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를 위한 품질시스템 구축 방안

  • Lee, Eun-Suk;Jeong, Jang-U;Kim, Geon-Ho;Lee, Seung-Hwan;Lee, Gang-Bok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1.04a
    • /
    • pp.519-527
    • /
    • 2011
  •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 등의 운영 지침 제 54조(품질관리 및 품질보증)에 따라 관리업체는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에 대한 정확도 향상을 위해 활동자료 수집, 배출량 산정, 불확도 관리, 정보 보관 및 배출량 보고에 대한 품질관리 활동을 수행하고, 자료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체제를 갖추는 등 배출량 산정 보고의 정확성과 객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QC/QA 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리업체가 산정 보고 원칙을 실천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경영진의 검토 및 내부감사, 정보기술(IT) 및 기업 보고를 책임지는 조직 내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QC/QA 활동 체계를 구축 하고자 한다. 따라서 체계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품질시스템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실행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functional restructuring of the security system for the reduction of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탄소량 감축을 위한 보안 시스템의 기능적 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 Jeon, Jeong Hoo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3 no.3
    • /
    • pp.39-46
    • /
    • 2013
  • Recently, the problem of global warming has become a globally important issues. and To solve these problems, has been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for the Green IT. In these situation, IT techniques are evolving with variety services and hacking techniques. so, it is inevitable to the use of a many and diverse secure system. As a result, Carbon Dioxide emissions are expected to increase. Therefore, in this paper is analyzed the factors of security system's $CO_2$ emissions through Experiments and A case study. and is proved that is reducing $CO_2$ emissions by improving the functional restructuring of the security system. In a future, this paper is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Information for security network design and performance improvements and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 the Field of IT.

Changes in Emissions of Highway Sections according to the GHG Reduction Target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따른 고속도로 구간 배출량 변화 연구)

  • Choi, Seonghun;Chang, Hyunho;Yoon, Byungj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4
    • /
    • pp.849-856
    • /
    • 2020
  • Purpose: Greenhouse gases are one of the major causes of global warming, a global disaster. It aims to improve how effective the GHG reduction policy, which is the main cause of global warming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has been effective on the highway and how to calculate GHG emissions. Method: Using the DSRC raw data, we estimate the emissions of Namhae Expressway (Yeongam-Suncheon) from 2017 to 2019 in two ways, a macro method (conventional) and a micro method (individual vehicle). Result: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emission of the highway, the result was far exceeding the estimated emission, and it was found that when the calculation was performed for each vehicle, it was underestimated by more than 20%. Conclusion: If more emissions are continuously emitted than expected in the current transportation sector, additional emission reduction policies are needed to achieve the current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s. In addition, in the calculation of emissions, which is the basis of this policy,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individual vehicle using the current DSRC raw data, but using GPS afterwards will enable precise emission calculation through a more microscopic analysis.

Mobile Source Emissions Estimates for Intra-zonal Travel Using Space Syntax Analysis (공간 구문론을 이용한 존내 자동차 배출량 추정 모형)

  • LEE, Kyu Jin;CHOI, Keech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4 no.2
    • /
    • pp.107-122
    • /
    • 2016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ramework to estimate mobile source emissions with the macroscopic travel demand model including enhanced estimates of intra-zonal travel emissions using Space Syntax analysis. It is acknowledged that "the land-use and transportation interaction model explains the influence of urban structure on accessibility and mobility pattern". Based upon this theory, the estimation model of intra-zonal travel emissions is presented with the models of total travel distance, total travel demand, and average travel speed of intra-zonal trips. Thess statistical models include several spatial indices derived from the Space Syntax analysis. It explains that urban spatial structure is a critical factor for intra-zonal travel emissions, which is lower in compact zone with smaller portion of land area, lower sprawl indicator, and more grid-type of road network. Also the suggested framework is applied in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bicycle lane project in Suwon, Korea. The estimated emissions including intra-zonal travel is as double as the results only with inter-zonal demands, which shows better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framework for more realistic outcomes. This framework is applicable to the estimation of mobile source emissions in nation-wide and the assessment of transportation-environment policies in regional level.

Development of O/D Based Mobile Emission Estimation Model (기종점 기반의 도로이동오염원 배출량 추정모형)

  • Lee, Kyu Jin;Choi, Keechoo;Ryu, Sikyun;Baek, Seung Kir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2D
    • /
    • pp.103-110
    • /
    • 2012
  • This study presents O/D based emission estimation model and methodology under cold- and hot-start conditions. Contrasting with existing link-based model, new model is able to estimate cold-start emissions with actual traff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with new model show similar amount of emission with existing model under hot-start conditions, but five times much more than existing model under cold-start conditions. The annual social benefit estimated by this model is 56.2 hundred million won, which is 48% higher than the result from existing model. It means current green transportation policies are undervalued in terms of air quality improvement. Therefore, New model is expected to improve the objectivity of air quality evaluation results regarding green transportation policies and be applied in various transportation-environment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