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지 소모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5초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에 의한 아질산염 소모(II) (Depletion of Nitrite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II))

  • 오창경;오명철;현재석;최우정;이신호;김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56-562
    • /
    • 1997
  • 여러 온도 조건에서 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에 의하여 아질산염을 소모하는 정도와 이들 분리균에 의하여 성장온도와 배지의 pH에 따른 아질산염 소모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15와 2$0^{\circ}C$에서 L. plantarum과 L. sake는 성장 초기에 아질산염 소모 활성이 낮았으나 성장기간과 온도에 따라 활성이 높았고, $25^{\circ}C$와 3$0^{\circ}C$에서는 L. plantarum은 성장 1일 부터 90% 이상, L. sake는 아질산염을 75% 이상 소모하였으며, 성장 2일 이후에는 거의 대부분을 소모하였다. L. mesenteroides는 15와 2$0^{\circ}C$에서는 성장 4일이 경과한 후에 150과 250$\mu\textrm{g}$/$m\ell$의 아질산염에 대한 소모율이 각각 75와 65% 이하로서 Lactobacillus에 비하여 소모 활성 이 낮았으나, 성장 4일이 경과한 후 $25^{\circ}C$에서는 83% 이상, 3$0^{\circ}C$에서는 98% 이상을 소모하였다. 한편, L. plantarum은 600과 900$\mu\textrm{g}$/$m\ell$의 고농도의 아질산염에 대해서도 성장 2일만에 거의 대부분을 소모하였다. 모든 김치 분리 유산균은 성장 온도와 배양 기간에 따라 배지의 pH가 낮아졌으며, 또한 배지의 pH가 낮아짐에 따라 아질산염 소모율이 증가하였다. 15와 2$0^{\circ}C$에서는 배지의 pH가 아질산염의 감소와 관련이 없었으나, $25^{\circ}C$이상에서는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서, pH의 감소가 어느 정도 아질산염 소모에 관여하기는 하였지만, pH보다는 온도의 영향이 더 컸다.

  • PDF

Hybridoma 배양을 위한 저혈청 배지의 개발 제1부 : 혈청 역할모델을 이용한 혈청 성분의 역할 연구 (Development of Low-serum Medium(LSM) for Mouse-mouse Hybridoma Part I. A Study of the Role of Serum Components Using a Serum Model)

  • 제훈성;최차용
    • KSBB Journal
    • /
    • 제7권2호
    • /
    • pp.92-95
    • /
    • 1992
  • 동물세포 대량 배양의 저혈청 배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융합제작한 하이브리도마 KA112를 대상으로 혈청의 역할을 살펴본 다음, 혈청의 구성인자를 최고세포 농도를 결정하는 소모성 영양인자와 세포성장속도를 결정하는 성장 제어인자로 나눈 혈청 역할모델을 개발하여 실험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이 모델이 의하면 7%이상의 혈청 첨가시에는 혈청내의 소모성 인자가 그와 같은 역할을 맡게 되며, 3% 첨가시에는 성장 제어 인자의 고갈로 인해 세포성장속도가 제한을 받는다. 동시에 소모성 단일 인자가 혈청농도에 의하여 limiting하게 됨에 따라 최고 도달 세포 농도와 세포 성장 속도를 제어함을 설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험결과들은 혈청농도와 기저배지 성분들의 농도를 항상 균형있게 고려해 주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펄라이트경에서 배지내 격막이 오이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Root Intercept Film in the Medium on the Growth and Yield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 김기덕;이재욱;이응호;문보흠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06-109
    • /
    • 2002
  • 우리나라에 널리 보급ㆍ이용되고 있는 양액재배방식중 하나는 펄라이트경이며 대부분 비순환식이다. 펄라이트 재배에서의 적정 양액조성, 양액관리기술 및 배지내 환경조건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적정 수분관리는 작물의 생장뿐만 아니라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생육단계 및 재배시기별로 급액량을 달리하고 있지만 아직은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어 양액소모량이 더 많다. (중략)

  • PDF

일사비례제어에 의한 절화장미(Rosa hybrida cv Cardinal)의 급액량 구명 (Study on Optimum Water Supply by Solar Radiation in Cut Rose(Rosa hybrida cv Cardinal))

  • 나택상;김정근;최경주;기광연;유용권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5-220
    • /
    • 2008
  • 본 시험은 펄라이트 배지에서 적산일사량에 따른 급액이 장미 'Cardinal'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배지내의 pH는 6.0에서 6.1사이로 안정적이었고 EC는 급액보다는 배액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후기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무기 성분은 비순환식 C. Sonneveld처방 기준으로 보면 인산과 칼리, 마그네슘이 집적됨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칼리와 마그네슘은 각각 기준량 195ppm, 18보다 집적됨을 알 수 있었다. 배지의 배액율은 전체적으로는 일사량이 많으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장미 수액은 오전 9시 경부터 12시까지 흐름이 있었는데, 10시 30분에서 11시 사이에 $273g{\cdot}hr^{-1}$이었는데 일사량에 비례하여 수액흐름이 증가하지는 않았다. 양액소모량은 $250W{\cdot}hr^{-1}$에서는 50m1구에서 212.8ml로 많았는데 수량도 154.6본/10a로 많아 양액소모량이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펄라이트 배지에서 양액공급량은 11월부터 3월에 $200W{\cdot}hr^{-1}$에서 50ml를 1일 $6\sim10$회 급액하고 일사량이 많을 때는 $250W{\cdot}hr^{-1}$에서 30ml를 1일 $22\sim30$회 급액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외 시설재배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뿌리혹선충 감염실태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Population Densities of Root-Knot Nematodes in Oriental Melon Growing Soil)

  • 박동금;이순구;황재문;한상찬;서혁수;허재원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40-43
    • /
    • 2000
  • 참외의 시설재배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재배기술과 소득은 향상되었으나 동일한 시설 내에서 같은 작물을 연작하고, 연중재배하므로써 연작장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박 등, 1988). 연작장해의 주요 요인으로는 토양양분의 소모, 토양양분의 질적 악화, 토양반응 및 토양물리성의 악화, 독소의 집적, 토양병해충을 비롯한 유해 토양미생물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이, 1996). 특히 우리나라 시설재배지에서는 무기양분이 노지처럼 유실되지 않고 토양에 잔존해 있기 때문에 염류의 집적이 노지보다 많은데도 불구하고 다량의 가축분이나 무기양분을 과다시비하므로써 염류집적이 가중되고 있다. (중략)

  • PDF

소목으로부터 분리된 Brazilin이 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razilin from Caesalpinia sappan L. on the Growth of 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

  • 권현정;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9-215
    • /
    • 2012
  • 본 연구는 소목(C. sappan L.)으로부터 분리된 Brazilin이 S. mutans의 생장 및 배양 환경 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ethanol에 의해 분리된 소목의 수율은 총 4.8%로 나타났으며, 여러 분획물 가운데 brazilin이 포함된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에서 3.94%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2. 소목으로부터 분리된 brazilin의 S. mutans 생장에 대한 효과는 대조군이 24시간에서 0.816으로 최대 생장률을 보였으나, brazilin (0.3 mg/ml, 1 mg/ml, 3 mg/ml)을 투여한 배지는 32시간 만에 최대생장을 보였다. 3. S. mutans를 16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 내 pH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5.25이었으며, brazilin (0.3 mg/ml, 1mg/ml, 3 mg/ml)을 투여한 배지는 각각 pH 7.00, pH 7.01, pH 6.98로 유지하여 산 생성을 억제하였다. 4. S. mutans를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 내 탄수화물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보다 소목의 brazilin이 투여된 배지의 탄수화물의 소모량이 적었다. 5. S. mutans를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 내 단백질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최대 생장량을 보인 24 시간에서 대조군은 2.46 mg/ml 이었으며, 소목의 brazilin이 투여된 배지는 2.54 mg/ml 이었다. 6. S. mutans의 다당류 생성에 미치는 효과는 대조군의 경우 배양 8 시간에 300 mg/100 ml을 생성하였으나, 소목의 brazilin이 투여된 배지에서는 200 mg/100 ml을 생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소목의 EtOAc 분획에 존재하는 brazilin은 배지 내 S. mutans 균주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향후 구강 내 우식원성 세균의 억제물질로 활용을 제시한다.

고정화 Zymomonas mobilis 균체로부터 에탄올 생산 (Ethanol Production Using Alginate Immobilized Cells of Zymomonas rnobilis)

  • 한면수;정동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88-596
    • /
    • 1992
  • Zymomonas mobilis KCTC 1534 균체를 alginate에 고정화시킨 후 기질농도의 상관성으로 회분발효와 반연속발효에서 에탄올 생산을 시도하였다. 회분발효에서 17 glucose 농도를 발효시간 25시간에서 최대 에탄올 생산성 2.91g/l.h 얻었고 이경우 비에탄올 생산속도 $29.14g/{\ell}{\cdot}h$, 비기질 소모속도 $60.24g/{\ell}{\cdot}h$, 에탄올 수율 계수 0.48g/g, 기질전환율 98.4이었다. 생산배지의 전량 교환에 변수를 준 반복발효는 교환시간 20-24 시간에서 약 30일 동안 에탄올생산성이 2.24-$2.94g/{\ell}{\cdot}h$, 에탄올 수율계수 0.42-0.51g/g, 기질전환율 95.9-99.6%로 실행할 수 있었다. 반연속 발효의 경우 생산 배지의 교환 간격을 희석속도로 이용한 유효 희석속도 $0.36h^{-1}$에서 17% glucose 농도로 최대 에탄올생산성 $15.7g/{\ell}{\cdot}h$를 얻었고 이 경우 비 에탄올 생산속도 $156.9g/{\ell}{\cdot}h$ 비기질 소모속도 $396.0g/{\ell}{\cdot}h$, 에탄올 수율계수 0.39, 기질전환율 64.7% 이었다.

  • PDF

Catabolic Repression 및 Derepression에 의한 효모 세포의 다당류 함량 변화와 무기 폴리 인산(제 5 보) (Changes in Amounts of Polysaccharides and Polyphosphates under Catabolic Repression and Derepression in Yeast (V))

  • 이기생;최영길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35-241
    • /
    • 1985
  • 본 연구는, catabolic repression시킨 효모세포를 완전배지와 최소배지에서 derepression시켜, 배양시기 및 인산 첨가농도(free, limited, sufficient)에 따른 5종의 다당류 합성변화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다당류 합성과 무기폴리인산 축적량 및 인지질 합성 사이의 상관지수를 구하여 합성시 관련되는 유의한 정도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최소배지에서 catabolic derepression시킨 효모세포가, 완전배지에서 derepression시킨 세포에 비하여, glycogen의 합성이 발리 그리고 많이 일어났고, acid soluble glycogen type이 주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alkali soluble glycogen은 당이 많이 소모된 24시간 배양 후에 소량 나타났다. 무기인산 첨가정도에 따라 total glycogen합성이 일정한 비율로 빨리 그리고 높게 일어났다. Glucan의 합성에는 ALPase 중 ALPase "C"가 관련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Mannan은 ezponential phase초기와 정체기때, acid soluble 분획은 정체기때 최대함량을 나타내었다. Mannan 합성과 poly-P "C"축적량 사이의 상관지수는 0.866, mannan합성과 인지질 사이의 상관지수는 0.726으로 나타나 매우 유의하였다.

  • PDF

Exhausted Medium에 의한 각막상피 세포의 세포고사 유도 (Apoptosis in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induced by Exhausted Medium)

  • 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3-87
    • /
    • 2000
  • 본 연구는 각막상피가 저절로 탈락해 나가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사람의 각막상피 세포를 배양하여 배지의 영양이 고갈될 때까지 약 7일 정도 배지를 교환하지 않고 계속 배양하여 세포고사를 조사하였다. 영양이 고갈된 배지인 Exhausted Medium을 여과하여 새로운 각막 상피세포에 넣어 2일 정도 배양을 계속하였다. Exhausted Medium에서 배양된 세포를 수확하여 세포고사를 검정하기 위해 Agarose gel electrophoresis로 DNA 단편을 확인하고 세포고사를 초기에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인 M30 $CytoDEATH^*$. Fluorescein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Exhausted Medium에 의한 세포고사의 유발 경로를 조사하기 위해 사이토카인에 의한 유도인자 중 가장 많이 알려진 FAS나 FAS Ligand에 의한 유발여부를 soluble FAS and FAS Ligand에 대한 sandwich ELISA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형적인 DNA Ladder패턴을 보였으며 M30 $CytoDEATH^*$. Fluorescein에도 선명하게 염색되어 세포고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oluble FAS and FAS Ligand ELISA Kit로 Exhausted Medium이 FAS와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거의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양 부족상태의 배지는 각막상피 세포가 세포고사를 거쳐 소모되는데 FAS and FAS Ligand system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무 혈청배지에 의한 각막상피 세포의 세포고사 (The Induction of Human Corneal Epithelial Apoptosis by Serum-free Medium)

  • 나명석;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6
    • /
    • 1999
  • 사람의 각막상피 세포를 배양하여 각막상피가 저절로 탈락해 나가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무 혈청 배지에서 세포를 1주일 동안 배양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세포의 소실과정을 조사하였다. 사람 각막상피 세포 주를 무 혈청 배지에서 배양하여 1, 2, 3, 6일에 세포의 형태적 관찰과 세포고사(Apoptosis)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Giemsa 염색, Hoechst 33342 형광 염색, 그리고 TUNEL(TdT-dUTP terminal nick-end labelling) assay를 시행하였다. 무 혈청 배지에서 세포를 배양하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포의 모양이 변하였으며 망상의 세포 군집을 형성하였다. 많은 세포가 부유하여 작은 소체를 형성하였으며 세포고사 율은 3일 경과 후 50%를 나타냈다. 또한 TUNEL assay에 의해 단편화된 DNA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양 부족상태의 각막상피 세포가 세포고사를 거쳐 소모되고 탈락되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