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정 시스템

검색결과 415건 처리시간 0.026초

사용자 중심의 효율적인 좌석 자원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fficient Seat Resource Management System Driven User)

  • 강민성;이상준;안기중;김장형;김도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319-2326
    • /
    • 2007
  • 최근 비행기, 기차, 버스를 비롯하여 극장이나 도서관 좌석 등과 같은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정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한정된 좌석 자원을 초과하는 수요가 발생하면 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할 때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기존의 한정 된 좌석 자원의 배정 및 관리 방식은 중앙 시스템에서 집중 관리로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 개개인의 선호도를 고려하지 못 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관점에서 한정된 도서관 열람실 좌석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고객이 직접 좌석을 선택하고 좌석에 대한 기회를 균등하게 가질 수 있는 고객 중심의 좌석 할당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다입력-다출력 시스템의 가제어성 정준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trollable canonical forms for multi-input multi-output systems)

  • 오세호;변증남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9-16
    • /
    • 1980
  • 상태 방정식으로 기술되는 다입력-다출fur 시스템에 대해 상태 궤환을 이용하여 전 시스템의 극(pole)을 S- 평면의 지정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극배정 (pole assingnment)을 위한 상태 궤환이득 행열을 효과적으로 구할 수 있는 정준형(canonical form)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이러한 정준형이 주어진 경우 극을 원하는 곳에 배정하는 상태 궤환 이득 행열의 계산 방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대기시간변동 및 용량을 고려한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Developing a Transit Assignment Model Considering Waiting Time Variation and Line Capacity)

  • 김진환;김동선;김지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525-1534
    • /
    • 2014
  • 최근, 환승시스템 구축 및 통합 교통체계, 스마트폰 보급 등으로 인한 실시간 대중교통 정보제공이 가능해 지면서 이용자들의 대중교통 경로선택이 유연해지고 있어 미리 수단을 정하고 통행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맞춰 경로를 선택하는 특성으로 변해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4년부터 시행된 대중교통 요금통합에 따라 이용자가 경로를 선택함에 있어 저항을 느끼지 않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이용자들의 경로선택은 대중교통 용량에 따른 혼잡으로 인해 대기시간이 증가 될 경우 달라진다. 이러한 이용자의 노선경로 선택이 대중교통 시스템에서의 혼잡에 따른 대기시간에 영향을 받지만 기존 전통적인 모형으로 묘사하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하며 이와 관련된 기초연구 역시 부족한 상황이다. 용량과 상관없이 주어진 모형에 의해서 수요를 추정하는 기존 모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승용차 통행배정에서 사용되는 링크 통행비용함수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실질운행횟수의 이원화된 변수를 설정하여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수리모형상의 제약식을 완성하였다. 모형의 검증으로 신규직결노선 도입과 돌발상황에 따른 각각의 시나리오 예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적용하고 그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용량초과에대한 통행량은 배정되지 않았으며, 대중교통시스템 용량이 초과할 경우에도 초과된 수요의 경로전환으로 통행량이 안정적으로 배정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이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혼잡 등으로 인해 변동되는 대기시간에 따라 이용자의 경로선택이 유연해지는 현실을 반영 할 수 있는 선행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